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총장직대도 중도하차,6일부터 김민호 교수 대행체제로

총장선출 과정의 적법성을 놓고 극한 대립을 보이며 파행을 빚어왔던 제주교대 사태가 지난 3일로 100일째를 맞았으나 사태해결의 기미는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다.

그 동안 총장 재선거를 위해 두 차례나 후보선출 재공고를 냈으나 무산됐으며, 현종익 전임 총장 임기만료 후 김종우 교무처장이 총장직무대행으로 비상체제를 이끌며 총장 재선출을 시도했으나 교수간의 이견이 골이 워낙 깊어 김종우 직무대행도 사태를 해결하지 못한 채 5일자로 중도 하차했다.

이에 따라 제주교대는 6일자로 김민호 학생처장을 새로운 총장직무대행으로 선임하고 사태해결 정상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대학이 정상화를 이룰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지난 5월25일 의결정족수 논란으로 개표가 중단되면서 파행을 맞기 시작한 제주교대 총장사태가 지난3일로 벌써 100일째를 맞았다.

사태 발생직후 개혁교수협의회는 몇 차례 성명과 기자회견을 통해 의결정족수가 미달한 총장선거의 부당성을 주장했고, 현종익 총장 역시 선관위측과 개혁교수협측 간에 적법성 논란을 벌이는 의사 정족수에 대해 "전 날 적용한 의사정족수 기준과 다음 날 의사정족수 기준이 다른 점 등 선거절차상의 문제가 있음을 선관위측에 지적했다"며 우회적인 표현으로 선거절차가 잘못됐음을 시인하는 한편, 개혁교수협의회가 주장한 진상조사위 구성에도 협력할 뜻이 있음을 밝혔다.

또 지난 6월19일에는 개혁교수협의회 측으로부터 후보 사퇴압력을 받아왔던 김범희 교수가 전격적으로 후보직을 사퇴해 해결의 실마리를 풀어가는 듯 했으나 양 측간의 갈등의 골이 워낙 깊어 단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선관위측과 개혁교수협측으로 나뉘어졌던 교수들은 현종익 총장 임기만료 이전에 새로운 총장후보를 선출해야 한다는 합의 하에 총장후보를 7월1일과 12일 두 차례에 걸쳐 공모했으나 두 차례 공모에서 단 한 명도 후보공모에 나서지 않아 현종익 총장은 지난 7월14일 후임 총장후보도 없는 상태에서 총장이임식을 가졌고, 교육인적자원부는 총장대행으로 김종우 교무처장을 승인했다.

하지만 김종후 총장대행도 지난 50일동안 양측의 교수들과 합의를 이끌어내 새로운 총장을 선출키 위해 백방의 노력을 기울였으나 아무런 결론도 이끌어 내지 못하지 지난 50일간의 ‘공백’에 대한 책임을 지고 지난 달말 사퇴의사를 표명해 대학내 차기 서열인 김민호 교수가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총장대행으로 승인 받아 6일부터 대행체제로 들어가는 사태로까지 치닫고 있다.

제주교대가 이처럼 사태발생 100일이 넘도록 해결의 가닥을 잡지 못하는 것은 양측모두 겉으로는 ‘마음을 비웠다’고 말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총장직에 강한 집착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대학 관계자들의 한결 같은 지적이다.

총장후보가 선출을 위한 전권을 위임받은 총장후보자추천위원회는 두 차례의 총장 재선거 무산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은 채 양측의 입장만을 대변하는 인사들로 채워진 채 어떠한 합리적인 대안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학 보직교수들 역시 양측으로 의견만 대립된 채 사태해결을 위한 자리에 앉기를 거부하고 있는 실정으로 어느 누구 하나 대학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

김종우 전임 총장 직무대행은 총장을 새로 선출한다고 대학내 문제가 해결되는 게 아니라는 판단에 따라 대학의 안고 있는 문제점을 제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대학발전기획단을 중심으로 개혁방안을 마련키로 하고, 시민단체 관계자와 교내∙외 인사 22명이 참여하는 자문위원회를 구성, 선(先) 제도개혁 후(後) 총장선출을 하기로 했으나 이 역시 현 단계에서는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와 함께 총장선출 사태를 비롯한 교수임용과정의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한 진상조사 문제 역시 양측간의 팽팽한 의견대립을 보여 앞으로 단 한발자국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제주교가 총장선가 파행 100일째를 맞고, 총장직대마저 중도 탈락하는 사태까지 이어지자 지금까지 대학을 이끌어 왔던 총장후보자추천위와 보직교수 모두 이번 사태의 책임을 지도 물러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학내부에서 일고 있다.

즉 총장 선출의 전권을 쥐고 있는 총장후보자추천위와 대학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보직교수모두가 지금의 사태에 대한 도덕적인 책임을 지고서라도 일선에서 물러나 대학회생을 위한 새 판 짜기에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총장후보추천위와 보직교수중 상당수가 양측의 입장을 극단적으로 주장하는 교수들로 채워져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견해를 지닌 인사들이 총장후보추천위와 보직을 맡아 사태해결에 나서는 게 바람직하다는 여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한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단순히 새로운 총장을 선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동안 대학내부의 갈등을 조장하는 요인으로 지적돼 온 총장선출 방안과 교수임용제도, 보직교수 운영 제도에 대해서도 전면적인 개혁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제주교대의 한 교수는 “사태가 100일을 넘고, 총장임기만료로 새롭게 임명된 총장직대가 50일만에 다시 중도에 하차하는 상황까지 왔으면서도 대학이 정신을 차리지 못한다면 제주교대는 제주지역사회에서 그 존재가치를 더 이상 인정 받지 못할 것”이라면서 “말로만 대학을 위한다고 할 게 아니라 모두가 마음을 비우고 서로를 인정하는 자세를 보여줄 때만이 해결의 가닥이 잡힐 수 있을 것”이라면서 대학구성원 모두의 자성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