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당 50mm 폭우 쏟아져...하늘·바닷길 전면 통제-400여가구 정전 피해까지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북상함에 따라 제주시 애월읍 하귀1리 도로에서 차량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사진=제주소방안전본부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북상함에 따라 제주시 애월읍 하귀1리 도로에서 차량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사진=제주소방안전본부

제10호 태풍 '하이선(HAISHEN)'이 제주 동쪽 해상으로 접근했다. 태풍의 중심이 약 240km 가까이 떨어진 채 스쳐 지나가고 있음에도 강한 바람과 물폭탄을 쏟아내는 등 피해가 우려된다.

7일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하이선은 이날 오전 4시 기준 서귀포 동쪽 약 260km 부근 해상을 시속 37km의 속도로 북진하고 있다. 

오전 9시에는 부산 동북동쪽 약 50km 부근 해상, 오후 3시에는 강릉 동쪽 약 60km 부근 해상까지 북상한 뒤 오후 9시께는 청진 남쪽 약 140km 부근까지 올라가 30시간 이내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 하이선은 중심기압 950hPa, 중심 최대풍속 시속 155km(초속 43m)로 강도 '강'의 세력을 유지하고 있다. 태풍의 발생지보다 수온이 다소 낮은 28도 안팎의 해역을 지나며 당초보다 세력은 다소 꺾였지만, 강풍반경 400km로 제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태풍이 몰고온 강한 비구름대로 인해 제주 산지와 제주시 조천읍·구좌읍 등 북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시간당 50mm  내외의 폭우가 쏟아졌다. 

전날(7일)부터 이날 오전 4시까지 주요 지점 누적 강수량은 선흘 394.5mm, 어리목 363mm, 제주 99mm, 서귀포 24.1mm 등이다. 오늘 아침까지 산간지역 많은 곳은 300mm 이상, 제주 전역에는 100~200mm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대 순간풍속은 오전 4시까지 고산 초속 31.2m, 새별오름 28.8m, 제주 21.8m, 서귀포시 9.9m로 매우 강하게 불었다.

제주를 기점으로 한 하늘길과 바닷길은 모두 끊겼다.

태풍의 영향으로 이날 오전까지 제주국제공항에 운항 계획이 잡혔던 241편이 모두 결항됐다. 각 항공사에 따라 낮 12시 이후에야 운항 계획을 다시 잡게 됐다. 여객선도 9개 항로의 15척이 전면 통제됐다. 한라산도 입산 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북상한 가운데,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의 도로표지판이 강풍에 떨어지면서 안전조치가 이뤄지고 있다. 사진-제주소방안전본부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북상한 가운데,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의 도로표지판이 강풍에 떨어지면서 안전조치가 이뤄지고 있다. 사진-제주소방안전본부
제10호 태풍 하이선 위성영상 갈무리. 사진=기상청
제10호 태풍 하이선 위성영상 갈무리. 사진=기상청

벌써부터 피해가 속속 접수되고 있다.

제주도 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오전 4시까지 접수된 피해신고는 공공시설 2건, 사유시설 4건 등이다. 제주시 한림읍의 가로등이 강풍에 쓰러졌고, 서귀포시 동홍동에서도 바람을 이기지 못한 가로수가 전도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제주시 연동, 건입동, 이도이동의 건물에는 배수지원이 이뤄졌고, 애월읍 하귀1리에서는 차량 침수건이 접수됐다.

대정읍 보성리에서는 강풍에 의해 전선이 끊겨 498가구가 한때 정전 피해를 입었다. 정전은 오전 2시 복구를 완료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태풍특보가 발효되는 6일 오후 9시부터 '비상근무체계 2단계'를 전환 가동했다.

비상 2단계 격상에 따라 13개 협업부서를 비롯해 제주지방항공청, 도교육청, 제주경찰청, 제주해양경찰청, 한국전력공사, 해병대 9여단 등과 함께 비상근무에 돌입한다. 지역자율방재단 등 민간단체와 수방 자재 점검 외에 △도로 침수 방지를 위한 배수구 정비 △저지대 및 해안가, 하천 주변에 대한 예찰활동과 안전선을 설치하는 등 안전사고 대비가 이뤄진다.

제주도교육청은 학생 안전을 위해 7일 도내 모든 학교에 등교중지와 함께 원격수업 전환을 권고했다.

산림청은 제주의 산사태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상향 발령했다. 남해안과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300mm 이상의 많은 비가 예상되고, 기존 산사태 발생지에 2차 피해가 우려되는 등 대규모 산사태 위험이 커진 데 따른 조치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