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17주년 기획-자전거 활성화 10년] ① 70대는 창고, 17대는 분실...이용률 하락에 킥보드-전기자전거 등장

제주는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1년 정부의 저탄소녹색성장 정책 흐름에 발맞춰 자전거이용 활성화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공공자전거를 도입하고 환상의 자전거길을 조성하는 등 10년간 수백억 원의 혈세를 쏟아부었다. 당초 2020년까지 자전거의 교통분담률을 10%까지 끌어 올리기로 했지만 현실은 여전히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다. 그사이 등록 차량은 사상 첫 60만대를 넘어 교통 혼잡은 훨씬 더 심각해졌다. 창간 17주년을 맞은 [제주의소리]가 자전거이용 활성화 정책 추진 10년을 맞아 제주의 현주소를 세차례에 걸쳐 들여다본다. [편집자 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탓에 인파는 줄었지만 별다방으로 불리는 카페와 식당가, 의류점, 문화시설 등이 밀집된 제주시청 인근에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유동인구가 많아 다수의 노선버스가 지나고 택시마저 끊이지 않는 곳으로 유명하다. 업무시설과 유흥시설이 공존해 젊은층은 물론 중장년층의 이동도 잦은 곳이다.

버스정류장을 기준으로 중앙로를 가로지르는 양쪽 인도에는 자전거 거치대가 조성돼 있다. 제주벤처마루 건물 앞에는 주황색 차폐시설을 갖춘 공공자전거 스테이션(대여소)이 자리하고 있다.

자전거 거치대 바로 옆에는 빨간색 공유 전기자전거가 시선을 사로잡았다. 제주시청 앞으로 발길을 옮기자, 이번에는 길게 줄 지어선 공유형 전동킥보드가 시야에 들어왔다.

공공자전거 도입 10년을 맞은 현재 제주시내 모습이다. 제주도는 자전거의 교통분담률을 10%까지 높이겠다며 자전거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2011년 공공자전거를 처음 도입했다.

당시 4억3000만원을 투입해 설문대여성문화센터와 탐라도서관, 제주아트센터 등 6곳에 공공자전거 스테이션을 만들어 72대를 배치했다. 자전거 1대당 가격만 44만원에 달했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016년 8000만원을 들여 벤처마루와 영락교회, 오라지구대 3곳에 대여소를 확대했다. 2017년에는 6600만원을 투입해 2곳을 추가하면서 현재는 11곳이 됐다.

올해도 유지보수비로 1400만원을 투입하는 등 해마다 혈세를 쏟아붓고 있지만 정작 이용률은 저조한 실정이다. 코로나19 확산 전인 2020년 2월 기준 1일 대여건수는 26.0건에 그쳤다.

도입 초기 72대였던 공공자전거는 10년간 고작 131대로 늘었다. 이마저 실제 운영하는 자전거는 44대에 불과하다. 나머지 87대 중 53대는 고장과 노후화로 불용처리돼 창고에 보관 중이다.

이를 제외한 34대 중 17대는 일부 사용이 가능하지만 배치할 곳이 없어 폐기물량과 함께 한라체육관 옆 창고 신세를 지고 있다. 나머지 17대는 분실 처리돼 어디 있는지도 모른다.

제주도로부터 공공자전거 사업을 넘겨받은 제주시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여성용 자전거를 도입하고 헬멧을 배치하는 등 개선작업에 나섰지만 투자 대비 성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자체적으로 공공자전거를 도입했던 서귀포시는 이용자 감소와 관리 등의 문제로 2017년 8월 일찌감치 3곳의 무인대여소 운영을 중단했다. 혈세로 사들인 자전거 30대도 전량 폐기했다.

공공자전거가 갈피를 잡지 못하는 사이 제주에서는 민간 영역을 중심으로 개인형 이동장치인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공유서비스가 빈 자리를 파고들었다.

도로교통법과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2020년 12월부터 개인형 이동장치가 제도권에 편입됐다. 이후 제주에서도 전동킥보드와 자전거 공유 업체가 14곳으로 늘었다.

제주시소통협력센터의 경우 도심지 차량 이용 감소를 목표로 지난해 11월부터 12월까지 민간업체와 손잡고 대안이동수단 도입을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대상은 공유형 전기자전거였다.

소통협력센터는 원도심인 제주시 일도동과 이도동, 삼도동에 전기자전거 30대를 배치했다, 그 결과 이용건 수가 1968회에 달했다. 사용자 대부분은 단거리 이동 위주의 생활 흐름을 보였다.

이는 도심지 이동 비율이 높다는 점을 의미한다. 시내 이동에서 효과가 높을수록 도심지 차량 이용을 억제할 수 있다. 위치정보시스템(GPS) 방식을 사용해 별도 거치소도 필요없다.

경기도의 경우 최근 ‘안전하고 편리한 개인형 이동장치(PM) 이용환경 조성을 위한 경기도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녹색교통 네트워크 구축과 안전사고 예방에 적극 나서고 있다.

반면 제주도는 차세대 이동수단과 연계한 공공자전거의 운영과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당장 현 공공자전거 방식의 인프라 확대 여부도 결정되지 않았다.

제주시 관계자는 “기존 공공자전거의 낙후된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서울시나 세종시의 사례 등을 검토해 시민들의 이용률을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