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예술칼럼, Peace Art Column] (36) 김동현

제주도는 평화의 섬입니다. 항쟁과 학살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은 더욱 간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주4.3이 그렇듯이 비극적 전쟁을 겪은 오키나와, 2·28 이래 40년간 독재체제를 겪어온 타이완도 예술을 통해 평화를 갈구하는 ‘평화예술’이 역사와 함께 현실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세 나라 세 섬의 예술가들이 연대해 평화예술운동을 벌이고 있어 이에 대한 창작과 비평, 이론과 실천의 공진화(共進化)도 매우 중요합니다. 독립언론 <제주의소리>가 세 섬 예술가들의 활동을 ‘평화예술칼럼(Peace Art Column)’을 통해 매주 소개합니다. 필자로 국외 작가들이 참여하고 있어 중어, 일어, 영어 번역 원고도 동시 게재합니다. [편집자 글]

오키나와 작가로는 처음으로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했던 소설가 오시로 다쓰히로(大城立裕) 씨가 2020년 10월 27일 숙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95세.

오시로 다쓰히로는 1947년부터 소설을 쓰기 시작해 마타요시 에이키, 사키야미 다미, 오시로 사다토시, 메도루마 슌 등 오키나와 작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준 오키나와문학의 거장이다. 아쿠타가와 수상작인 ‘칵테일 파티’를 비롯해, ‘신의 섬(神島)’ 등 다양한 작품을 써왔다. 그의 문학세계는 오키나와를 넘어 동아시아, 나아가 새로운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열어왔다고 평가받는다.

오키나와 작가 오시로 다쓰히로의 생전 모습. 사진=김동현.
오키나와 작가 오시로 다쓰히로의 생전 모습. 사진=김동현.

오시로 다쓰히로를 알린 작품은 무엇보다 1967년 아쿠타가와 수상작인 ‘칵테일 파티’다. ‘칵테일파티’가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하게 된 계기는 다양하다. 당시만 해도 오키나와는 미군이 점령하고 있었다. 1972년 오키나와는 일본 복귀를 앞두고 있었다. 이즈음 오키나와에 대한 일본 본토의 관심은 점차 커져갔다. 일본 본토 입장에서는 패전 이후 미국에게 뺏긴 영토의 반환이라는 정치적 관점이 작용할 수밖에 없었다. 거기다가 일본 본토와 확연히 다른 오키나와에 대한 이국적 관심도 포함되어 있었다. ‘칵테일파티’의 아쿠타가와 수상은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 결과였다. 오시로 다쓰히로의 아쿠타가와 수상은 오키나와에서도 상당한 반향을 일으켰다. 오키나와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이하 후유(伊波普猷 1876-1947)가 오키나와 청년이 일본어로 문학작품을 써서 중앙에서 한사람으로서 인정받는 것은 무리라고 한 적 있었으니, 그의 수상에 대한 오키나와의 반응을 짐작할 수 있다. 

그가 남긴 많은 작품 중에서 ‘신의 섬’은 가히 문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오키나와 집단 자결’(오키나와에서는 집단 강제사라는 표현을 쓴다)을 다룬 이 작품은 다양한 인물군을 통해 전후 오키나와의 문제적 성격을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생전 오시로 다쓰히로는 ‘신의 섬’이 일본 본토에서는 그다지 주목을 하지 않는다고 말한 적이 있다. 오키나와 강제 집단사라는 일본 본토 입장에서는 거론하기 꺼려하는 역사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작품은 단순히 일본 본토의 잘못만 추궁하지는 않는다. 경제부흥을 약속한 일본 정부의 정책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스스로 진실을 외면하고 마는 오키나와인들의 이중적인 태도도 함께 지적하고 있다. 

‘신의 섬’을 읽다보면 제주 4.3항쟁 이후 제주가 지나온 시간들과 오키나와가 지나왔던 전후의 기억들이 묘하게 중첩된다. 그것은 제주 4.3과 오키나와 전투라는, 두 지역이 지닌 역사적 기억의 유사성으로만 설명할 수 없는 문제다. 거기에는 전후 동아시아라는 지역이 통과할 수밖에 없었던 동시적 시공간의 경험, 이를테면 제주와 오키나와가 ‘따로 또 같이’ 겪을 수밖에 없었던 냉전의 세계사가 놓여있다.

2차대전 당시 오키나와는 일본 영토에서 유일하게 미군과의 지상전이 벌어진 지역이다. 오키나와 전투 당시 본토 출신의 군인 6만5000여 명, 오키나와 징집병 3만 명, 민간인 9만4000명이 희생되었다. 조선인 군부와 위안부 1만여 명도 포함되어 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이 체결되면서 1952년부터 1972년 일본 복귀에 이르기까지 오키나와는 미군 점령지이었고 일본 복귀 이후에도 ‘반복귀론’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미군 점령 이후 계속된 미군기지 문제는 여전히 오키나와가 일상화된 전쟁의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뿐만이 아니다. 80년대 이후 ‘오키나와 병’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 본토의 오키나와 붐에 대한 반발도 여전하다.

오시로 다쓰히로의 작품 '신의 섬'이 실린 국내 번역 출판본. 출처=알라딘.
오시로 다쓰히로의 작품 '신의 섬'이 실린 국내 번역 출판본. 출처=알라딘.

제주는 어떠한가. 1948년 남한만의 단독선거에 반대해 일어났던 제주 4.3항쟁 당시 3만여 명의 제주인들이 목숨을 잃었다. 대부분이 1948년 11월 중순부터 1949년 3월까지의 이른바 ‘초토화 작전’에 의한 죽음이었다. 1949년 4월 10일 “절멸 수준”의 ‘진압작전’이 성공했다고 판단한 이승만은 제주를 방문한다. 신성모 국방장관, 이윤영 사회부 장관과 동행한 이승만의 방문 목적은 분명했다. ‘폭도 진압 격려’와 ‘도민 위로’. 이승만의 제주 시찰을 전하는 언론 보도들의 내용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주요 내용은 이 두 가지다. 그것은 ‘절멸’의 공간으로 전락한 제주의 ‘재건’과 ‘재생’ 이었다. 이른바 ‘토벌 작전의 성공’ 이후 ‘잔비 소탕’과 함께 대두되었던 것이 ‘재건’과 ‘재생’이었다.

이때의 ‘재건’과 ‘재생’은 과거 지역 공동체의 복원이 아니었다. 반공국가의 치밀한 기획이 개입된 자발성을 가장한 ‘재건’이었다. 이를테면 반공국가의 타자로서 지역성이 거세된 ‘재건’이었고 ‘재생’이었다. 현기영이 예리하게 지적했듯이 “전 세대와의 폭력적 단절”을 통한 ‘재건’과 ‘재생’이었다. 제주 4.3항쟁 이후 1950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제주는 빠르게 반공국가 체제에 편입되어 갔다. 이러한 편입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제주 청년들의 해병 3·4기 입대였다. 그것은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했다가 폭도, 역도의 이름으로 학살당한” “선배들과의 영원한 결별”이자 “모순을 수락할 수밖에 없”는 강요된 선택이었다. 그렇게 제주인들은 ‘비국민’에서 ‘국민’이 되어갔다. 비국민의 경험과, 국민이 되길 강요받았던 시간, 어쩌면 제주와 오키나와는 그렇게 같은 시간을 겪어왔는지 모른다. 

제주에서 오키나와를 바라보면서 우리는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가. 제주와 오키나와가 겪어왔던 시간을 기억하는 일은 세계사로서 제주와 오키나와를 읽어가고자 하는 일인지도 모른다. 그것이 오시로 다쓰히로가 던졌던 질문인지도 모른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 오시로 다쓰히로 약력

1925년 오키나와 현에서 태어났다. 1943년 중국 상하이 동아동문서원대학(東亞同文書院大學)에 입학했다. 일본이 패전한 이후인 1946년 학업을 중단하고 오키나와로 돌아왔다. 미군 점령 시절에 오키나와에서 고등학교사로 재직하였고  1967년 ‘칵테일 파티’로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했다. 2002년에는 13권의 ‘오시로 다쓰히로 전집’을 발간했다. 90세가 넘어서도 왕성한 작품활동을 해왔다. 소설뿐만 아니라 희곡, 에세이, 평론도 활발하게 발표하면서 문학에 국한되지 않고 오키나와 문화 전체를 견인한 작가이자 지성계의 큰 별로 평가받는다. 고인의 서거 이후 오키나와 타임즈와 류큐신보 등 오키나와 유력지는 특집 지면을 꾸려 그의 죽음을 추모했다. 

# 김동현

문학평론가. 제주에서 태어났다. 제주대학교 국문과와 한신대 문예창작대학원, 국민대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지은 책으로는 《제주, 우리 안의 식민지》, 《제주, 화산도를 말하다》(공저),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공저) 등이 있다. 한때 지역신문 기자로 일하기도 했다. 지금은 제주, 오키나와를 중심에 두고 지역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제주 MBC, 제주 CBS 등 지역 방송 프로그램에서 시사평론가로, 제주민예총에서 정책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大城立裕が投げかけた問い―済州が沖縄を読むべき理由
金東炫

沖縄の作家として初めて芥川賞を受賞した小説家・大城立裕氏が2020年10月27日、持病でこの世を去った。享年95。大城は1947年から小説を書き始め、又吉栄樹、崎山多美、大城貞俊、目取真俊など沖縄の作家たちに多大な影響を与えた沖縄文学の巨匠だ。芥川賞受賞作の『カクテル・パーティー』をはじめ、『神島』など様々な作品を手がけてきた。氏の文学世界は、沖縄を越えて東アジアひいては新しい世界文学の可能性を切り開いてきたと評価される。

大城立裕を世に知らしめた作品は、何をおいても1967年の芥川賞受賞作『カクテル・パーティー』だ。この作品が芥川賞を受賞した理由はいろいろある。当時、沖縄は米軍が占領しており、1972年に日本への復帰を控えていた。この頃、沖縄に対する日本本土の関心は次第に大きくなった。日本本土の立場からすれば、敗戦後にアメリカに奪われた領土の返還という政治的観点が作用せずにはいなかった。さらに、日本本土と確実に異なる沖縄への異国的な関心も含まれていた。『カクテル・パーティー』の芥川賞受賞は、このような雰囲気を反映した結果だった。大城の芥川賞受賞は沖縄でも相当な反響を呼んだ。「沖縄学」の父と呼ばれる伊波普猷が、沖縄の青年が日本語で文学作品を書き、中央で一人前に認められるのは至難だと言ったことがあるくらいだから、これを覆した大城の受賞に対する沖縄の反応は推察できる。 

大城が残した多くの作品のうち、『神島』はまさに問題だといえる。「沖縄集団自決」(沖縄では「集団強制死」という表現を使う)を扱ったこの作品は、多様な人物群像を通して戦後沖縄の問題的性格を表した作品だ。生前、大城は『神島』が日本本土ではあまり注目されていないと語ったことがある。沖縄の強制集団死という日本本土の立場では取り上げないような歴史を扱っているためでもある。しかし、この作品は単に日本本土の過ちだけを追及するのではない。経済復興を約束した日本政府の政策を無批判的に受け入れ、自ら真実に背を向けてしまう沖縄県民のダブルスタンダードも指摘している。 

『神島』を読んでいると、済州4.3抗争以後、済州が通過した時間と沖縄が通過した戦後の記憶が妙に重なる。それは、済州4.3と沖縄戦という、両地域が持つ歴史的記憶の類似性だけでは説明できない問題だ。そこには戦後の東アジアという地域が通過せざるを得なかった同時代的時空間の経験、例えば済州と沖縄が「別々に」経験せざるを得なかった冷戦の世界史がある。

第2次世界大戦当時、沖縄は日本領土で唯一、米軍との地上戦が行われた地域だ。沖縄戦当時、日本本土出身の軍人約6万5000人、沖縄で徴集された兵士3万人、民間人9万4000人が犠牲になった。それには1万人の朝鮮人軍夫と慰安婦も含まれる。1951年に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が締結された後も、1952年から1972年の日本復帰に至るまで沖縄は米軍占領地であり、日本復帰後もなお「反復帰論」が台頭した。米軍占領以来続いた米軍基地問題は、依然として沖縄が、日常化した戦争の記憶から抜け出せずにいることを示している。これだけではない。 80年代以降の「沖縄病」と自称する日本本土の沖縄ブームに対する反発も依然として存在する。

済州はどうか。1948年、南朝鮮だけの単独選挙に反対して起きた済州4.3抗争当時、約3万人の済州人が命を失った。大部分が1948年11月中旬から1949年3月までのいわゆる「焦土化作戦」での死だった。1949年4月10日、「絶滅水準」の「鎮圧作戦」が成功したと判断した李承晩(イ·スンマン)は済州を訪問する。申性模(シン·ソンモ)国防長官、李允栄(イ·ユンヨン)社会部長官と同行した李承晩の訪問目的である 「暴徒鎮圧激励」と「道民慰労」。 李承晩の済州視察を伝えるマスコミ報道の内容は多少差があるが、主な内容はこの2つだ。それは「絶滅」の空間に転落した済州の「再建」と「再生」だった。いわゆる「討伐作戦の成功」以降、「残滓掃討」とともに台頭したのが「再建」と「再生」だった。

その時の「再建」と「再生」は、かつての地域共同体の復元ではなかった。反共国家の緻密な企画が介入した、自発性を装った「再建」だった。例えば反共国家のバッテリーとしての地域性を強めた「再建」であり「再生」だった。玄基榮が鋭く指摘したように「全世代との暴力的断絶」による「再建」と「再生」だった。済州4·3抗争以後、1950年の朝鮮戦争を経て済州は素早く反共国家体制に編入されていった。こうした編入を象徴的に示すのが済州青年の海兵3.4期入隊だった。それは「南韓での単独政府樹立に反対して暴徒の名で虐殺された」「先輩たちとの永遠の決別」であり「矛盾を受け入れるしかない」という強要された選択だった。そうして済州人たちは「非国民」から「国民」になっていった。非国民の経験と、国民になることを強要された時間、もしかしたら済州と沖縄はそのようにして同じ時間を経験してきたのかも知れない。 

済州道から沖縄を眺めながら、私たちは何を考えるべきか。済州と沖縄が経験してきた時間を記憶することは、世界史としての済州と沖縄を読みとることかもしれない。それが大城立裕が投げかけた問いなのかもしれない。謹んで故人の冥福を祈る。 

写真1 沖縄の作家・大城立裕の生前の姿  写真=金東炫
写真2 大城の作品『神島』が掲載された国内翻訳出版本。 出所=アラジン。

# 大城立裕略歴
1925年、沖縄生まれ。1943年、中国上海の東亜同文書院に入学。敗戦後の1946年に学業を中断して沖縄に戻る。米軍占領時代に沖縄で高等学校教師となり、1967年『カクテル・パーティー』で芥川賞を受賞した。2002年には13冊の「大城立裕全集」が刊行された。90歳を過ぎても旺盛な作品活動を展開。小説だけでなく戯曲、エッセイ、評論も活発に発表し、文学に限らず沖縄文化全体を牽引した作家であり、知性界の大きな星と評価される。逝去後、沖縄タイムスや琉球新報など沖縄の有力紙は特集紙面を組んで彼を追悼した。 

# 金東炫 
済州島生まれの文学評論家。済州大学国文科と韓神大学文芸創作大学院、国民大学大学院で学ぶ。著書に『済州、檻の中の植民地』、『済州、火山島を語る』(共著)、『在日朝鮮人自記敍事の文化地理』(共著)などがある。一時、ローカル新聞の記者として働いたこともある。現在は済州、沖縄を中心に地域研究を続けている。済州MBC、済州CBSなどの地域放送番組の時事評論家として、また済州民芸総で政策委員長として活動。現 慶熙大学グローバル琉球・沖縄研究所 硏究員


The Question Posed by OSHIRO Tatsuhiro - Why Jeju Must Read Okinawa
KIM Dong-hyun

The first Okinawan writer to win the Akutagawa Prize, novelist OSHIRO Tatsuhiro, passed away on October 27, 2020 from a chronic illness at the age of 95. Oshiro, who began writing novels in 1947, was a master of Okinawan literature who influenced many Okinawan writers, including MATAYOSHI Eiki, SAKIYAMA Tami, OSHIRO Sadatoshi, and MEDORUMA Shun. He is the author of "the Cocktail Party," which won the Akutagawa Prize, as well as "God's Island," and many other works. His literary is said to have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a new world literature beyond Okinawa and into East Asia and beyond.

The work that introduced OSHIRO to the world is above all, “the Cocktail Party”, which won the Akutagawa Prize in 1967. There are various reasons why “the Cocktail Party” won the Akutagawa Prize. At that time, Okinawa was occupied by the U.S. military and was scheduled to be returned to Japan in 1972. At this time, mainland Japan's interest in Okinawa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mainland's standpoint, the political perspective of the return of territory taken by the U.S. after its defeat was inevitable. It also included an exotic interest in Okinawa that was decidedly different from mainland Japan. The Akutagawa Prize for “the Cocktail Party” reflected this atmosphere. Oshiro's Akutagawa Prize win caused quite a stir in Okinawa as well. IHA Fuyu, the father of Okinawan studies, once had said that it was impossible for a young Okinawan to write a literary work in Japanese and be recognized as a full-fledged author in Japan, we can infer the reaction of Okinawa to Oshiro’s great achievement.

Among his many works, "Kami-Shima(Island of God)" is quite problematic. Dealing with "collective suicide in Okinawa" (Okinawans use the term "collective forced death"), it reveals the problematic nature of post-war Okinawa through the portraits of a variety of characters. Before his death, Oshiro said that "God's Island"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in mainland Japan. This is partly because it deals with the history of the forced mass deaths in Okinawa, a history that is not willingly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mainland Japan. However, the work does not merely pursue the wrongs of mainland Japan. It also points out the double standard of Okinawans who uncritically accept the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promised economic revival, and turn their backs on the truth. 

In reading "Island of God," the time that Jeju has passed through since the Jeju 4.3 Uprising overlaps strangely with Okinawa's memories of the past. This is a problem that cannot be explained only by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historical memories of Jeju 4.3 and the Battle of Okinawa. There are contemporaneous temporal and spatial experiences that the region of East Asia had to go through after the war, for example, the world history of the Cold War that Jeju and Okinawa had to experience "separately".

During World War II, Okinawa was the only area in Japanese territory where a ground battle with the U.S. military took place. More than 65,000 soldiers from the mainland, 30,000 Okinawa conscripts and 94,000 civilians were killed during the Okinawa battle. That includes 10,000 of the Koreans, the military and comfort women. Even after the signing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1951, Okinawa was a U.S. military-occupied area from 1952 to 1972, and even after its return to Japan, and "anti-reversion" arguments continued to emerge.
The problem of U.S. military bases that has persisted since the U.S. occupation shows that Okinawa is still stuck in the memory of the war that has become an everyday occurrence. This is not all. There is also still a backlash against the Okinawan boom on the Japanese mainland, the so-called "Okinawa Disease" of the 1980s and beyond.

Jeju situation? In 1948, some 30,000 Jeju residents lost their lives during the Jeju 4.3 uprising against the limited general election in South Korea. Most of the deaths were caused by the so-called "surge operation" from mid-November 1948 to March 1949. On April 10, 1949, judging the "extermination-level" "suppression operation" to have succeeded, Lee Seung-man visited Jeju. Accompanied by Minister of Defense Shin Seong-mo and Minister of Social Affairs Lee Yun-young, the purpose of Lee's visit was to "pep up the mob" and "comfort the people of the province".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media reports that convey Lee's visit to Jeju, but the main content is these two. It was "reconstruction" and "revitalization" of Jeju, which degenerated into a space of "extinction." After the so-called "success of the punitive operation," it was "reconstruction" and "regeneration" that emerged along with "resurrection."

The "reconstruction" and "regeneration" in that case was not the restoration of the former regional communities. It was "reconstruction" in the guise of spontaneity, with the elaborate plans of the anti-communist state intervening. For example, as batteries of the anti-communist state, it was a "reconstruction" and "rebirth" that strengthened the local character. As Hyeon Ki-young astutely pointed out, it was "reconstruction" and "regeneration" through "violent disconnection with an entire generation. After the Jeju 4.3 Uprising, Jeju was quickly incorporated into the anti-Communist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A symbolic sign of this incorporation was the enlistment of Jeju's young men in the stage of the Marine Corps. It was a choice forced on them that they had no choice but to accept the contradiction in their opposi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ment of their own, which was massacred in the name of rioters, and an eternal farewell to their seniors. Thus, Jeju people went from being "unpatriotic" to "national". The experience of being a "non-national" and the time they were forced to become a nation, perhaps this is how Jeju and Okinawa experienced the same time. 

As we look at Okinawa from Jeju-do, what should we think about? To remember the time that Jeju and Okinawa experienced may be to try to read them as world history. That may be the question posed by Oshiro Tatsuhiro. I sincerely pray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s soul. 

Photo1 Okinawan writer OSHIRO Tatsuhiro Photo=Kim Dong-hyun.
Photo2 A domestic translated publication featuring OSHIRO 's work "Island of God." Source: Aladdin.

# Biography of OSHIRO Tatsuhiro
Born in 1925 in Okinawa, Japan, he enrolled in 1943 at the East Asia Documentation Institute University in Shanghai, China. After Japan's defeat, he interrupted his studies in 1946 to return to Okinawa, where he worked as a high school teacher during the U.S. occupation. He won the Akutagawa Prize in 1967 for "the Cocktail Party. In 2002, the entire 13-volume collection of his works was published. He has been active in his works even after he was 90 years old. He worked not only on novels but also plays, essays and reviews, and was a writer who led not only literature but also the Okinawan culture as a whole, and is regarded as a great star in the world of intellect. After his death, leading Okinawan newspapers such as the Okinawa Times and the Ryukyu Shimpo paid tribute to him with special features. 

# Kim Dong-hyun 
A literary critic. Born on Jeju Island. Studied at the Department of Nationalities of Jeju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Letters of Han Shin University, and the Graduate School of Kookmin University. He is the author of “Jeju, a Colony in a Cage”,”Jeju, Talking about Volcanic Island (co-authored)” and Zainichi Koreans in Japan: The Cultural Geography of Autobiography and Transcription (co-authored)”. He once worked as a reporter for a local newspaper. Currently, he continues to do regional research, focusing on Jeju and Okinawa. He has worked as a current affairs critic for regional broadcast programs such as Jeju MBC and Jeju CBS, and as the policy chairman at the Jeju Folk Art Association.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