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후 2시 2020 제주언론학회 세미나 '취재현장에서의 인권'

7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제주출장소 인권교육센터에서 2020 제주언론학회 세미나가 열렸다.
7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제주출장소 인권교육센터에서 2020 제주언론학회 세미나가 열렸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제주 언론의 보도 형태가 결과적으로 소수자를 구분, 그들의 인권을 침해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승선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7일 오후 2시부터 국가인권위원회 제주출장소 인권교육센터에서 ‘취재현장에서의 인권’을 주제로 열린 2020 제주언론학회 세미나에서 ‘언론 밖에서 본 취재보도 대상으로서 사회적 소수자 인권의 문제’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7일 기준 제주 코로나19 확진자는 총 26명이며, 이중 21명이 완치돼 격리가 해제됐다. 

확진자 접촉자 7명과 해외에서 입국한 297명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자가격리중이다. 

제주 코로나19 1~4번째 확진자의 경우 대구를 방문했거나 대구에서 제주로 온 관광객이며, 21~24번, 26번 확진자는 서울 광진구 확진자에 따른 n차 감염 사례다. 

대부분의 제주 언론은 코로나19 확진 관련 기사를 작성할 때 ‘대구 출신’, ‘대구에서 온 사람’ 등으로 표현했으며, 확진자와 접촉한 택시기사는 ‘A씨’ 등으로 보도했다. 

또 ‘강남모녀’, ‘서울에서 온 관광객’ 등의 표현이 사용됐는데, 이승선 교수는 제주 언론의 보도 형태가 결과적으로 ‘모범적인 제주도민’과 ‘제주도민이 아닌자’를 구분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더 좋은 언론보도를 위해, 사회적 소수자의 인권을 침해하지 않는 취재보도의 지혜를 얻기 위해 기존 보도를 되돌아보고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확진자에 관한 개인 신상 정보의 노출이 적정한 범위였는지, 반복적으로 구체적인 신상정보를 노출한 것을 최소화할 수 없었는지, 제주 지역 방역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지역의 확진자 보도가 도민 알 권리에 어떤 기여를 할지 등을 스스로 질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주에서 혐중(嫌中) 정서가 확산되거나 ‘중국인 출입금지’ 현상이 있다는 기사를 다룰 때 게재되는 관련 사진이 오히려 외국인에 대한 혐오증을 확산·심화시킬 수 있다는 경계를 늦추면 안된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하멜표류기’를 쓴 핸드릭 하멜은 제주도민에게는 ‘이교도’라 할 수 있는 기독교인인 자신들이 무색할 정도로 후한 대접을 받았다고 기록했다. 상륙 직후 도민들은 며칠을 굶었을 것이라 생각해 탈나지 않도록 죽을 먼저 줬고, 다음날부터 쌀밥을 줬다”며 소수인 등을 배척하지 않았던 제주도민의 얘기를 꺼냈다. 

이 교수는 “제주도민들은 하멜의 난파선 물건을 훔친 도둑을 처벌하고, 부상자를 치료해줬다”며 “다문화 사회에서 언론은 사회적 의제를 설정하고 여론을 형성, 바람직한 사회상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는 제주언론학회와 제주도기자협회, PD연합회 제주지부, 제주도인터넷신문기자협회가 주최했다. 

제1주제 ‘언론인들이 접한 인권의 문제’는 김경호 제주대학교 언론홍보학과 교수 사회로 ▲고상현 제주CBS 기자 ‘고유정과 언론’ ▲고원상 제이누리 기자 ‘취재 과정에서 벌어지는 취재 대상자의 인권소홀-우리가 쓰는 기사 속에 사람이 있는가?’ ▲송철민 JIBS PD ‘제작현장에서 경험한 초상권 침해 사례’ ▲ 김찬년 제주MBC 기자 ‘언론의 인권 의식과 자정 능력’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제주 발표가 끝난 뒤 ▲강문숙 변호사(언론중재위원회 제주중재부 위원) ▲고명희 전 제주여성인권연대 대표 ▲고현수 제주도의원 ▲민경중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사무총장의 토론이 이어졌다. 

‘언론 밖에서 본 인원의 문제’로 진행된 제2주제는 강만생 제주언론인클럽 회장의 사회로 이승선 교수의 발표가 진행됐으며, ▲고호성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오한숙희 여성학자 ▲윤철수 헤드라인제주 대표이사가 토론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