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시인 ‘김애리샤’가 새 시집 ‘치마의 원주율’(걷는사람)을 펴냈다. 

이 책은 저자의 두 번째 시집이자 걷는사람의 27번째 시인전이다. ▲종이를 구기면 채송화가 피어납니다 ▲그녀 등에 새겨진 물고기의 뼈를 본다 ▲아버지가 와서 내 손을 야금야금 갉아 먹는다 ▲난 진화하지 못해서 예쁜 동물 등 60여편이 실렸다.

없는 당신
김애리샤

없는 당신은 백목련 나무처럼
불쑥불쑥 발작하듯 꽃을 피워내

목련꽃처럼 튀어나오는 당신의 하얀 발
서늘하게 내 발등에 포개지는 밤
나는 없는 당신이 살던 집의 유리창들을
모두 깨 버리고 싶어져

당신이 부르던 나의 이름이
자꾸만 엇박자로 미끄러지며
후드득 발등을 관통해

없는 당신이 아예 없어지는 건 무섭지만
원래 없었던 것처럼
사라져 버렸으면 좋겠다고 기도하는 밤

창밖에 우두커니 매달려
나를 내려다보는 보름달 속에선
목련나무 가지 같은 당신 손가락들이
꽃잎을 밀어내고 있어

달 속에서 떨어지는 꽃잎들이
깨진 유리 가루처럼 반짝거리고
아무것도 잡을 수 없는 나는
그 먼 풍경들을 바라만 볼 뿐

없는 당신이
뜬소문처럼 나를 바라보며 지나가고 있어


아빠 기저귀를 갈아주는데
항문에서 찌그러진 달덩이가 굴러 나왔다
파내도 파내도 계속 나오는 달덩이
아빠는 점점 가늘어졌다

아빠 속을 다 파먹은 벌레들이 살이 올라
달덩이 흉내를 내며 아무렇게나 빛났다
가난도 아빠를 파먹고 무성하게 자랐었는데
쓸모없다고 생각되는 것들일수록 부지런히 자란다

아빠가 헝겊 인형이라면 배를 가르고
가증스런 빛들로 가득 찬 아빠의 장기들을
과일칼로 세심하게 도려내고 싶었다
그 속엔 우리의 시간이 얼마나 들어 있을까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평생 아빠에게 달라붙어 있던 허울 좋은 친절들과
가족들에게만 엄격했던 회초리들과 엿 같았던 고집들을
파내는 일, 아빠 똥구멍에서 병든 달덩이를 채굴하는 일
한때 생명의 기원이었을 아빠의 쭈글쭈글한 고환 아래가
축축하지 않도록 새삼스럽게 잘 닦아 주는 일

아빠는 하루에 여덟 번씩 기저귀를 갈았다
아빠가 가벼워질수록 내가 무거워져서 행복했다

-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중에서

출판사는 “신간에는 첫 시집 ‘히라이스’에서 보여준 외로움과 그리움의 정서가 이어진다. 부모의 부재로 홀로 견뎌야 했던 시간들, 그것은 가난이나 죽음이 불편한 시선처럼 존재하는 삶이었다. 그리하여 이 시집에는 ‘없음’의 상실감을 안고 자신을 들여다보는 과정이 치열하게 녹아있다”고 소개했다.

더불어 “이를테면 과거의 비극적인 삶에서 파편화된 고통들을 온전하게 받아들이지도 내치지도 않으며, 시인은 자신을 거칠고 강하게 몰아붙인다. 아직은 좀 더 떠돌겠다는 듯 온몸으로 생을 감내하겠다는 듯”이라고 소개했다.

시인은 책머리에서 "누군가와 같이 부르던 노래를 / 혼자 불러야 할 때가 온다면 // 그것이 바로 / 세상에서 가장 슬픈 노래 / 살아서도 죽어서도 // 나의 일용할 양식이 되어 준 / 엄마, 아빠 / 당신들과 같이 부르던 노래를 / 혼자 부를 수밖에 없는 지금 // 나는 만질 수 없는 당신들의 / 지나간 시간을 뜯어 먹으며 / 당신들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 나는 나 때문에 고아가 되었다"라고 감정을 전했다.

시인은 강화도에서 태어나 지금은 제주도에서 살고 있다. 시를 읽는 것만 좋아하다가 동인 활동을 하면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 제주도 풍경을 사랑하며, 그리고 그 풍경 너머의 또 다른 풍경을 시로 형상화하려고 한다. 그것은 풍경이 삶의 모습과 많이 닮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제주도 해안도로와 오름을 좋아한다. 퇴근을 하면 일부러 먼 곳을 돌아 집으로 가곤 한다. 시가 지도가 돼 주지는 않겠지만 나침반이 돼 주기를 바라며 시의 길을 가고 있다.

167쪽, 걷는사람, 1만원.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