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전기차 폐 배터리 매각 기준 마련 중...SM3 폐배터리 8117원~13만5283원 예상

제주테크노파크(JTP) 에너지융합센터에서 운영하는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에 쌓여 있는 전기차 폐배터리.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에 점점 쌓여가는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처리를 위한 매각기준이 마련된다. 폐배터리를 활용한 제품 상용화를 앞뒀다는 기대감이 반영됐다.

제주도는 ‘제주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공공활용 및 매각기준 마련을 위한 의견 수렴’을 지난 24일자로 공고했다. 의견 제출 기한은 오는 3월16일까지 총 20일이다. 

제주도는 2013년부터 전기차 보급을 추진해 왔고, 폐차에 따른 폐배터리가 갈수록 늘고 있다. 이미 폐배터리 250개 보관이 가능한 제주테크노파크(JTP) 에너지융합센터가 운영하는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에 180개가 넘는 폐배터리가 쌓여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기업이 폐배터리를 활용해 만든 제품 5개가 산업통상자원부 특례로 인정 받아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국가표준원에서 전기차 폐배터리 활용 제품에 대한 안정성 기준을 마련중이며, 안정성 기준이 마련되면 관련 제품 상용화가 가능해진다. 

도내 기업이 만든 5개 제품의 경우 곧바로 상용화가 가능할 정도로 기술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전국 4곳에 폐배터리 수거 거점 센터를 지정했고, +α(알파)로 제주에선 JTP를 추가 지정했다. 

제주에서는 제주도와 JTP가 중심이 돼 폐 배터리 수거·보관 등을 맡고 있는데, 제주도가 폐배터리 매각기준을 만드는 이유다.  

추후 폐 배터리 활용한 제품 상용화가 이뤄질 경우 제주도와 JTP가 민간업체에 폐배터리를 판매가 이뤄진다는 기대감에 미리 가격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전기차 폐배터리. 팩 커버를 열어 배터리 팩을 분리해야 한다.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2월 현재 제주도가 연구·실증을 목적으로 무상 제공한 것 외에 폐배터리 매각이 이뤄진 적은 없다.   

제주도는 국제시세 기준에 맞춰 사용연수와 잔존수명(SOH)에 따라 가격을 책정했으며, 사용연수 10년 이하, 잔존수명 60% 이상인 폐배터리의 재활용이 원활할 것으로 판단했다. 배터리 잔존가치는 팩 단위로 외관검사와 전기적 검사 등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제시됐다. 

신재생에너지시장 분석기관은 블룸버그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배터리 팩 국제시세는 kWh당 132달러다. 

제주도의 매각기준(안)에 따르면 10년간 사용된 현대 아이오닉 전기차 폐배터리(28kWh)의 잔존수명이 60%일 경우 가격은 20만4753원이다. 사용연수가 10년이라도 잔존수명이 100%라면 가격은 34만1255원으로 오른다. 

사용연수가 1년이고, 잔존수명이 100%에 달하는 상태가 가장 좋은 폐배터리의 가격은 341만2552원으로 제시됐다. 

SM3 전기차 폐 배터리(1.1kWh) 매각 예정 가격은 최소 8117원에서 최대 13만5283원으로 추산됐다. SM3 전기차의 경우 초기 모델이고 용량도 작아 폐배터리 가격이 다른 전기차 폐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폐배터리 매입을 원하는 업체가 늘어나면 기준 가격보다 더 많은 금액을 제시한 업체에 매각하는 방안 등도 고려되고 있다.  

제주도는 이번 매각기준(안)에 공공활용 방안도 포함시켰다. 

제주도는 축산시설과 1차산업, 관광사업 등의 폐배터리 활용 계획을 내놨다. 관광단지 운송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바꾸거나 농·어업 연구시설 비상발전, 야간 조명 에너지 저장 등으로 전기차 폐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제주도 관계자는 “폐배터리 성능 등을 파악해 판매금액 기준을 제시, 업체에 판매하기 위해 기준(안)을 마련중이다. 제주에서 폐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뤄져 다른 지역에 비해 관련 기술에 앞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추후 국가표준원이 안정성 기준을 마련하면 곧바로 상용화할 수 있는 제품도 5개다. 폐 배터리 활용 제품 상용화에 앞서 폐배터리 매각기준(안)을 마련, 도민 의견을 수렴해 기준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