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칭 제주형 공공폐자원처리시설 설립 추진...봉개-색달 폐쇄 유력 ‘대형 광역소각지 검토’

제주도가 쓰레기 소각 대란을 막기 위해 가칭 ‘친환경 공공폐자원처리시설’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출처-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도가 쓰레기 소각 대란을 막기 위해 가칭 ‘친환경 공공폐자원처리시설’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출처-제주환경운동연합]

늘어나는 쓰레기 소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가 가칭 ‘친환경 공공폐자원처리시설’ 설립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향후 입지 선정을 두고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15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형 소각시설인 친환경 공공폐자원처리시설 추진을 위해 기본계획 수립 절차가 올해 중에 이뤄진다.

과거 도내 광역폐기물소각시설은 제주시 봉개동의 북부환경관리센터와 서귀포시 색달동의 남부환경관리센터 2곳 뿐이었다.

2019년 12월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에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본격 가동하면서 현재 광역소각시설은 3곳으로 늘었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는 2058억원을 들여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100% 소각 가능한 설비를 갖췄다. 가연성 폐기물 소각시설의 하루 처리량만 500톤에 달한다.

문제는 나머지 2곳이다. 봉개동 북부환경관리센터 소각시설은 2003년 문을 열어 하루 처리량이 200톤, 색달동 남부환경관리센터 소각시설은 하루 처리량이 70톤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마저 설비 노후화 등의 영향으로 실제 처리량은 설비용량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기 전인 2019년 한해 처리량은 각 4만4272톤, 1만8653톤이었다.

2020년 7월 ‘제주특별자치도 광역폐기물소각시설 운영․관리 조례’가 개정되면서 봉개동 소각장은 제주시, 색달동 소각장은 서귀포시 물량만 처리하고 있다.

봉개동 소각장의 경우 제주시와 산북소각장 주민지원협의체와의 협약에 따라 당초 2020년 2월말까지 소각시설을 폐쇄하기로 했다. 이후 추가 논의를 거쳐 2023년 2월말로 3년 연장했다. 

색달동 소각장은 별도 약정한 사용기한이 없지만 처리능력 저하로 대체 설비 확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설비 노후화에 따른 내구연한도 최대 2025년 내외로 점쳐지고 있다.

두 곳을 대체할 설비가 제주형 친환경 공공폐자원처리시설이다. 쓰레기 증가와 2개 시설 폐쇄 등을 고려하면 최소 하루 300톤 이상 처리 가능 설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기계 수명과 주민과의 협약 등을 고려하면 이를 대체할 광역소각장이 필요하다”며 “2025~2026년 포화를 전제로 사업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의 위치를 보면 신규 시설은 산남지역이 맞지만 후보지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 기본계획 수립과 국비 확보 등 처리해야 할 사안들이 많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