고희범 시장 "코로나19에 임기내 어렵지만, 차 없는 거리 정책 자체가 무산된 것 아니"

지난해 10월 열린 대한민국 문화의 달 행사에서 차량이 전면 통제돼 광장이 된 관덕정 일대 모습.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지난해 10월 열린 대한민국 문화의 달 행사에서 차량이 전면 통제돼 광장이 된 관덕정 일대 모습.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시가 올해 역점사업으로 관덕정 인근 차 없는 거리를 올해 상반기 시범 도입하려 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제주시는 관덕정 일대에 대한 차없는 거리 조성을 통한 시민 광장 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제주시는 올해 시민체감형 시민행복 중점사업에 관덕정 인근 차 없는 거리 운영을 포함시켜 공들여 추진해 왔다.
 
고희범 시장은 지난해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관덕정 인근 도로에 차 없는 거리를 운영하고 싶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데 이어 올해 신년사를 통해 재차 추진의지를 표명했다.
 
고 시장이 차 없는 거리를 추진하게 된 배경에는 지난해 10월 제주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부 ‘2019 대한민국 문화의 달 제주’ 행사의 영향이 크다.
 
당시 제주시는 문화의 달 행사에 맞춰 중앙로사거리에서 서문로사거리를 잇는 관덕로 520m 구간에 차량 통행을 전면 통제해 광장으로 활용했다.
 
당시 어린 아이들은 분필을 가지고 도로 위에 낙서를 즐겼고, 각종 프리마켓 등 부스가 마련됐다. 곳곳에는 쿠션이 설치돼 쉼터 역할을 했다.
 
관덕정 앞 도로가 전면 통제돼 광장으로 변모한 것은 2007년 4.3문화예술축전 이후 처음인데, 고 시장은 당시 관덕정 일대가 서울 광화문광장처럼 보였다면서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시는 올해 상반기 관덕정 일대 차 없는 거리 운영을 목표로 주민의견까지 수렴했다.
 
지난해 10월 열린 대한민국 문화의 달 행사에서 차량이 전면 통제돼 광장이 된 관덕정 일대 모습.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지난해 10월 열린 '대한민국 문화의 달' 행사 때 차량이 전면 통제돼 광장으로 변모한 관덕정 일대 모습.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예술공간 오이에 의뢰해 관덕정 주변 상가와 지역주민 총 201명을 대상으로 한 관덕정 차 없는 거리 운영 여부 1대1 면접조사 결과, ▲보통(유보) 42.3%로 ▲찬성 21.4% ▲반대 16.9% ▲적극 찬성 10.4% ▲적극 반대 9% 순으로 응답했다.

고 시장은 올해 읍·면·동 연두방문에서도 원도심 주민들에게 차 없는 거리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당시 고 시장은 "차 없는 거리 운영은 원도심 활성화가 최대 목표로, 차 없는 거리 시범운영을 통해 원도심 활성화 가능성이 없으면 사업을 철회하겠다"며 추진의지를 피력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고희범 시장의 추진 의지에도 '관덕정 일대 차 없는 거리 시범운영'에 발목을 잡은 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19다.
 
차 없는 거리는 왕복 4차선 도로의 차량 출입을 전면 통제해 광장처럼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광장이 조성되면 원도심의 상징 공간으로 자리잡아 자연스레 사람이 모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주시는 매달 1차례 공휴일을 정해 차 없는 거리를 운영하고, 차 없는 거리가 운영되는 날에는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이 필요해지면서 차없는 거리 사업에 의한 각종 행사개최 등은 추진 동력을 급격히 상실하고 말았다.
 
이와 관련해 고희범 제주시장은 20일 [제주의소리]와 만나 “올해 상반기 내 관덕정 일대 차 없는 거리 시범 운영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올해 상반기가 지나면 고희범 시장의 임기는 종료된다. 
 
그렇다고 사업 좌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고 시장은 “저의 임기 내 실행하지 못할 뿐이지 차 없는 거리 사업 자체가 무산된 것은 절대 아니”라며 "전 세계 400여개 도시에서 차 없는 거리를 운영중이다. 콜롬비아 보고타의 경우 휴일이나 공휴일이면 14km에 달하는 구간을 8시간 정도 차 없는 거리로 운영한다.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또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차 없는 거리 도입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각 부서에서 코로나19 종식 이후 차 없는 거리 운영을 위해 계획을 보완하고 있다. 차기 시장이 누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행정의 연속성 차원에서 차 없는 거리 정책은 계속 추진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