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예술칼럼, Peace Art Column] (33) 우다퀀

제주도는 평화의 섬입니다. 항쟁과 학살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은 더욱 간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주4.3이 그렇듯이 비극적 전쟁을 겪은 오키나와, 2·28 이래 40년간 독재체제를 겪어온 타이완도 예술을 통해 평화를 갈구하는 ‘평화예술’이 역사와 함께 현실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세 나라 세 섬의 예술가들이 연대해 평화예술운동을 벌이고 있어 이에 대한 창작과 비평, 이론과 실천의 공진화(共進化)도 매우 중요합니다. 독립언론 <제주의소리>가 세 섬 예술가들의 활동을 ‘평화예술칼럼(Peace Art Column)’을 통해 매주 소개합니다. 필자로 국외 작가들이 참여하고 있어 일어, 영어 번역 원고도 동시 게재합니다. [편집자 글] 

전염병이 맹위를 떨친 2020년도 드디어 마지막 2개월에 들어갔다. 올해는 많은 미술관 기관이 폐관·개관 과정을 거쳐 전람회와 포럼이 이어졌다. 특히 온라인 이벤트가 지겹도록 활발하다. 미국 대통령 선거는 아직 최종 발표에 이르지 못했고 중국과 미국의 관계도 냉전 후 서태평양 제일 열도선의 가장 중요한 순간으로 우리를 몰아넣고 있다.

그러나 최근 타이베이 예술계에서는 올해 제15회 째를 맞은 ‘디지털 아트 페스티벌 타이페이’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나의 관찰로는 이번에는 젊은 세대의 시점을 통해 사회적·감정적으로 연산되는 데이터의 관계성을 찾아내, 사회적 상황과 하이브리드인 현실을 병치하려고 하고 있다. 또 게임화, 익명화, 페어링 현상을 제시하고 사랑의 데이터를 주제로 인터넷 시대의 친밀함을 논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진=우다퀀. ⓒ제주의소리
디지털 페스티벌 전시장 전경. 사진=우다퀀. ⓒ제주의소리

「모든 노군들에게 01_ ❤

온라인에서의 ‘만남계’의 출현은 자신들에 대한 기대를 서로 재구축할 수 있는 가상환경에서 무한한 새로운 선택사항이 준비되어 있는 또 하나의 만남의 공간을 열었다. 그리고 대량의 데이터나 메시지의 홍수 속에서, 다음에 오는 것이 더 좋을지도 모른다고, 선택의 책임을 거부하는 것이다(큐레이션의 논의 <다음에는 더 좋아질 것이다>에서). 마치 만남의 소프트를 사용하는 인터넷 서퍼의 설탕에 빛난 변명 같다. 더 깊은 의미는 사회와 소셜네트워크 시스템의 변화를 온라인을 통해 데이터로 모색하는 데 있다. 온라인 세계는 확연히 다른 민주적인 장내 메커니즘, 오픈소스, 공유, 시민사회로 변화하고 있어 아무래도 젊은 세대가 열심히 받아들이는 영역인 것 같다. 가상포럼에서 친구를 사귀고 행동을 제창하며 실제로 정치적 이의를 제기하는 대중운동에서 미묘한 사랑에까지 참여한다. 온라인에서는 이 모든 것이 침해받지 않고 합리적으로 병존할 수 있다. 올해 팬데믹에 직면해 온라인 사회적 상호교류가 가열현상이 벌어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데이터가 있다.

가상세계는 둘째 치고, 현실의 오프라인 발전은 어떻게 되는가? 미래는 데이터 통계·통치의 시대가 될 가능성이 있는가? 이러한 욕구의 본질은 현재 사회에서 사회적 제약을 통해 달성된다. 사람들로 하여금 스스로를 위한 선택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지만, 사실 그것은 이미 설계된 선택이다. 이와 같이, 소셜 플랫폼이나 빅데이터는 사람들이 모르는 사이에 그 일부가 되어 있는 현재, 유저의 습관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있다. 가상사회의 편의성과 숨겨진 위협은 표리일체다.

작가 올더스 헉슬리의 디스토피아 SF소설 <멋진 신세계>는 개인과 사회의 협조방식의 유지를 그렸으며, 최고 목표는 사회의 안정이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완전한 사회제도가 필수적이라고 했다. 쉽게 말해 사회가 개인의 생각을 지워버리는 것이다. 이것이 철저한 한, 이른바 공조의 문제는 없다. 이미 두 사람은 하나가 되었으니. 멋진 신세계는 안정을 위해 개성을 배제하는 것, 개성 발현의 기초인 개인의 독자성, 구체적으로 정서, 감정과 사고를 배제하기로 결정했다. 단일 아이덴티티 사회의 구축을 기반으로 하여 단결력과 일체성을 형성하고, 마지막에는 사회의 유지와 안정을 달성한다. 이 방식은 귀에 익지 않을까?

민간 미디어인 복합기업이 국가 장치를 장악하면 자본에 종속되는 새로운 전제가 생긴다. 정부의 법률이, 시대의 트랜드에 맞는 적절한 원조나 규제를 실시할 수 있을까. 자본이 국가장치에 침투하여 새로운 트레로스의 거인이 될 정도로 비대해지지 않도록 자유시장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는가? 결국 기본적으로 정부가 통치하는 것을 상정 범위로 하는 '인터넷 시민사회'에서 당장의 이데올로기의 문제는 완전히 제쳐놓더라도, 데이터와 AI의 집합지성이 현재의 복잡하고 난해한 분열·분리 상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낙관적으로 생각해야 하는가?

사진=우다퀀. ⓒ제주의소리
예호의 작품 '해애(海戀)'. 사진=우다퀀. ⓒ제주의소리
사진=우다퀀. ⓒ제주의소리
예호의 작품 '해애(海戀)'. 사진=우다퀀. ⓒ제주의소리
사진=우다퀀. ⓒ제주의소리
레피크 아나도르의 작품 '기억을 녹이다'. 사진=우다퀀. ⓒ제주의소리
사진=우다퀀. ⓒ제주의소리
제이든 J.A. 허스틴의 작품 '포스트 인간 배아합성기'. 사진=우다퀀. ⓒ제주의소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시민사회를 접속한다는 또 다른 상상권의 가능성은 아마도 최종 출구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인식적으로 사상적으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어떻게 가는가? 어떻게 거기까지 도달하는가? 우리는 그저 엄숙하게 타인의 현주소를 살피고, 동시에 자본 아래서 같은 노동계급의 신분에 속해 똑같이 억압받고 착취당할 처지에 있는 우리 자신을 볼 때만이 다른 종류의 정체성에 대한 상상력을 발견한다. 인류 역사상 유일하게 국경, 지역, 인종의식과 정체성을 진실로 초월하고, 땅에 발을 붙이고 자본화해 노동자, 농민은 물론 전 세계 노동자와 약자층의 혁명적 상상력을 발전시키고 있다.

돌아갈 수는 없다. 감염증 시대가 가져온 변화는 여전히 미지에 속해 세계가 정지 버튼을 눌렀을 때 한 구역에서는 이미 상상을 초월해 급속히 발전했다. 확실히 알게 된 것은 과거의 태평성세는 다시 오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아트페스티벌의 주제나 작품들을 보면 적지 않게 국가정부가 적극적으로 디지털 거버넌스를 향후 국가발전에 접목하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디지털 거버넌스 사고의 윤리 법칙이 어떻게 정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가? 혹은 사이버 유토피아는 완전히 확립된 것인가? 세계질서는 끊임없이 변전하고 교체돼 경계와 정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어 인류는 포스트 냉전시대의 가장 중요한 순간을 맞고 있다.

예술은 이 시점에서 사람의 마음의 치유와 위무 기능만 해서는 안 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차제에 논의의 물꼬를 터야 한다. 국경과 언어의 장벽을 넘어 많은 사람들의 집합적인 지식을 열린 정부(Open Government)의 호흡 공간으로 끌어들여 상상력의 용기를 북돋우고 함께 새로운 평화를 추구해 나가자!

우다퀀(吳達坤, WU Darkeun)은 타이페이국립미술대학을 졸업한 후 타이페이예술대학 <관두미술관> 큐레이터, 대안공간 <VT ARTSALON> 디렉터, <타이페이국제예술촌> 디렉터 등을 역임했습니다. 현재 타이페이 소재 복합문화공간 <C-LAB(Taiwan Contemporary Culture Lab) 수석큐레이터로 일하고 있습니다.


超越疆界的新秩序重組:「愛情數據」台北數位藝術節

在疫情肆虐的2020,終於邁入最後兩個月。今年許多機構美術館都經歷閉館開館的歷程,的展覽、論壇都在傳遞著,尤其線上活動更是多如牛毛,讓人疲於接受。美國總統選舉尚未完全公佈,中美關係也連帶將西太平洋第一島鏈的我們推向後冷戰時代最關鍵的時刻。

但近期在台北的藝術圈則有不少人討論著今年的第15屆的台北數位藝術節。從我的觀察而言,本屆ㄘ藉由青年世代的眼光,以定位社交、情感演算的數據關係,將社交場合的與混合實境並存。進而呈現出遊戲化、匿名、與配對的現象,以「愛情數據」作為主題,聚焦來討論網路時代的親密關係。

 「 致所有愛情魯蛇們 01_ ❤

網路約會的出現,開啟了另一種遇見彼此的空間,在這虛擬環境中,我們可以在這個空間上重新建立起對自己與對方彼此的期望,並且有無限的新選擇提供給我們。而我們拒絕對選擇定下承諾,因為在大量的數據訊息流中,下一個可能會更好。」錄自策展論述的「下一個會更好」。彷彿成為網路衝浪者運用約會軟體的糖衣藉口。速食約炮、無關責任也成為這時代的代名詞。更深層的含義是藉由線上、數據等探討社會與社交機制的改變。網路世界成為一種截然不同的民主場域機制,開源、共享、公民社會表面上為年輕世代急於擁抱的場域。在虛擬論壇上交友、倡議、發起活動,實際參與甚至發起政治異議群眾運動,甚至來一場巧妙的歡愛。這一切在線上不見得違背,而且可以合理的並存。在今年度的疫情之下,各項數據顯示,線上社交狀態反而有推波助燃的現象。

撇開虛擬世界,那而線下的真實發展呢?未來,是否有可能成為數據統計/統治的年代?

這樣的需求特質,在現下的今日社會被透過社會力制約來達成。讓人民以為你為了自己而做出選擇,其實你做的選擇已是早已被設計好的選擇。這就現今社交平台與大數據用以掌控用戶使用習慣的做法,當世人不知不覺成為其中一員。虛擬社會的便利性與隱藏的威脅亦是一體兩面。

作家阿道斯·赫胥黎的反烏托邦科幻小說《美麗新世界》中所描繪維持個人與社會間的協調的方式,最高目標是社會安定,而為了達成此目的必須有完整的社會制度。簡單而言即是於社會消除個人想法。只要能徹底做到,也就無所謂協調,因為兩者已然合而為一。美麗新世界為了安定決定消除個體性,而個體性的彰顯的基礎在於個人的獨特性,具體來說就是消除情緒、情感和思考。以建立單一性(identity)社會為基礎,型塑凝聚力、一體性(community),最後達到社會的維穩與安定。這樣的作法,聽起來似曾相似不是嗎?

當私有媒體財團掌控國家機器,則產生新的專制服膺於資本。而政府的法律能否因應時代潮流給予適度的協助與規範。維持自由市場機制不讓資本龐大到滲透國家機器,成為新的托辣斯巨人?畢竟基本上以政府治理為想像範圍的「網路公民社會」,縱使暫且先完全撇開意識型態不論,又必須樂觀相信是數據與AI集體智慧能解決當前目前紛雜而難解的分治/分裂狀態? 另一種想像的迫切需要抽象的「民主」想像的線上與線下「公民社會」連結很可能終究不會是出路,那我們,在認知與思想上又該如何自處呢?要怎樣走?如何到達那一步?我們只有嚴肅看清他者此刻的當下的同時看見自己,看見同屬勞動身分在資本下一致受壓迫與剝削的處境,才能看見另一種認同的想像,一種只屬於人類歷史上至今唯一能夠真正超越國界、超越地域、超越種族的意識與認同,並準確地面向資本,發展出不只是屬於工人、農人,甚至可以是全世界工人與弱勢階級的革命想像。

回不去了,疫情時代帶來的變動尚屬未知,當世界被按下暫停鍵時,另一個區塊正已超乎想像的數度迅速發展,可以確定的是過去的太平盛世不再。從藝術節的主題與作品中,我們嚴然看到不少國家政府積極將數位治理納進未來的國家發展。我們意識到數位治理所思考的倫理法則應該如何被界定?或是網路烏托邦能否完全成立?全球秩序正不斷滾動洗牌,超越疆界與政府,線上與線下,人類處在後冷戰時代最關鍵的時刻。

藝術在此時不應該只扮演療癒與安撫人心的功能,我私自認為。這應該是一個契機開啟一道討論之門。跨越國界跟語言的隔閡,將眾人的集體智慧,納入開放治理的呼吸空間,鼓起想像的勇氣,一起去追求嶄新的和平!


Reorganization of a new order beyond boundaries: "Love Data" Taipei Digital Arts Festival
 
 In 2020, when the epidemic is raging, it finally enters the last two months. This year, many institutional art museums have gone through the process of closing and opening, and exhibitions and forums are being passed on. In particular, there are so many online activities that people are tired of accepting.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has not yet been fully announced, and Sino-US relations have also pushed us, the first island chain in the Western Pacific, to the most critical moment in the post-Cold War era.

But recently, many people in Taipei's art circle are discussing the 15th Taipei Digital Art Festival this year. From my observation, this year's ㄘ uses the perspective of the young generation to locate the data relationships of social and emotional calculations, and coexist social situations and mixed reality. It then presents the phenomenon of gamification, anonymity, and pairing, with "love data" as the theme, focusing on discussing intimacy in the Internet age.

「To all love snakes 01_ ❤

The emergence of online dating has opened up another space for meeting each other. In this virtual environment, we can re-establish our expectations for ourselves and each other in this space, and we have unlimited new options for us. And we refuse to make a commitment to choice, because the next one might be better in the massive flow of data messages. "From the curatorial discussion of "The next one will be better." It seems to be a sugar-coated excuse for Internet surfers to use dating software. Fast food appointments and irrelevant responsibility have also become synonymous with this era. The deeper meaning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society and social mechanisms through online and data. The online world has become a completely different democratic field mechanism. On the surface, open source, sharing, and civil society are fields that young generations are eager to embrace. Make friends, make suggestions, initiate activities on virtual forums, actually participate in or even initiate political dissident mass movements, and even have a clever love. All of these are not necessarily violated online, and can coexist reasonably. Under this year's epidemic, various data show that the state of online social interaction has been boosted by waves.

Leaving aside the virtual world, what about the real development offline? In the future, is it possible to become the age of statistics/domination?

Such characteristics of demand are achieved through social constraints in today's society. Let the people think that you are making choices for yourself. In fact, the choices you make are choices that have already been designed. This is how social platforms and big data are used to control user habits, and people in the world become one of them unknowingly. The convenience of the virtual society and the hidden threats are also two sides of the same.

Writer Adols Huxley’s dystopian science fiction novel "Brave New World" describes the way to maintain the coordina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The highest goal is social stability,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re must be a complete social system. Simply put, it means to eliminate personal thoughts from society. As long as it can be done thoroughly, there is no coordination, because the two are already integrated. Brave New World decided to eliminate individuality for stability, and the manifestation of individuality is based on individual uniqueness, specifically the elimination of emotions, emotions and thinking.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an identity society, the cohesion and community are shaped, and finally the s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ociety can be maintained. This approach sounds similar, doesn't it?

When a private media consortium takes control of the state apparatus, it creates a new monopoly on capital. And whether the government's laws can provide appropriate assistance and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Maintain a free market mechanism to prevent capital from being huge enough to penetrate the state apparatus and become the new Trolasian giant? After all, the "Internet civil society" basically takes government governance as the scope of imagination. Even if we put aside ideology completely for the time being, we must be optimistic that data and AI collective wisdom can solve the current complicated and inexplicable state of division/division. ? Another kind of imagination that urgently needs abstract "democracy" imagination i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civil society" may not be the way out after all. Then, how should we cope with our cognition and thinking? How to go? How to get there? Only when we have a serious view of the other’s present moment and at the same time we see ourselves, and see the situation of the same labor status under the same oppression and exploitation under capital, can we see another kind of imagination of identity, one that belongs only to the only one in human history that can truly transcend. The consciousness and identification of national boundaries, transcending regions, transcending races, and accurately facing capital, has developed revolutionary imaginations that not only belong to workers and farmers, but even workers and disadvantaged classes around the world.

I can't go back.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epidemic era are still unknown. When the pause button is pressed in the world, another area is already developing rapidly beyond imagination. What is certain is that the past peace and prosperity are no more. From the themes and works of the art festival, we clearly see that many national governments are actively incorporating digital governance into future national development. How do we realize that the ethical laws of digital governance should be defined? Or can cyber utopia be fully established? The global order is constantly reshuffling, transcending borders and governments, online and offline, and mankind is at the most critical moment in the post-Cold War era.

]t this time, art should not only play a healing and soothing function, I think in private. This should be an opportunity to open a door for discussion. Cross the barriers between national borders and language, incorporate the collective wisdom of everyone into the breathing space of open governance, and muster the courage of imagination to pursue a new peace together!


国境を越えた新たな秩序の再編:「愛のデータ」台北デジタル・アート・フェスティバル
吳達坤(ウー・ダクァン)

感染症が猛威を振るった2020年もいよいよ最後の2か月に入った。今年は多くの美術館機関が閉館・開館の過程を経て、展覧会やフォーラムが伝えられた。特にオンラインでのイベントがうんざりするほどの勢いで盛んだ。アメリカ大統領選挙はまだ最終発表に至っておらず、中国と米国の関係も、冷戦後の西太平洋における第一列島線の最も重要な瞬間に我々を追い込んでいる。

だが、最近の台北のアート界では、今年の第15回デジタル・アート・フェスティバル台北についての議論が盛んだ。私の観察では、今回は若い世代の視点を通して、社会的・感情的に演算されるデータの関係性を見い出し、社会的状況とハイブリッドな現実とを併置しようとしている。さらに、ゲーム化・匿名化・ペアリングの現象を示して、「愛のデータ」をテーマに、インターネット時代の「親密さ」を論じることに焦点を当てている。

すべて愛のために 魯蛇們 01_ ❤

オンラインでの「出会い系」の出現は、自分たちへの期待を互いに再構築できる仮想環境において無限の新しい選択肢が用意されているような、もう一つの出会いの空間を開いた。そして、大量のデータやメッセージの洪水の中で、次に来るものの方がもっと良いかもしれないと、選択の責任を拒否するのである(キューレーションの議論「次はもっと良くなる」より)。まるで出会い系ソフトを使うインターネット・サーファーの砂糖にまぶされた言い訳のようだ。さらに深い意味は、社会と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変化をオンラインを通じてデータで模索することにある。オンラインの世界は明確に異なる民主的な場内メカニズム、オープンソース、共有、市民社会へと変化していて、どうやら若い世代が熱心に受け入れる領域のようである。バーチャル・フォーラムで友達を作り、行動を提唱し、実際に政治的異議を唱える大衆運動から微妙な恋にまで参画する。オンラインではこのすべてが侵害されずに合理的に併存できるのだ。今年のパンデミックに直面して、オンライン上の社会的相互交流が加熱現象となっていることを示唆するデータがある。

仮想世界はさておき、現実のオフラインの発展はどうなるのか?未来はデータ統計/統治の時代になる可能性があるのか?このような欲求の本質は、現今の社会では社会的制約を通して達成される。人々に自分のために選択をしているようと思わせながら、実際にはそれはすでに設計された選択なのだ。このように、ソーシャルプラットフォームやビッグデータは、人々が知らず知らずのうちにその一部になっている現在、ユーザーの習慣をコントロールするために利用されている。仮想社会の利便性と隠された脅威は表裏一体だ。

作家オルダス・ハクスリーのディストピアSF小説『すばらしき新世界』は、個人と社会の協調方式の維持を描き、最高目標とは社会の安定であり、その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完全な社会制度が必須であるとする。簡単に言うと、社会が個人の考えを消去することだ。これが徹底している限り、いわゆる協調の問題はない。すでに両者はひとつになっているのだから。『すばらしき新世界』は、安定のために個性を排除すること、個性の発現の基礎である個人の独自性、具体的には情緒、感情と思考を排除することに決定した。単一アイデンティティ社会の構築を基盤として、団結力や一体性を形成し、最後には社会の維持と安定を達成する。このやり方は,聞き覚えがないだろうか?

民間メディアのコングロマリットが国家装置を掌握すると、資本に従属する新たな専制が生まれる。政府の法律が、時代のトレンドに沿った適切な援助や規制を行えるかどうか。資本が国家装置に浸透して新たなトレロスの巨人となるほど肥大しないように、自由市場のシステムを維持できるか?結局、基本的に政府が統治することを想定範囲とする「インターネット市民社会」で、当面イデオロギーの問題は完全に脇に置くとしても、データとAIの集合知性が、現在の複雑で難解な分裂/分離の状態を解決できると楽観的に考えねばならないのか?
オンラインとオフラインの「市民社会」を接続するという別のイマジネーションの可能性は、おそらく最終的な出口とはならないだろう。ではわれわれは、認識的に思想的にどう対処するのか?どう行くのか?どうそこまでたどり着くのか?私たちはただ厳粛に他者の現状を目の当たりにし、同時に、資本の下で同じ労働階級の身分に属して同様に抑圧され搾取される境遇にある自分自身を見てこそ、別種のアイデンティティへの想像力を見い出す。人類史上唯一、国境、地域、人種意識とアイデンティティを真に超越し、地に足をつけて資本化し、労働者、農民だけでなく、世界の労働者や弱者層の革命的想像力を発展させている。

戻ることはできない。感染症の時代がもたらした変化はなお未知に属し、世界が停止ボタンを押された時、ある区域ではすでに想像を超えて急速に発展した。確実に分かったのは過去の太平盛世は二度と来ないということだ。アート・フェスティバルのテーマや作品を見る限り、少なからず国家政府が積極的にデジタル・ガバナンスを今後の国家発展に取り入れようとし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見て取れる。私たちは、デジタル・ガバナンス思考の倫理法則がどのように定められるべきだと認識しているのか?あるいはサイバー・ユートピアは完全に確立されたのか?世界の秩序は絶えず変転し入れ替わり、境界や政府、オンラインとオフラインを超えて、人類はポスト冷戦時代の最も重要な瞬間を迎えている。

芸術はこの時点で人の心の癒しや慰撫の機能だけを果たすべきではないと個人的には考えている。これを機に議論の扉を開くべきだ。国境と言語の壁を越え、多くの人々の集合的な知をオープン・ガバメントの呼吸空間に持ち込み、想像力の勇気を鼓舞して、ともに新しい平和を追求していこう!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