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환경운동연합, 자체 실태조사 중간 결과 발표...전수조사 통한 관리 방안 마련 절실

올레길로 쓰이는 평대 해안사구. [사진제공-제주환경운동연합]
올레길로 쓰이는 평대 해안사구. [사진제공-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지역 해안사구가 당초 환경부가 조사한 지점보다 더 많이 분포하고 있다는 환경단체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중점사업의 일환으로 2월부터 12월까지 해안사구 모니터링 조사를 진행 중이다.

해안사구는 바다에서 강풍이 불 때 모래가 육지로 유입돼 식물과 같은 장애물에 걸려 퇴적되는 생태계 간 완충지대다.

환경부는 전국적으로 189개의 해안사구를 목록화 해 5년마다 정기적으로 조사를 하고 있다. 제주의 경우 14개의 해안사구 지점이 분류돼 관리되고 있다.

반면 제주환경운동연합의 조사결과 서부지역 대정읍 하모리 사구와 사계리 사구 외에 황우치 해변과 설쿰바당 해안에서도 대규모 사구가 확인됐다.

동부지역도 마찬가지다. 구좌읍 한동리 단지모살 사구와 구좌읍 세화리도 해녀박물관 인근에 사구가 존재했다. 우도 하고수동 배후에도 해안사구가 있지만 정작 목록에는 빠져 있다.

결과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해 각종 개발사업에 그대로 노출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월정리 주변 사구는 이미 난개발로 원형을 잃다시피 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이에 “일정 사구 훼손이 진행되더라도 사구가 남아있는 곳들은 해안사구 목록에 포함해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귀포시 안덕면 설쿰바당 해안사구. [사진제공-제주환경운동연합]
서귀포시 안덕면 설쿰바당 해안사구. [사진제공-제주환경운동연합]

해안사구 개발로 인한 해수욕장 기능 상실도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항만개발과 해수욕장 정비 사업으로 곳곳에서 모래유실 발생하고 있다.

월정과 김녕과 곽지해수욕장은 해안사구 파괴로 인해 해수욕장 기능 상실이 가속화 되는 실정이다. 월정해수욕장은 모래 속에 있던 빌레(넓은 암반)까지 드러나는 실정이다.

해안사구 훼손으로 인한 생태계 변화도 걱정이다. 해안사구는 육지에는 살지 않는 독특한 염생식물과 멸종위기생물이 살아가는 완충지대다. 

현재는 산란기와 관계없이 사람들이 출입해 흰물떼새의 번식이 어려워졌고 모레에 알을 낳는 국제적 멸종 위기종인 바다거북이 모습도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후속 대책으로 환경부 지정 해안사구 확대와 제주도 차원의 전수조사를 통한 보전대책 수립을 촉구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 32곳,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4곳, 해양수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곳 등 38곳에 이른다. 이중 제주는 한 곳도 없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해안사구에 대한 개발사업 신청이 들어오면 막을 제어장치가 없다”며 “해안사구에 대한 절대보전지역 지정을 확대하는 등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사구 전수조사를 통해 가치가 높은 곳을 정하고 보호지역 지정을 추진해야 한다”며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하는 등 제도적 지원 방안을 서둘러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상업시설 때문에 파괴된 월정 사구. [사진제공-제주환경운동연합]
상업시설 때문에 파괴된 월정 사구. [사진제공-제주환경운동연합]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