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발전 이어 태양광 첫 출력제한...17일 제1연계선 통해 전력 육지로 역전송

풍력 발전에 이어 태양광 발전까지 멈춰서면서 제주에서 생산한 전기를 육지부로 다시 보내는 사상 첫 역송 작업이 이뤄졌다.

17일 한국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쯤 제주변환소와 전남 해남변환소를 잇는 제1연계선 해저케이블(HVDC)을 이용해 70MWh의 전력을 역송하는데 성공했다.

제주시 삼양동과 전남 해남군을 잇는 제1연계선은 길이만 96km에 달한다. 제주는 최대 15만kW 규모의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 제주에 전력이 공급된 이래 역송은 이번이 처음이다.  

2020년 12월말 기준 도내 공급 전력의 54%는 화력과 액화천연가스(LNG)를 활용한 도내 8개 발전기가 담당하고 있다. 29.8%는 해저연계선을 이용해 육지에서 전기를 끌어다 쓰고 있다.

육지에서 공급받는 전력은 1998년 건설된 제1연계선과 2014년 운영된 제2연계선이 책임지고 있다. 제2연계선은 제주시 해안동과 전남 진도군을 잇는 길이 101km의 25만kW급 설비다.

이들 연계선은 한쪽 방향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만들어졌지만 별도 장비를 통해 올초부터 역송 실험이 이뤄져 왔다. 사상 첫 역송은 신재생에너지 출력제한 사태에 대비한 궁여지책이다.

도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2009년 9%에서 2020년 16.2%로 급증했다. 1216개 시설에서 생산하는 전력량은 690.2MW다. 이중 태양광이 1182곳 368.6MW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발전설비는 늘고 있지만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거나 송출하지 못해 강제로 발전을 중단시키는 셧다운(shut down)도 덩달아 속출했다. 공급과 수요의 불일치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풍력발전기의 경우 대부분 에너지저장시스템인 ESS(Energy Storage System) 능력이 낮아 발전과 동시에 전기를 소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공급이 높으면 과부하를 피할 수 없다.

실제 연도별 셧다운 횟수와 제어량은 2015년 3회(152MWh)에서 2017년 14회(1300MWh), 2019년 46회(9223MWh)에서 2020년에는 77회(1만9449MWh)로 해마다 급증했다.

지난해 출력제한 규모는 19.5GWh(기가와트)다. 이는 도내 전세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3.3%에 달한다. 금액으로 따지면 30억원에 해당하는 규모다.

급기야 11일에는 풍력에 이어 공공용 태양광발전과 폐기물발전에 대한 출력제한도 이뤄졌다. 태양광발전 출력 제한은 이번이 처음이다. 향후 민간시설에 대한 출력제한까지 불가피해졌다.

전문가들은 출력제한이 올해 181GWh에서 2022년에는 254GWh으로 더 늘어 약 330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역송 규모로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다.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전력거래소는 2023년까지 양방향 전력 공급이 가능한 제3연계선 구축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

제주를 시작으로 전국에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출력제한 우려가 제기되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주도와 전력거래소, 에너지공단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꾸려 대응책을 세우기로 했다.

정부는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을 마련하고 계통안정화를 위한 공공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효율적 관리를 위해 재생에너지 통합관제 시스템 도입 등을 검토하고 있다.

제주도는 이를 위해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특구가 되면 제주에서 기존 에너지를 통합해 전력시장 등에 거래하는 통합발전소(VPP) 제도 등을 실증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