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예술칼럼, Peace Art Column] (44) 김동현

제주도는 평화의 섬입니다. 항쟁과 학살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은 더욱 간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주4.3이 그렇듯이 비극적 전쟁을 겪은 오키나와, 2·28 이래 40년간 독재체제를 겪어온 타이완도 예술을 통해 평화를 갈구하는 ‘평화예술’이 역사와 함께 현실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세 나라 세 섬의 예술가들이 연대해 평화예술운동을 벌이고 있어 이에 대한 창작과 비평, 이론과 실천의 공진화(共進化)도 매우 중요합니다. 독립언론 [제주의소리]가 세 섬 예술가들의 활동을 ‘평화예술칼럼(Peace Art Column)’을 통해 매주 소개합니다. 필자로 국외 작가들이 참여하고 있어 일어, 영어 번역 원고도 동시 게재합니다. [편집자 글]

진상과 표류에 의해 촉발된 만남

조선왕조실록을 살펴보면 제주와 오키나와(류큐)의 교류가 적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1475년(세조3년)에 풍랑을 만나 류큐에 표류한 제주 사람을 조선으로 송환했다는 기록부터 1891년(고종 28년) 제주에 표류한 오키나와(류큐)인을 돌려보내도록 했다는 기록까지 제주와 오키나와의 조우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류큐 어선이 지금의 경상북도 울진에 표류했다거나, 류큐의 사신이 조공을 바쳤다는 사실도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보면 오키나와는 제주, 나아가 조선의 시야에서 충분히 바라볼 수 있는 대상이었다. 수평선 너머 우리와 다른 이국의 존재를 의식하는 것은 그 자체로 지리적 시선의 확장이라고 볼 수 있다. 

‘진상(進上)’과 ‘표류(漂流)’라는 키워드로 봉건시대에 이뤄졌던 두 지역의 교류를 정의할 수있다면 현대사에서 오키나와는 과연 어떤 존재였을까. 일본 영토에서 유일하게 지상전이 벌어졌던 오키나와의 역사에서 알 수 있듯이 오키나와는 일본 제국의 무차별적 폭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소였다. 일본 제국의 폭력은 오키나와 사람들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었다. 류큐대학의 오세종 교수가 쓴 <오키나와와 조선의 틈새에서>는 1945년 오키나와 전쟁 전후에 오키나와에 있었던 조선인들의 삶이 잘 드러나 있다. 거기에는 일본인-오키나와인-조선인으로 이어지는 식민주의적 차별이 복잡하게 얽혀져 있다. 오랫동안 오키나와 조선인 ‘위안부’를 연구했던 홍윤신(洪允伸)과 오키나와인들의 노력 끝에 오키나와에 130여개의 ‘위안소’가 설치됐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미야코 섬을 비롯한 오키나와 곳곳에 세워진 위령비는 오키나와로 끌려갔던 그들을 위한 작은 위로였다.

미야코 섬의 아리랑비. 사진=김동현.

1945년 8월 ‘해방’과 ‘점령’의 교차가 조선의 비극적인 분단으로 이어졌다면 오키나와는 미국의 국익을 위한 ‘점령된 땅’이자, 일본 본토의 평화를 위한 ‘희생의 땅’이 되었다. 이승만, 박정희, 요시다 시게루(吉田茂), 기시 노부스케(岸信介) 등 한국과 일본의 정치인들은 전후 냉전 체제라는 거울에 비춰진 일그러진 얼굴이었다. 자신들의 권력을 위해 제주를 ‘빨갱이 섬’으로 몰아세웠던 한국의 상황이나, 자신들의 평화를 위해 오키나와를 희생양으로 삼았던 일본 본토의 처지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남한사회에서 ‘빨갱이 섬멸’이 ‘개발과 재건’으로 바뀌면서 국가의 지배와 폭력은 더욱 교묘해졌다. 오키나와 역시 마찬가지였다. 1972년 ‘일본 복귀’ 이후 ‘오키나와 부흥정책’은 군사기지화 된 오키나와의 모순을 숨기기 위한 본토의 전략이었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고 했던가. 국가의 지배 전략은 ‘꼼꼼’하고 ‘치밀’했다. 1963년 자유항 설정 구상으로 시작된 제주개발 정책이 1991년 제주개발특별법, 2000년대 제주특별법으로 이어지는 과정이나 오키나와 미군기지 등의 문제는 국가라는 거대한 폭력 앞에서 지역이 어떻게 변해갔는지를 잘 보여준다. 

제주와 오키나와를 관통하는 힘, 미국

해방 이후 남한 사회에서 오키나와가 거론되는 순간을 살펴보면 두 지역 간의 만남이 식민주의와 냉전 체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 언론에서 오키나와를 언급하는 사례를 살펴보면 미군 기지 문제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1972년 오키나와 ‘일본 복귀’를 전후로 해서는 미군 기지 이전이 중요한 이슈였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것은 미군 기지 이전 문제와 제주가 함께 언급되고 있다는 점이다. 1968년 6월 동아일보에는 <오키나와 미기지 제주도 이전 논의>라는 기사가 실리고(사진=1968년 6월 18일 동아일보),  제주도가 발행하는 <제주도지>에 ‘오키나와 특집’이 게재되기도 했다.

'경향신문' 1969년 6월 6일자 1면. ‘제주에 해공군기지-한미 국방회담서 의견 모은 듯’이란 제목이 보인다. 사진=김동현.

오키나와 미군기지 이전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는 제주도를 미군기지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제주도를 미군기지로 제공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밝혔고, 제주에 미 공군기지와 해군기지까지 건설할 수 있다는 한미간 합의가 이뤄졌다는 보도도 나왔다.

국회에서도 오키나와 반환 문제가 거론되면서 미군기지 유치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국방부 차관을 지냈던 박병배 의원(신민당)은 국회 본회의에서 국가 안보를 위해 오키나와 미군 기지를 제주도에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당시 제주 출신 국회의원은 제주도민들이 환영대회를 열겠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당시 신문 보도 내용을 소개한다. ‘3국 고민 한 목 해결된다고’, 《경향신문》, 1968.6.18. “오키나와 미군기지의 제주도 이동 문제가 한일간에 논의되었다는 보도는 정가에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킨 듯, 지난 번 국회에서 안보 문제에 관한 대정부 질문에서 오키나와 미군기지유치론을 제창한 바 있는 신민당의 박병배 의원은 18일 상오 “내가 바로 그 창안자”라고…제주도 출신의 양정규 의원은 “제주도민 전원이 궐기해서 환영대회라도 열겠다”고 가슴 부푼 반응을 보였고...”)

이러한 논의들은 국가 안보라는 명분으로 희생을 강요하는 힘의 논리가 깔려 있다. 미군기지 반환문제가 대두되면서 제주가 언급되는 과정은 오키나와가 미군 점령 이후 분리 통치되었던 5년 동안 소위 사석(捨石)으로 여겨졌다가 1950년 대 이후 요석(要石)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이유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1969년 제주도지에 오키나와 특집이 실릴 무렵 아사히 저널에는 무라카미 카오루(村上薰)의 '다음의 전개-오키나와에서 제주도로(次の展開-沖繩から濟州島へ)'라는 내용의 글이 실린다. 또 비슷한 시기에는 군사전문가인 쿠즈미 타다오(久住忠男)의 오키나와 기지의 제주 이전설과 관련한 글이 발표되기도 했다.(村上薰, <次の展開-沖繩から濟州島へ>, 《朝日ジャーナル》, 1968. 6.2; 久住忠男, <沖繩基地の濟州島移轉說>, 《世界週報》, 1968.7.30.)

당시는 미군이 여전히 오키나와를 점령하고 있었고 시정권 반환도 아직 합의되지 않았던 때였다. 베트남 전쟁도 최고조에 달하고 있었다. 이때 오키나와 미군 기지 제주 이전 문제는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군의 전략적 선택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자 미군기지 제주 이전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런데 이러한 기지 이전 문제는 일본 혹은 오키나와 내부의 자발적 선택에 의해 촉발된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미국의 전략적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논평의 일환이었다. 

이제 기지를 사유해야 

제주와 오키나와의 오늘을 바라보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냉전과 탈냉전이라는 세계 제체를 정면으로 바라봐야 한다. 사실 강정의 해군기지와 도민 여론조사 결과로 동력을 잃어버린 제2공항 문제 역시, 단순히 안보와 개발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어쩌면 오키나와의 현재를 제주의 미래로 만들려는 거대한 힘에 저항해 온 지난한 싸움의 과정이다. 도민 대다수의 반대를 확인한 제2공항 여론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단순 참고용’이니 ‘국가 정책을 뒤집을 수 없다’느니 하는 일부 정치권의 발언은 제주가 직면해온 역사에 대한 몰이해의 산물이다.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국가의 폭력을 은폐해왔던 과거를 이해하지 못하는 단견이다. 

고시홍이 <물음표의 사슬>에서 상징적으로 그려냈듯 ‘민군 관광복합 미항’이라는 이름의 수사는 사실 제주의 임종을 바라는 국가의 탐욕이었다. 강정 해군기지를 당대적 시각에서 다루고 있다는 있는 이 소설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목이 등장한다. 

이 해군기지는 오로지 중국을 압박하고 포위하는 제7함대의 기지로 사용되기 위해 지어지고 있습니다. 미 제국주의 대(對) 중국 해군기지 강력 반대! 동북아에 전쟁 몰고 올 강정마을 해군기지 강력 반대!! 평화의 섬 제주도에 군사기지 웬 말이냐? 4.3영령들이 통곡한다! 60년 전에는 미군정의 양민학살. 앞날에는 미 제국주의의 전쟁기지!!…

<물음표의 사슬>,  68쪽.

날 것 그대로의 구호를 인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기지 건설 과정의 찬반 갈등의 심각성을 드러내기 위한 장치다. 반대파의 구호와 함께 찬성파의 그것들도 그대로 싣고 있다는 점에서 기지 문제와 관련한 서사적 선택은 유예되고 있지만 이러한 유예의 전략에도 불구하고 선전과 선동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하고 있는 것은 그 자체로 기지 문제가 가져올지도 모르는 미래를 우려하는 시선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징후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징후적 시각이 오키나와가 먼저 겪은 기지 문제의 문학적 재현 양식과 어떻게 만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과제다. 하지만 제주와 오키나와가 냉전 체제라는 시공간을 거치면서 문학을 통해서 공동체의 기억을 소환하고 공동체적 질서를 위협하는 폭력적 구조의 변주와 반복에 대응해 왔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제주를 알기 위해서, 그리고 오키나와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물어야 한다. 미국은 과연 우리에게 무엇인가. 그리고 국가는 과연 우리에게 어떤 존재인가. 

# 김동현

문학평론가. 제주에서 태어났다. 제주대학교 국문과와 한신대 문예창작대학원, 국민대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지은 책으로는 《제주, 우리 안의 식민지》, 《제주, 화산도를 말하다》(공저),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공저) 등이 있다. 한때 지역신문 기자로 일하기도 했다. 지금은 제주, 오키나와를 중심에 두고 지역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제주 MBC, 제주 CBS 등 지역 방송 프로그램에서 시사평론가로, 제주민예총에서 정책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How can we think of Jeju and Okinawa without questioning of America?
KIM Dong-hyong, Literary Critic

 
A meeting triggered by gift and drift.
 
The "Joseon Dynasty Record" shows that there were many exchanges between Jeju and Okinawa (Ryukyu). There is a long history of encounters between Jeju and Okinawa, from the record of the repatriation to Joseon of Jeju men who had drifted to Ryukyu in 1475, to the record of the return of Okinawan men who had drifted to Jeju in 1891. The fact that Ryukyuan fishing boats drifted to Uljin in today's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that Ryukyuan envoys paid tribute are also recorded shows that Okinawa was a sufficient object to b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Jeju even Joseon. Conscious of the existence of foreign countries different from ours beyond the horizon can be seen as an extension of the geographical gaze in itself.
 
If the keywords "gift" and "drift" can def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regions during the feudal era, what kind of presence did Okinawa have in modern history? Okinawa was a symbolic site for the indiscriminate violence of the Japanese Empire, as evidenced by its history as the only Japanese territory where ground battles were fought. The violence of  
 the Japanese Empire did not only apply to the people of Okinawa. The book "In the gap
of Okinawa and Joseon" written by Professor Oh Se Jong, the University of the Ryukyus,
describes well the lives of Joseon people in Okinawa around the 1945 Okinawa battle. It is a complex story of colonialist discrimination runs through Japanese, Okinawans, and Joseon.
Through the efforts of Hong Yun-shin, who researched Joseon comfort women in Okinawa for a long time, and the Okinawans, the fact that more than 130 "comfort stations" were 
established in Okinawa was revealed. The cenotaphs erected on Miyako Island and all over Okinawa were a small consolation for those who were taken to Okinawa. (Photo: Arirang monument on Miyako Island, courtesy of Kim Dong-hyun)
 
If the intersection of "liberation" and "occupation" led to the tragic division of Joseon in
August 1945, Okinawa became an "occupied land" for U.S. national interests and a 
"sacrificial land" for peace of mainland Japan. Korean and Japanese politicians such as Lee Seung-man, Park Chung-hee, Yoshida Shigeru, and Kishi Nobusuke were distorted faces    
reflected in the mirror of the Cold War system after WW2.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where they relegated Jeju to the "Red Island" for their own power, and the situation in 
mainland Japan, where they sacrificed Okinawa for their own peace, were not much      
different.
 
As 'Red extermination' turned into '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in South Korean 
society, the state's dominance and violence became clever. The same is true for Okinawa. After the reversion to Japan in 1972, the 'Okinawa Promotion Policy' was the mainland's 
strategy to hide the contradiction of Okinawa being turned into a military base. The devil 
is in the  details, as they say. The state's governing strategy was meticulous and precise. 
The process of Jeju development policy, which began with the Free Port Initiative 1963 
and leading to the Jeju Development Special Act 1991 and the Jeju Special Act in the 
2000s, as well as issues such as the U.S. military base on Okinawa, show how the region
changed in the face of the enormous violence of the state.
 
Penetrating Forces to Jeju and Okinawa-America
The moments Okinawa is discussed in South Korean society since the libera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encounter between the two regions has not escaped from colonialism   
and the Cold War regime. If we look at examples of references to Okinawa in the South
Korean media since the Korean War, the U.S. military base issue has dominated.  
In particular, the relocation of U.S. bases was an important issue around the time of     
Okinawa's reversion to Japan in 1972. What is noteworthy here, however, is that the U.S. base relocation issue and Jeju Province are being mentioned together. In June 1968, the
Dong-a Ilbo carried an article titled "Discussion on the relocation of the U.S. military base in Okinawa to Jeju" (photo: June 18, 1968, Dong-a Ilbo), and the Jeju Island's "Land of  
Jeju Province" carried a special feature on Okinawa.
 
On the issue of relocating the U.S. military base in Okinaw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ok the position that Jeju Island can be offered as a base for U.S. forces.    
President Park Chung-hee expressed his readiness to offer Jeju Island for a U.S. military
base, and there were reports that an agreement was reached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to build a U.S. air base and even a naval base in Jeju. ('Naval and air bases in Jeju, ROK-US defense talks reach consensus', Gyeonghyang Newspaper, June 6, 1969, page 1)
 
The issue of Okinawa's reversion was taken up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issue of inviting U.S. military bases was also raised. Representative Park Byung-bae(New People’s  
Party), who had served as vice minister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rgued in a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at the U.S. military base in Okinawa must be
brought to Jeju Province for the sake of national security. Then, a National Assembly     
member from Jeju responded by saying that the Jeju people would hold a welcome 
convention. 
 
Such discussions are underpinned by the logic of power that forces sacrifice in the name of
national security. The process by which the issue of the return of U.S. military bases has 
emerged and Jeju has been mentioned is similar to the reason why Jeju Island, which was regarded as a rubble for five years after the U.S. military occupation and segregation, 
began to attract attention as a keystone after the 1950s.
 
When the Okinawa feature was published in “the Jeju-do Province” in 1969, “the Asahi   
 Journal” carried an article titled "Next Development: Okinawa to Jeju-do" by  MURAKAMI Kaoru(June 2, 1968) At a similar time, a military expert KUZUMI Tadao's article on thetransfer of the Okinawa base to Jeju Island was published. (”Sekai Syuho” July 30, 1968.)
 
At that time, the U.S. military was still occupying Okinawa, and the reversion had not yet been agreed upon. The Vietnam War was at its height. The issue of relocating the U.S.  
military base in Okinawa to Jeju at that time was a concern about the strategic choices of the U.S. military after the Vietnam War, and a look at the possibility of relocating the U.S.
military base to Jeju. However, this relocation issue was not inspired by a spontaneous 
choice within Japan or Okinawa. It was part of the inevitable commentary on the strategic shift in the U.S.
 
In order to look at Jeju and Okinawa today, we must gaze squarely at the world bodies of the Cold War and post-Cold War. In fact, the issue of the second airport, which lost 
power as a result of the Gangjeong naval base provincial public opinion poll, is not just a matter of security and development. It may be said to be the process of an uphill battle 
to resist the enormous forces that are trying to make the present of Okinawa into the 
future of Jeju. Despite the results of the second airport poll, which confirmed the 
opposition of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some politicians remarked that the poll is "just
for reference" and “it can't overturn national policy." Such comments are the product of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that Jeju has faced. It is a short-sighted view that fails to understand the past of covering up state violence in the name of "development”. 
 
As Gao Jihong symbolically portrayed in “The Chain of Question Marks”, the rhetoric in the  name of a "beautiful port with a military-civilian tourism complex" was actually the greed of a nation 
wishing for Jeju's demise. In the novel, which deals with the Gangjeong Naval Base from the 
perspective of our time, the following appears.
 
This naval base is built to serve as a base for the 7th Fleet, which is single-mindedly 
trying to squeeze and encircle China. Strong opposition to U.S. imperialism and naval base against China! Oppose the Gangjeong Naval Base that will bring war to Northeast Asia! “Military base on the island of peace, Jeju...what does that mean?” The 4.3 dead would 
cry! Sixty years ago, a massacre of civilians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the future, 
it will be a war base for US imperialism! (“The Chain of Question Marks” p.68).
 
The quoted slogans, which are as good as new, are a device to reveal the seriousness of 
the conflict between the pros and cons of the base construction process. The narrative 
choices on the base issue are deferred in that they include the pro-base slogans as well as the anti-base slogans, but despite this strategy of deferral, the raw voices of propaganda 
and agitation are symptomatic in that they show a concerned look at the possible future of the base issue. 
It remains to be seen how the perspective of these signs will meet the literary mode of 
reproduction of the base problem that Okinawa experienced earlier.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both Jeju and Okinawa, through the time and space of the Cold 
War, have been able to recall the memory of their communities through literature and 
respond to the variations and repetitions of violent structures that threaten the communal 
order. In this regard, to understand Jeju, and to understand Okinawa, we must ask: What 
is the U.S. to Korea? And what does the nation really mean to us?


米国を問わずして済州と沖縄を考えうるか
キム·ドンヒョン 
文学評論家

進上と漂流に触発された出会い
 
『朝鮮王朝実録』を見ると、済州と沖縄(琉球)の交流が少なくなかったことが分かる。1475年(世祖3)、風浪にあって琉球に漂着した済州人を朝鮮に送還したという記録から、1891年(高宗28)に済州に漂流した沖縄人を帰らせたという記録まで、済州と沖縄の遭遇は長い歴史がある。琉球漁船が現在の慶尚北道蔚珍に漂流したとか琉球の使臣が朝貢をしたという事実も記録されているのを見ると、沖縄は、済州ひいては朝鮮の視野から十分に眺められる対象であった。 水平線の向こう、自国と他の異国の存在を意識することは、それ自体地理的視線の拡張と見ることができる。
 
「進上」と「漂流」というキーワードで 封建時代に行われた両地域の交流を定義できるとしたら現代史で沖縄はどんな存在だったのだろうか。 日本領土で唯一地上戦が繰り広げられた沖縄の歴史からも分かるように、沖縄は日本帝国の無差別的暴力を象徴的に示す場所だった。 大日本帝国の暴力は沖縄県の人々だけに当てはまるものではなかった。琉球大学の呉世宗(オ·セジョン)教授が書いた『沖縄と朝鮮のはざまで』には、1945年の沖縄戦争前後に沖縄にいた朝鮮人の生きざまがよく描かれている。そこには日本人-沖縄人-朝鮮人につながる植民主義的差別が複雑に絡んでいる。 長い間沖縄朝鮮人'慰安婦'を研究したホンユンシン(洪允伸)と沖縄人の努力の末に沖縄に130余りの'慰安所'が設置されたという事実が明らかになった。 宮古島をはじめ、沖縄のいたるところに建てられた慰霊碑は、沖縄に連れ去られた彼らへの小さな慰めだった。(写真宮古島のアリラン碑=キム·ドンヒョン提供)
 
1945年8月、「解放」と「占領」の交差が朝鮮の悲劇的な分断につながったなら、沖縄は米国の国益のための「占領された地」であり、日本本土の平和のための「犠牲の地」となった。 李承晩(イ·スンマン)、朴正煕(パク·チョンヒ)、吉田茂(よしだしげる)、岸信介(きしのぶすけ)ら韓国と日本の政治家たちは、戦後冷戦体制という鏡に映った歪んだ顔だった。 自分たちの権力のために済州を「赤の島」に追いやった韓国の状況や、自分たちの平和のために沖縄をいけにえにした日本本土の境遇もあまり変わらなかった。
 
南韓社会で<赤殲滅>が<開発と再建>に変わり、国家の支配と暴力はさらに巧妙化した。沖縄も同様だった。1972年<日本復帰>以降<沖縄振興政策>は軍事基地化された沖縄の矛盾を隠すための本土の戦略だった。「悪魔は細部に宿る」と言うべきか。国家の支配戦略は<几帳面>で<緻密>だった。1963年自由港設定構想に始まった済州開発政策が、1991年済州(チェジュ)開発特別法、2000年代の済州特別法につながる過程や沖縄米軍基地などの問題は、国家という巨大な暴力の前で地域がどう変わっていったのかをよく示している。
 
済州と沖縄を貫通する力、アメリカ
解放以後、南韓社会で沖縄が議論されている時々を見ると、ふたつの地域の出会いが植民地主義と冷戦体制から脱していないことを確認できる。韓国戦争以降、韓国マスコミで沖縄を言及する例をみると、米軍基地問題が多数を占めている。特に1972年の沖縄<日本復帰>の前後、米軍基地移転は重要なイシューだった。ところがここで注目すべきは米軍基地移転問題と済州道が同時に言及されているという点だ。1968年6月、東亜日報には<沖縄米軍基地 済州島の移転議論>という記事が掲載され(写真=1968年6月18日、東亜日報)、済州島が発行する<済州道の地>に沖縄特集が載ったこともある。
 
沖縄米軍基地移転問題について韓国政府は済州島を米軍基地に提供できるという立場を取った。朴正熙大統領は済州島を米軍基地に提供する用意があるという意思を明らかにし、済州に米空軍基地や海軍基地まで建設できるという韓米間の合意が成立したという報道も出た。(「済州に海軍・空軍基地、韓米国防会談で意見一致か」≪京郷新聞≫、1969.6.6.1面)。国会でも沖縄返還問題が取り上げられ、米軍基地の誘致問題が提起されたこともある。国防部次官を務めたパク・ビョンベ議員(新民党)は、国会本会議で、国家安全保障のため、沖縄米軍基地を済州道に誘致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主張した。これに対して当時、済州出身の国会議員は、済州道民たちが歓迎大会を開くという反応を見せたりした(誤解の余地をなくすために、当時の新聞報道内容を紹介する。「3国の悩み解決される」≪京郷新聞≫1968.6.18. 沖縄米軍基地の済州島の移動問題が韓日間に論議されたという報道は 政界に新たな関心を呼び起こしたようで、先ごろ、国会で安保問題に関する対政府質問で、沖縄米軍基地誘致論を提唱したことのある新民党のパク・ビョンベ議員は18日、「私がまさにその立案者」と…済州道出身のヤン・ジョンギュ議員は「済州道民全員が決起して歓迎大会でも開催しよう」と胸膨らむ反応を示した…)
 
このような議論は、国家安保という名分で犠牲を強要する力の論理が下敷きにある。米軍基地返還問題が台頭して済州が言及される過程は、済州島が米軍占領後に分離統治された5年間は捨石とされていたが、1950年代以後は要石として注目され始めた理由に類似していると言える。1969年、『済州道』に沖縄特集が掲載された頃、『朝日ジャーナル』(1968.6.2)に村上薫の「次の展開―沖縄から濟州島へ」という内容の文が掲載されていた。また同時期に、軍事専門家である久住忠男による沖縄基地の済州移転と関連した記事を発表したりした(「沖繩基地の濟州島移轉說」『世界週報』1968.7.30.)
 
当時は米軍が依然として沖縄を占領しており、施政権返還もまだ合意されていなかった。ベトナム戦争も最高潮に達していた。この時の沖縄米軍基地済州移転問題はベトナム戦争後の米軍の戦略的選択がどうなるかに対する関心であり、済州移転の可能性を打診するものだった。ところがこの移転問題は、日本あるいは沖縄内部の自発的選択によって触発されたものではなかった。それは、米国の戦略的変化に伴う不可避の論評の一環だった。
 
済州と沖縄の今日を眺めるためには、どうしても冷戦と脱冷戦という世界の諸体を正面から見つめなければならない。事実、江汀の海軍基地道民世論調査の結果、動力を失った第2空港問題も、単なる安保と開発の問題ではない。それはもしかすると、沖縄の現在を済州の未来にしようとする巨大な力に抵抗してきた至難の戦いの過程と言える。道民大多数の反対を確認した第2空港世論調査の結果にもかかわらず、「単なる参考用」だの「国家政策を覆すことはできない」だのという一部政界の発言は、済州が直面してきた歴史に対する無理解の産物だ。「開発」という名で国家の暴力を隠ぺいしてきた過去を理解できない短見だ。 
 
高時弘が『クエスチョンマークの鎖』で象徴的に描いたように、「軍民観光複合美港」という名の修辞は、実は済州の臨終を願う国家の貪欲だった。 江汀海軍基地を当代の視点で扱っているという小説では、次のような内容が登場する。
 
―この海軍基地は、ひたすら中国を圧迫して包囲する第7艦隊の基地として使用されるために建てられています。 米帝国主義、対中海軍基地に強く反対! 北東アジアに戦争をもたらす江汀村海軍基地に反対!! 「平和の島、済州島に軍事基地…どういう意味?」 4.3英霊たちが号泣する! 60年前は米軍政の良民虐殺。 将来は米帝国主義の戦争基地!!(『クエスチョンマークの鎖』、68ページ)。
 
新品同様のスローガンを引用しているが、これは基地建設過程での賛否対立の深刻性を示すための装置だ。 反対派の掛け声とともに賛成派のそれらもそのまま載せているという点で基地問題に関する叙事的選択は猶予されているが、こうした猶予の戦略にもかかわらず宣伝と扇動の生の声を伝えていることは、それ自体で基地問題がもたらすかも知れない未来を憂慮する視線を示しているという点で兆候的だと言える。
 
このような兆候の視角が、沖縄が先に経験した基地問題の文学的再現様式とどのように出会うかについて、今後見守るべき課題だ。しかし、済州と沖縄が冷戦体制という時空間を経て、文学を通じて共同体の記憶を呼び戻し、共同体的秩序を脅かす暴力的構造の変奏と反復に対応してきた点は注目する必要がある。その点で済州を知るために、そして沖縄を理解するために私たちは問わなければならない。米国は果たして韓国にとって何なのか。そして、国家は果たして、我々にとってどのような存在なのかを。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