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톤 '전설속의 돌'…구르고 부서지고 40~50m 쓸려가
수백년 동안 끄덕없던 마을 '명물'…일부 '파손' 위력 실감

▲ 수백년 동안 끄떡 없이 제자리를 지키고 있던 설문대할망 '족도리'.(2006. 8월 촬영)
▲ 태풍 '나리'에 의해 깜쪽같이 사라진 무게 200여톤의 설문대할망 '족도리'.(2007.9월 25일 촬영)
"어떻게 설문대할망이 쓰던 모자까지 옮기셨나이까. 나~으~리'

할로산신(神)이 노(怒)해도 단단히 노했던 모양이다. 다름아닌 태풍 '나리' 이야기다.

사상 유례없는 피해를 안겨줬던 태풍 나리'가 수백년 동안 끄덕없던 200톤 무게의 '전설 속의 돌'까지 40~50m 옮겨놓은 사실이 알려져 추석명절을 지내는 차례상에 화제로 올랐다.

어떻게 태풍 '나~으~리'가 설문대 할망 모자까지 옮겨 놓았을까?

제주시 오라동 소재 보건소 남측 100여m 쯤에 도로확장 공사가 마무리 중인 '고지교' 아래에는 전설 속에서 설문대 할망이 썼던 '족도리' 모자가 있다.

무게 200여톤 가량으로 추정되는 이 둥근 암석은 일명 설문대 할망 '족도리' 모자로 불리며 주민들의 삶과 애환을 함께 해 온 마을의 '명물' 중 명물.

▲ 태풍 '나리'로 인해 속칭 '고지내' 다리 바로밑에 설치된 하수구 밑에까지 굴러갔다.
그런데 이번 태풍 나리로 인해 100톤 크레인으로도 꿈쩍하지 않았던 '족도리' 모자가 4~50m나 하류로 휩쓸려간 것으로 확인되면서 태풍 나리의 위력을 새삼 실감케 했다.

실제 추석명절인 25일 확인 결과 '족도리' 모자는 당초 있던 위치(제주의 소리 2006년 8월 8일자 보도)에서 하류쪽으로 옮겨가 바로 다리밑에 덩그러니 놓여 있었다.

속칭 '고지내'라고 불리던 이 곳 하천은 제주시의 최대 하천인 '한천'으로 흘러가는 길목으로 예전부터 속칭 '배고픈 다리' 시절 큰 내(川)가 터져 물이 넘칠 때도 그 돌만큼은 휩쓸리지 않고 끄덕없이 견뎌왔다.

이에 오라동 주민들은 '족도리' 모자를 마을을 지켜주는 상징적인 '보호석'으로 인식하는 등 '명물 중 명물'로 여기며 아끼고 보존해 왔다.

▲ 빗물에 휩쓸려간 거리가 대략 40~50m는 족히 돼 보인다. 뒤에 제주상공회의소가 보인다.

하지만 마을 주민들의 삶과 희노애락이 담겨 있는 족도리' 바위가 30~40m 가량 빗물에 휩쓸려 가는 동안 일부가 파손되는 등 적지 않은 수난을 당한 것.

족도리 모자는 3년 전에 마을 주민들이 인근 '다람쥐 굴'로 옮겨 공원조성을 하고, 이를 관광상품화 하자는 의견이 나와 크레인까지 동원해 옮기려 했지만 '실패'로 끝났던 그야말로 '육중한' 돌이다.

주민 양영철씨(50.제주시 오라동)는 "당시 100톤을 끌어올리는 크레인을 동원해 들어올려봤지만 꿈쩍도 하지 않았다"며 "당시 족도리 모자의 유래를 기록한 표석을 설치해 '이를 극진하게 모셨던 오라중 출신 주민이 일본으로 건너가 갑부가 됐다는 재일교포 이야기를 새겨놓고는 전설을 상품화하려고 했었지만 돌을 움직이지 못해 포기했던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유래를 간직한 나머지 지역 주민들과 문화예술인들은 몇차례 "'설문대 할망 모자'에 대한 유래와 전설이 소개된 안내판이나 표석을 설치해 창조신화인 설문대 할망의 전설과 관련한 소재를 잇는 테마 코스를 발굴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지만 아직도 행정당국은 소식이 없다.

문제는 '족도리' 바위가 멈춰선 곳이 바로 교량 확장으로 인해 시설한 '하수구'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어 이를 보는 사람들의 눈살을 찌프리게 하고 있는 것.

이로인해 속히 설문대 할망의 모자를 제자리에 찾아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주민들 사이에서 일고 있다.

▲ 몇바퀴가 굴러가면서 원래의 위치에서 확연히 달라졌다.
오라동 향토지에 '족감석(族感石)'으로 기록...도둑조차 무거워 갖고 가지 못해

제주시 오라동 향토지(2004.1월 발간)에 따르면 '설문대 할망 모자'는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화산이 폭발한 후 냇가에 큰 바위 덩어리하나가 서 있었다고 기록돼 있으며 일명 '족감석(族感石)으로 나와 있다.

예전에 이 돌을 훔쳐가려고 해도 너무 무거워 갖고 가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올 정도로 '돌 애호가'사이에서는 유명세를 치렀던 '명물 중 명물'로 웬만한 이들 사이에선 화제의 돌이다.

설화에 의하면 설문대 할망이 '제주 앞바다에서 목포까지 다리를 놓아주겠다'며 모자를 벗어 한 쪽에 놓아두고 어디론가 떠나버렸다는 유래와 함께 마을 선인들이 '족도리 할망 모자'라고 부르며 마을 사람들과 삶의 애환을 함께 해 왔다고 전해진다.

'...옛 설화에 의하면 이 할머니는 몸이 워낙 커서 아래 바지, 즉 소중이를 해 입을 옷감이 없어서 마을 주민들에게 하는 말이 "나에게 소중이 한 벌을 해주면 제주 앞바다에서 목포까지 다리는 놓아 주겠다"고 말을 했다고 한다. 그 때도 마을 주민들이 너무나 가난하여 소중이를 못해 드리니까 그 할머니는 모자를 벗어 그 곳 한 쪽에 놓아두고 소중이 해 줄 곳을 찾아 어디론지 떠나가 버렸다는 설화가 전해내려 오고 있다...'(오라동 향토지 374페이지)

양 씨는 "제주도내에는 200~300톤을 끌어올리는 크레인이 없어 육지에서 배로 들어올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 거대한 크레인을 옮기는 것도 적지 않은 문제 일 것"이라며 "어쨌든 쓸려간 위치가 좋지 않아 어떻게든 제자리로 갖다 놓든지 보존조치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용담동 한천 주민은 "이번에 '족도리' 바위가 쓸려 내려간 것을 보고 정말 태풍의 위력을 실감했다"며 "이 정도의 물살이니 한천 주변에 피해간 난 것은 어쩌면 당연한지도 모르겠다"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 지난해 한천(고산교~제2동산교)수해 상습지 개선공사와 함께 도시계획도로에 따라 교량폭이 12m에서 36m로 확장되는 공사가 진행될 때 이런 사연을 모른 모 공사업체에 의해 없어질 위기도 겪었지만 끝내 살아났다.
▲ 설문대 할망 모자가 어디로 갔나?
▲ 40~50m를 구르고 구르면서 '족도리' 일부가 파손됐다. 남쪽에서 본 방향
▲ 파손된 부위(왼쪽)가 선명하게 보이는 설문대할망 '족도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