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포럼 2021] 지역언론 활성화 세션 "신뢰회복 필수...제주언론재단 설립"

23일 오전 열린 제주포럼2021 '지역 언론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세션. ⓒ제주의소리

수도권 중심의 중앙 이슈를 따라가기 바쁜 여론지형, 포털의 영향권에 잠식된 한국 저널리즘, 소멸 위기를 맞은 지역언론은 어디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할까.

제주특별자치도는 24일 오전 10시 50분 제주해비치호텔 크리스탈홀D에서 제16회 제주포럼 '실질적 지방분권과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지역 언론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세션을 진행했다.

해당 세션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는 현대사회에서 갈등을 해결하고 포용적 번영을 이루기 위해 지역언론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다양해지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사회적 불균형을 극복하고 자치분권,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한 지역 언론의 위치에 대해 논의했다.

발제에는 최낙진 제주대학교 언론홍보학과 교수(한국지역언론학회장), 고영권 제주도 정무부지사가 나섰고, 토론에는 김창욱 뉴욕 중앙일보 전 사장, 아이사카 조 도쿄신문 서울특파원, 이인 제주CBS 부장, 최형두 국회의원이 참석했다.

최낙진 교수는 "전국과 지역의 미디어 이슈는 각기 다르고, 오프라인 미디어와 온라인 미디어 간의 현안 주제도 다르다"면서도 "이 모두를 아우르는 이슈는 일명 '포털 포식자'의 등장으로 인한 저널리즘 위기"라고 진단했다.

실제 한국언론진행재단이 발간한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0'에 따르면 한국의 포털을 통한 유스 이용은 73%로 나타났다. 이는 주요 40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뉴스 웹사이트와 앱을 사용하는 경우는 4%에 그쳤다. 주요 40개국의 포털을 통한 뉴스 이용은 평균 32%, 뉴스 웹사이트와 앱을 통한 뉴스 이용은 28%와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곧 뉴스의 생산과 유통, 소비 등 모든 과정이 포털을 중심으로 재편성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 이면에는 뉴스 노출과 수용자 확보를 위한 언론사와 포털 미디어 간의 '서로 이용하기' 전략이 담겨있다는 것이 최 교수의 주장이다. 

왼쪽부터 최낙진 제주대학교 교수, 고영권 제주도 정무부지사. 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의소리
왼쪽부터 최낙진 제주대학교 교수, 고영권 제주도 정무부지사. 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의소리

특히 최 교수는 지역언론에 대해 "여전히 권력과 자본, 지식 생산은 서울에 몰려있다. 오랫동안 중앙에서 제공되는 뉴스에 익숙해 있던 언론소비 풍토와 거대언론의 서울 집중 현상으로 언론은 서울 중심의 뉴스를 쏟아내고 있다"며 "지역민들은 지역뉴스보다 서울 뉴스에 익숙해져 있다. 지역 뉴스는 '잠깐 보는 뉴스'로, 때로는 '시시한 뉴스'로 취급받기도 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방언론 사주들의 반 저널리즘관, 열악해지는 기자들의 근무환경, 전문직주의의 붕괴, 지역 수용자들의 외면으로 지역언론이 지방분권을 주창할 수 있는 디딤판은 점점 더 무너져 내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최 교수는 "지금의 지역 레거시 미디어들은 그 발언권과 영향력 면에서 예전보다 못하다"며 "지방분권을 주창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의 신문과 방송들이 발언권과 영향력을 되찾아 와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건강한 언론생태계 회복 없이 지역언론은 지방분권을 추동할 수 없다"며 "지방분권이라는 지역의제는 지역미디어가 감당해야 하고 추동해야 하는 고유의 몫이다. 지역언론이 지역민의 신뢰를 회복해 지역공동체 미디어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해갈 때 지방분권이 실체를 발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영권 부지사는 지역언론 진흥을 위해 제3의 전문기관이 필요하다는 보다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고 부지사는 "지역언론계의 고질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 중 하나는 중앙집권화 돼 있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역할의 지방분권"이라며 가칭 제주언론진흥재단 설립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제주재단은 언론의 공정성, 독립성, 예산 투명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써 차별화된 지역밀착형 언론 육성과 지역언론 생태계 회복을 목적으로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제주재단이 지역 내 광고 업무를 별도 운영하고 재원을 운용하게 되면, 지역언론은 관(官)의 의존도를 낮춰 건실한 생태계를 조성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 제주도는 제주재단 설립을 위해 제주특별법 8차 개정안의 제도개선 과제로 포함시켰다.

고 부지사는 "지역언론은 지역사회의 에너지를 결집하고 유통시키는 정신적 중심 매커니즘일 뿐만 아니라 분권을 가능케 만드는 핵심요인"이라며 "지역언론이 없다면 지역사회 내 정보교류나 여론수단이 없어 사회적 효율성이 떨어지고 지역사회 내 현안을 민주적으로 해결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고 부지사는 "중앙 중심의 의견과 관점으로부터 여론의 다양성을 보호하려면, 자립할 수 있을 때까지 한시적인 자원을 투입해 자생력과 경쟁력을 키워주는 공적 개입과 사회적 협력이 요구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