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행정동우회, 제주·중국 교류 아카데미 두 번째 현문학 전 매경 중국특파원

중국 자본 유치를 위해서는 중국 자본의 소비만 요구할 것이 아니라 일정 수준의 소득을 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도 행정동우회(회장 김형수)는 13일 제주미래컨벤션센터에서 ‘중국문화 교류협력 아카데미’ 두 번째 일정을 진행했다. 

현문학 전 매일경제 중국특파원은 이날 강연자로 나서 ‘특파원이 본 중국문화·경제와 제주’를 주제로 발표했다. 

현문학 전 매일경제 중국특파원이 '특파원이 본 중국문화-경제와 제주'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중국은 최근 공산당 상무위원회 5차 전체회의를 열어 14차 5개년 계획과 2035년까지 이어지는 장기 발전 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중국 계획의 핵심은 투자와 소비를 활성화해 경제 성장을 이루는 것. 

내수 주도형으로 경제 발전 계획을 추진하면서 수출과 외자 유치 등을 대외적으로 개방하는 골자며, 1980~1990년대 일본의 정책과 유사하다. 

현재 중국 내에서 이번 정책으로 부동산 증시 등이 어떻게 변할지 다양한 예측이 나오고 있다. 

현문학 전 매일경제 중국특파원이 '특파원이 본 중국문화-경제와 제주'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현 전 특파원은 중국의 경제 발전 계획은 소득을 늘려줘 소비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제주에서 일정 소득을 올릴 수 있다면 거대한 중국 자본이 제주로 올 수 있다는 주장이다. 

현 전 특파원은 “중국은 사회주의 시장 경제로 자원과 자금을 국가에서 통제한다. 무역으로 벌어들이는 자본이 상당하지만, 토지 재정에 비하면 수백분의 1 수준”이라며 “중국 각 지방정부가 외국기업 유치에 적극적인데, 매우 저렴한 가격이나 무료로 토지를 제공하는 곳도 많다”고 설명했다. 

현 전 특파원은 “기업 입장에서는 중국에 투자한 프로젝트가 실패하더라도 할양받은 토지로 돈을 벌기도 한다. 중국은 부동한 확대 정책을 지속할 수 밖에 없다. 실제 중국 부동산 수요의 60% 이상이 타국가”라고 덧붙였다. 

현 전 특파원은 “현재 중국에서 투자처를 찾지 못해 헤매는 민간 기업이 많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에 투자한 중국 자본은 78억7000만 달러에 달한다”며 “최근 알리페이가 홍콩과 상해 증시 상장에 실패했는데, 정부 시스템과의 경쟁으로 초래된 일”이라며 중국 내부의 불확실성을 언급했다.  

현 전 특파원은 “알리페이와 같은 인터넷 금융을 제주와 연결하면 관광객과 투자 유치에 도움될 것”이라며 “소득이 있어야 소비가 있다. 중국 자본이 제주에서 일정 수준의 소득을 올릴 수 있다면 자연스레 제주에서 소비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정동우회는 중국문화를 이해해 제주와 연계된 교류협력사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오는 12월4일까지 매주 금요일마다 ‘중국문화 교류협력 아카데미’를 열고 있다.  

총 5차례 계획됐으며, 오는 11월20일에는 서용건 제주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가 3번째 강연자로 나서 ‘중국관광객의 트렌드 변화에 따른 우리의 역할’ 주제로 강연을 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