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임업인단체들 확대지정 "결사반대" vs 환경단체 "환영" 서로 다른 목소리

8일 농어업인회관에서 환경부 주관 제주국립공원 확대 지정에 대한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를 열기로 했지만 반대측이 이를 막아서고 있다. 찬성측도 집회를 열면서 한바탕 소란이 일었다.
8일 오전 제주농어업인회관에서 열릴 예정이던 제주국립공원 확대 지정을 위한 주민공청회가 표고버섯 농사 등 임업피해를 주장하는 임업인 단체의 피켓 집회로 파행을 빚고 있다. 이날 국립공원 지정을 촉구하는 환경단체 회원들도 피켓 집회에 나섰지만 다행히 물리적 충돌은 없었다.  

제주 국립공원 확대 지정을 위한 공청회가 1년 만에 재개됐지만 임업인들이 강력 반발하면서 개최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지정 면적도 대폭 축소돼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제주도는 8일 농어업인회관에서 환경부 주관 제주국립공원 확대 지정에 대한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를 열기로 했지만 임업인 단체가 막아서 1시간 가까이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임업인 단체는 제주도사회협약위원회 권고사항을 내세워 국립공원 확대 지정시 표고버섯 등 임업에 제한돼 피해가 발생한다며 확대 지정을 반대하고 있다. 

제주도임업인연합회는 “절차적 문제가 있는 공청회를 열수 없다. 당장 철회하라. 임업인들의 피해를 보고만 있을 수 없다”며 공청회 연기를 촉구했다. 

반면 환경단체는 중산간과 곶자왈, 추자·우도 해양도립공원 등 애초 계획대로 국립공원 지정 면적을 확대해야 한다며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8일 농어업인회관에서 환경부 주관 제주국립공원 확대 지정에 대한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를 열기로 했지만 반대측이 이를 막아서고 있다. 찬성측도 집회를 열면서 한바탕 소란이 일었다.
8일 농어업인회관에서 환경부 주관 제주국립공원 확대 지정에 대한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를 열기로 했지만 반대측이 이를 막아서고 있다. 찬성측도 집회를 열면서 한바탕 소란이 일었다.
제주참여환경연대와 제주환경운동연합 등 시민사회단체가 8일 환경부 주관 제주국립공원 확대 지정에 대한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 현장에서 찬성 집회를 열고 있다.
제주참여환경연대와 제주환경운동연합 등 시민사회단체가 8일 환경부 주관 제주국립공원 확대 지정에 대한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 현장에서 찬성 집회를 열고 있다.
제주도임업인연합회 등 임업 단체가 8일 환경부 주관 제주국립공원 확대 지정에 대한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 현장에서 반대 집회를 열고 있다.
제주도임업인연합회 등 임업 단체가 8일 환경부 주관 제주국립공원 확대 지정에 대한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 현장에서 반대 집회를 열고 있다.

공청회 현장에서도 양측이 피켓을 들고 집회에 나서면서 한차례 소란이 일었다. 현장에 있던 경찰이 이를 막아서면서 다행히 물리적 충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당초 제주도는 한라산국립공원(153㎢)에 오름과 중산간, 곶자왈, 습지, 천연동굴, 추자·우도 해양도립공원 등을 아우르는 국립공원 확대를 추진했다. 

2018년 환경부가 건아컨설턴트·한국생태학회 컨소시엄에 의뢰한 ‘제주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타당성조사 연구용역’에서는 지정 확대 면적을 610㎢로 제안했다.

육상의 경우 한라산국립공원 면적을 기존 153㎢에서 197.8㎢로 확대하고 동백동산과 거문오름, 비자림, 월랑봉, 곶자왈도립공원 등 7개 구역 328.7㎢를 포함시켰다.

해상은 우도·성산일출해양도립공원과 서귀포해양도립공원, 마라해양도립공원, 추자해양도립공원, 수월봉·차귀도 등 5개 구역을 품기로 했다. 면적만 281.3㎢에 달한다.

이 과정에서 추자도와 우도 주민과 임업인들이 반발하면서 면적이 대폭 줄었다. 제주도사회협약위원회가 우도와 추자도 표고·산양삼 재배지역을 제외하도록 권고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제주도와 환경부는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해 확대 지정 면적을 기존 610㎢에서 303㎢로 절반 가까이 줄였다. 동부지역 오름군락과 중산간지대 곶자왈 일대가 계획안에서 잘려나갔다.

환경부 관계자는 “주민들 의견을 수렴한 결과다. 버섯 재배는 제주도와 협약을 하면 국립공원에서도 가능하다. 육지도 마찬가지다. 예정대로 공청회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국립공원 확대 지정을 위해서는 공청회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환경부는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를 거쳐 2021년 1월 중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