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 비상도민회의 25일 긴급기자회견 "제주공항 용량증대 불가 국토부 해명은 거짓"

25일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제주의소리
25일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제주의소리

국토교통부가 제주 제2공항 건설의 대안으로 제시된 '현 제주국제공항 확장안'이 안전상의 문제로 적용 불가능하다고 해명한 데 대해 제2공항 반대 단체가 즉각 "국토부의 해명은 거짓"이라고 맞불을 놨다. 국토부가 제2공항 건설을 강행하기 위해 스스로 무능·무책임을 자처하고 있다는 것이 시민단체의 반박이다.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는 25일 오후 4시 제주환경운동연합 회의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공항은 김해신공항과 달라 용량 증대가 곤란하다는 국토부의 해명은 근거와 설득력이 없는 거짓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이는 그동안 반대 단체의 주장에 대해 무시로 일관하던 국토부와 제주지방항공청이 이례적으로 나선 브리핑에 대한 재반박 성격을 띄었다.

앞서 제2공항비상도민회의는 지난 24일 논평을 내고 항공기 분리간격과 관련 제주국제공항과 김해신공항의 기준을 달리 적용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동안 국토부가 제주공항 항공기 분리간격 관제를 8해리 미만으로 줄일 수 없다고 주장한 것과 달리 김해신공항은 분리간격을 5해리로 적용했다는 것이다.

이에 국토부는 이튿날인 이날 오전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갖고 "제주공항은 지상에서 활주로가 교차해 간섭이 발생하므로 분리간격을 현 8해리에서 절반 구준으로 축소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김해신공항은 오픈 V자형의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2개의 활주로로 5해리의 분리간격 운영이 가능하다"고 맞섰다.

김해신공항의 경우 활주로가 겹치지 않아 이륙항공기와 착륙항공기 간의 간섭이 없어 2개의 활주로를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 제주는 물리적 충돌의 위험성도 있고, 짧은 활주로와 기상 등의 문제로 같은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판단이다. 현 제주공항의 보조활주로 길이가 1900m에 불과해 주활주로 3180m보다 너무 짧아 안전한 이착륙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25일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제주의소리
25일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제주의소리

그러나 비상도민회의는 국토부가 제주 제2공항과 김해신공항에 대해 '이중잣대'를 적용했다고 지적했다.

국토부의 설명과 달리 김해신공항 역시 2개 활주로의 독립적 운영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단체는 "남풍 운영의 경우 출발하는 항공기와 복행하는 도착항공기가 교차하기 때문에 독립 활주로를 활용할 수 없다. 교차가 발생하는 남풍 운영은 교차지점이 제주공항 교차지점보다 먼 거리에 있어 제주공항보다 오히려 불리하다"고 주장했다.

또 "제주공항은 지상에서 교차가 발생해 현행 8해리의 분리간격을 축소할 수 없다는 주장도 거짓"이라며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 보고서에는 단일활주로 개선 시 기존 8해리에서 6해리까지, 장기적으로는 5.5해리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실제 세계 유수의 공항에서 단일활주로 운영 시에도 분리간격을 5~5.5해리까지 단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상도민회의는 "보조활주로를 교차 운영할 때 4.5해리 분리는 교차점에서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전거리"라며 "첨단 관제시스템을 도입하고, 관제사와 조종사에 대한 훈련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지상인프라 개선이 이뤄진다면 충분히 가능한 사안이다. ADPi가 제시한 용량은 일반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용량과 다르지 않다"고 덧붙였다.

공항시설의 한계와 기상조건 이유로 분리간격 축소가 곤란하다는 국토부의 주장에 대해서는 "어떤 기상조건이 분리간격과 용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근거 자료가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비상도민회의는 "지난 10여년 사이에 전 세계 주요 혼잡공항들은 늘어나는 항공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첨단 관제운영시스템 도입과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통해 용량을 점진적으로 늘리고 있다"며 "세계의 많은 공항에서 이미 실현하고 있는 수준을 35년 후에도 달성하지 못하겠다는 국토부 항공정책 담당 관료들은 우리나라 항공정책을 책임질 자격이 없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