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고용지표, 양적으로만 성장...경제 둔화 등에 매우 취약해 구조개선 시급

ⓒ한국은행 제주본부.
고성장기 연평균 전국 취업자수 증가율. 제주가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제주 고용지표가 크게 악화되고 있다. 소위 ‘월급쟁이’가 아니라 자영업을 중심으로 ‘질’ 높은 일자리보다는 양적 팽창만 거듭하다보니 경제 둔화에 따른 고용지표 악화가 심화되고 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8일 발표한 ‘제주지역 고용구조 변화와 향후 과제’에 따르면 2011~2017년 고성장기를 거친 제주는 2018년 2005년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하면서 취업자수도 0.6%를 기록하는 등 고용지표 악화가 시작됐다.
 
제주 경제활동참가율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전국 평균 대비 5%p 이상 상회했으며, 2019년에는 전국 17개 시·도중에서 가장 높은 69.9%를 기록했다.
 
제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2.9%로 전국 평균(53.5%)보다 9.4%p 높았으나, 청년층은 46.2%로 전국평균보다 1.6%p 낮았다.
 
취업자수는 고성장기와 인구유입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제주 고용률은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실업률도 전국 최저 수준을 기록했지만, 역성장을 기록한 2018년부터 둔화되기 시작했다.
 
데이터만 봤을 때 그간 제주 고용지표는 전국 평균보다 비교적 양호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을 달랐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시도별 고용률. ⓒ한국은행 제주본부.

세부 데이터를 들여다보면 제주 고용여건은 ‘질’ 높은 일자리 보다는 아르바이트 등을 중심으로 한 ‘양적’ 성장이 컸다.

2019년 기준 제주 취업자 중 임근근로자 비중은 64.6%에 불과했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15번째로, 자영업 등 비임금근로자의 비중이 높았다.
 
또 임금근로자라 하더라도 임시·일용 근로자가 상당수를 차지해 상용근로자 비중은 61.6%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2011년 이후 관광과 건설업의 호조로 인구순유입이 증가하면서 노동공급이 양적으로 확대됐는데, 상당수가 일용직이나 임시 근로 형태로 일을 했다는 얘기다.
 
질적 성장 없이 양적으로만 고용지표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제주 경제가 둔화되면서 자연스레 고용지표도 악화되고 있다.
 
인구순유입이 둔화됐고, 건설업의 부진도 큰 영향을 끼쳤다. 또 코로나19로 관광산업마저 부진하면서 고용지표 악화가 심화되고 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시도별 비정규직 비율. 제주가 전국 평균 대비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2019년 기준 제주 청년(15~29세)고용률은 43.7%로 전국에서 5번째로 높았지만, 예년과 비교하면 2.6%p가 떨어지는 등 하락폭이 컸다.

2019년 기준 제주 비정규직 비중은 44.6%를 기록해 전국 평균 36.4%보다 8.2%p 높았다. 전국에서 2번째로 높은 수치다.
 
또 상용근로자 사회보험 가입률은 66.1% 수준에 머물러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전국 평균은 71.3%.
 
임시·일용직 등을 모두 포함한 제주 임금근로자 월평균 임금은 2019년 기준 231만원인데, 이는 전국 평균 267만원보다 낮고 전국에서 2번째로 낮은 금액이다.
 
구직·구인 미스매치도 심화됐다.
 
2008~2011년 제주 미스매치 지수는 전국 평균보다 2p 낮은 22.4를 기록했지만, 2012~2015년은 25.1를 기록해 전국 평균보다 0.5p 높아졌다.
 
2016~2019년 제주 미스매치 지수는 무려 26.1을 기록, 전국 평균보다 2.4p나 높았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전국 시도별 임금근로자 월평균 임금. 제주 평균 임금이 매우 낮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한국은행은 코로나19 화간에 따른 고용안정과 제주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관광산업을 고도화해 제주가 괜찮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정책당국과 업계, 학계간 유기적인 협력을 강화해 청년층 구직·구인 미스매치 완화를 위한 해결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19 확산 경험에서 보듯 관광 관련 산업 비중이 높은 특성으로 인해 제주 경제가 외부충격에 취약하므로 사회보장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고용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