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현장](상), 사업 반대 측 “난개발의 전형” vs 찬성 측 “이미 오염된 구간, 되레 깨끗해질 것”

제주시 우도면에서 추진되는 해중전망대 조감도. 전흘동항에서 바다로 130m 정도 이동하고, 바다 한 가운데 있는 건축물은 아파트 약 5층 높이의 총 17m에 달한다. 
제주시 우도면에서 추진되는 해중전망대 조감도. 전흘동항에서 바다로 130m 정도 이동하고, 바다 한 가운데 있는 건축물은 아파트 약 5층 높이의 총 17m에 달한다. 

‘섬속의 섬’ 제주 우도에 추진되는 해중전망대 사업이 난개발 논란 속에 최근 공유수면점사용 허가를 통과했다. 해중전망대 사업 반대 주민들은 ‘환경 파괴’ 논란을 제기하고, 찬성측은 ‘환경 보존’을 위해 사업이 필요하다고 반박하는 등 찬반 주민간 이견 대립이 가시화되고  있다. 

지난해 세차례 경관심의에서 모두 보류 결정이 나는 등 난개발 논란이 시작된 후, 사실상 이번 공유수면점사용 허가로 행정절차의 첫 관문을 통과한 셈이어서 향후 사업추진을 놓고 논란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제주의소리]가 최근 우도를 찾아 현장취재한 결과, (주)우도해양관광과 (주)우도전흘동마을, 법인 우도면오봉리어촌계가 우도면 오봉리 전흘동 일대에 추진하는 150억원 규모의 해중전망대 사업이 공유수면점사용허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해중전망대는 소규모 어항인 전흘동항에서 바다 방향으로 폭 3m, 길이 130m의 다리를 세우고, 만조 기준 해수면에서 높이 9m, 지름 20m 규모의 원형 건물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원형 건물이 설치되는 구간은 만조시 수심이 8m 정도라서 총 17m 높이의 건축물이 바다 한 가운데 들어선가는 얘기다. 17m는 아파트 기준 약 5층 높이다.

전흘동항에서 바다를 향해 130m 걸어가 전망대에 도착하면 건축물 안으로 들어가 45개 유리창을 통해 바다 생태계를 구경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사업자 측은 지난달 제주시로부터 2000㎡ 규모 공유수면점사용 허가도 받은 상태다. 우도 전체가 제주도 해양도립공원이라서 제주도립공원심의위원회 심의, 경관위원회 심의, 환경영향평가 등 다른 사업보단 상대적으로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한다. 

사업 자금은 우도해양관광과 전흘동마을, 오봉리어촌계가 출자해 충당한다는 계획이며, 사업비가 모자랄 경우 우도 출신 인사들의 출자도 받는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바다 한가운데 다리와 전망대 설치를 위해서는 대규모 중장비 투입 등이 불가피해 환경 파괴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사업이 추진되는 구간의 해저 곳곳에서는 암반이 있는데, 전망대 건축물 설치를 위해서는 바닥 평탄화 작업이 필요하다. 평탄화 공사를 위해선 불가피하게 수중 암반인 현무암을 부숴야 한다는 얘기다. 

우도에 추진중인 해중전망대 단면도. 해중전망대는 해수면에서 9m 높이까지 설치되는데, 사업 추진 구간이 만조 때 수심이 최대 8m에 달해 건축물의 순수 높이는 17m에 달한다. 지름은 20m며, 단면도에 파란색 부분은 바다속이다. 

또 연간 2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우도를 방문하면서 과잉관광으로 인한 쓰레기·하수·교통혼잡 등의 몸살을 겪으며 '제주도의 축소판'이라 불리는 우도에 굳이 해중전망대까지 필요하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우도에 사는 주민 A씨는 “도대체 우도에 왜 해중전망대가 필요한지 모르겠다. 이미 연간 200만명의 관광객이 우도를 방문하면서 쓰레기와 하수 처리, 심지어 이 좁은 섬에 교통혼잡 등의 온갖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또 개발을 해야 하는가”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해중전망대를 오봉리에 설치한다는 이유로 오봉리 주민들만 합의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작은 섬에서 어느 한 마을의 입장만 반영할 것이 아니라 우도면 전체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추진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 B씨는 "해중전망대 사업은 우도라는 섬 관광지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대규모 사업이다. 아름다운 바다 한가운데 해중전망대가 필요한 이유도 모르겠는데, 만약 추진한다 하더라도 우도 전체 주민들간의 공론화가 필요한 것이 아니냐. 우도 난개발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제주시 우도면에서 추진되는 해중전망대 조감도. 해중전망대 사업이 진행되는 해안가(빨간 원)에 매년 괭생이모자반이 몰려 들어 악취 등이 심하다. 사업자 측은 해중전망대 사업을 추진하게 되면 지속적인 해양쓰레기 청소 등을 추진하게 돼 되레 환경이 보존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제주시 우도면에서 추진되는 해중전망대 조감도. 해중전망대 사업이 진행되는 해안가(빨간 원)에 매년 괭생이모자반이 몰려 들어 악취 등이 심하다. 사업자 측은 해중전망대 사업을 추진하게 되면 지속적인 해양쓰레기 청소 등을 추진하게 돼 되레 환경이 보존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우도 해중전망대 사업이 최근 제주시로부터 공유수면점사용 허가를 받고 본격적인 사업준비에 들어갔다.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우도 해중전망대 사업이 최근 제주시로부터 공유수면점사용 허가를 받고 본격적인 사업준비에 들어갔다.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이에 대해 사업자 측과 찬성 주민은 환경 보존을 위해서라도 해중전망대 사업이 꼭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놨다. 

찬성 주민 김모씨는 “해중전망대 사업이 예정된 해안가에는 매년 괭생이모자반이 몰려오는 구간이다. 우도 주민과 우도면사무소 인력만으로는 괭생이모자반을 다 치울 수도 없어 썩어가다 보니 물고기나 전복 등도 거의 없다. 해녀들이 '거긴 쓰레기 말고 아무것도 없다'고 말할 정도”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봉리 해녀들도 사업을 동의해 사업 추진 주체에 오봉리어촌계가 포함된 이유다. 만약 환경 파괴가 심각하다면 일터를 잃게 되는 해녀들이 사업에 찬성했겠나”라며 “해중전망대가 잘되기 위해서는 깨끗한 바다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사업자 측이 꾸준히 괭생이모자반 등을 청소하겠다고 약속했다. 되레 환경이 보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찬성 오봉리 주민 고모씨는 “우도 주민들도 우도 환경이 파괴되면 관광객 발길이 끊긴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해중전망대 사업은 우도 환경 보존을 위한 최소한의 개발이다. 또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을 경우 해중전망대를 쉽게 철거할 수 있는 구조물로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업 규모가 커 우도 주민 전체의 의견을 물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에 대해 우도해양관광 김영수 대표는 “사업 추진을 위해 동 단위 보고회를 열었고, 이후 리단위, 우도면 전체 회의도 거쳐 동의를 받았다. 오봉리 주민들 말고는 크게 관심을 갖지도 않으며, 대부분이 사업에 찬성한다”고 주장했다. 

섬 속의 섬 우도. 과잉관광과 난개발로 인한 몸살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10여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지금 우도가, 우도 주민들이 고민해야 할 것은 섬의 원형에 무엇을 ‘더할까’가 아니라, 무엇을 ‘뺄까’의 고민이 우선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에 우도 주민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