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족 손놀림은 세종대왕이 마련해준 것

컴퓨터가 없던 시절, 타자기를 사용하면서 한글에 대해 회의를 느낀 적이 있다.

한글은 자음+모음+자음으로 음절을 모아쓰기 때문에 받침을 칠 때는 따로 키를 눌러야 했다. 음절을 풀어쓰는 알파벳보다 훨씬 타자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한글이 영어보다 다소 비과학적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당시 파격적으로 제기되던 한글 풀어쓰기 주장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 보기도 했다. 하지만 아무래도 ‘고등학교’를 ‘ㄱㅗㄷㅡㅇㅎㅏㄱㅛ’로 쓰는 건 더 문제가 많아보였다. 음절 구분이 어려운 문제점, 그것은 영어의 단점이기도 한 것인데, 기계화 시대에 맞춘다고 한글을 풀어쓰는 것은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우는 격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하던 때가 겨우 십오륙 년 전, 아주 오래 전의 일도 아니다. 얼마 안 있어, 한글 자모만 입력시켜도 받침 있는 음절을 자동으로 토해내는 아주 영리한 기계가 생겼다. 바로 컴퓨터이다.

모아쓰기를 자동으로 해주는 지능을 가진 그 기계의 자판은 26개로, 알파벳과 똑같았다! shift 키를 눌러야 하는 ㅒ,ㅖ와 쌍자음 5개까지 해도 33개면 모든 문자가 다 해결되었고, ㄶ,ㅄ같은 이중받침도 자음을 차례로 치기만 하면 척척 생성되어서 전혀 불편이 없었다. 받침의 걸림돌이 해결되니 한글이 영어의 알파벳에 밀릴 이유가 없어졌다.

다시 몇 년 후, 글쇠가 10개밖에 없는데도 모든 문자 전송이 가능한 기계가 생겼다. 휴대폰이다. ‘천지인’ 방식을 쓰는 삼성 애니콜의 경우 10개의 글쇠 중 7개는 두 개의 자음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모두 17개, 'EZ한글(KT나랏글)‘을 쓰는 LG사이언의 경우는 모두 10개의 글쇠에 두 개의 모음이 겹쳐 있어 모두 12개의 음소를 가지고 모든 문자를 다 만들어낸다.

어떤 방식을 쓰든지 영어를 능가한다. 영어는 26개의 알파벳을 늘어놓아야 되니 달리 방법이 없어, 하나의 글쇠에 3개의 알파벳이 표시되어 있다. ’C'하나를 치는 데 세 번 눌러야 한다. 게다가 영어는 대,소문자 구분이 있어 더 복잡하다.

왜 한국이 세계적인 IT강국이 되었을까?
말할 것도 없이 한글이 디지털 문명에 가장 적합한 문자이기 때문이다. 문명의 발달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는 문자에 있어서, 한글은 태생적으로 강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 태생적인 강점은 다름아닌, 바로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이다.

국내 휴대폰의 문자 입력 방식은 휴대폰의 제자 원리에 입각해서 만들어졌는데, ‘천지인’의 경우 하늘과 땅과 사람을 상징하는 ' ․ ㅡㅣ‘을 조합하여 모음을 만든 세종대왕의 뜻을 그대로 따랐다. 하늘은 둥그니까 ’ ․ ‘, 땅은 평평하니까 ’ㅡ‘, 사람은 서있으니까 ’ㅣ‘이다. ’ㅣ‘에 ’ ․ ‘를 더해 ’ㅏ,ㅓ’가 되고 ’ㅡ‘에 ’ ․ ‘를 더해 ’ㅗ,ㅜ‘가 된다. 겨우 세 개의 글쇠로 모든 모음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EZ한글(KT나랏글)‘은 모음을 조합하지 않고 그대로 나열한 대신에 자음에만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따랐다. 즉 ’ㄱ,ㄴ,ㄹ,ㅁ,ㅅ,ㅇ‘ 6개의 음소에 ’*‘키를 이용하여 가획하게 만든 것이다. 즉,’ㄱ'에 가획하면 ‘ㅋ'가 되고, ’ㄴ‘에 가획하면 ’ㄷ‘가 된다. 발음기관을 본떠 만든 기본자에 한 줄 더 그어서 거센소리를 만든 훈민정음 원리에 충실했을 뿐인데, 가장 적은 음소로 모든 문자를 다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자음은 왼쪽에, 모음은 오른쪽에 배열한 것도 한글의 음절 구조를 고려한 것이다. 엄지족의 그 놀라운 손놀림은 사실 세종대왕이 그 기초를 마련해준 것이다.

얼마 전 미국 애플사에서 개발한 MP3플레이어에 한글 입력 기능이 없는 것을 보고 한 네티즌이 한글 입력기를 개발했는데, 바로 ’ㄱ,ㄴ,ㅁ,ㅅ,ㅇ, ․ ㅡㅣ‘ 8개의 한글 자모로 이루어졌다 한다. 이 8개로 33개의 음운을 만들어내며, 다시 8800개의 음절을 만들어내는 확장력은 세계의 어느 문자도 따라올 수 없다. 가획과 합용의 원리를 활용한 훈민정음의 과학적이고도 유연한 체계 덕분에 한글이 디지털 문명을 주도하는 문자가 된 것이다.

물론 한글에 들어있는 오묘한 원리는 IT분야에 기능적인 적응을 잘해서 돋보이는 것만은 아니다. 이미 언어 연구학으로는 세계 최고인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언어학 대학에서 세계 모든 문자를 합리성, 과학성, 독창성 등의 기준으로 순위를 매겼는데, 그 1위는 자랑스럽게도 한글이었다. 유네스코에서는 1989년 이래 해마다 인류의 문맹 퇴치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상을 주는데 그 상 이름이 ‘세종대왕상’(킹 세종 프라이스)이다.

마침내 1997년 10월1일, 유네스코에서 우리나라 훈민정음을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했다. 최근 유네스코에서는 말은 있으나 문자가 없어 급속히 사라지고 있는 소수 민족의 언어 소멸을 막는 길로 한글 사용을 권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로, 소리나는 것은 거의 다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수성만으로 그 지위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영어 교육에 투자되는 예산의 1/10만 국어 교육에 지원되어도 한글의 위상을 더 높이는 데 쓸 수 있다.

우리말의 풍부한 표현을 살리는 프로그램도 개발하고, 맞춤법의 간소화 등 디지털 시대에 맞는 언어 정책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외국의 한글 교육기관에 대한 투자도 늘려야 한다. 외국인 한글 교육에도 보다 과학적인 체계가 필요하다.

늘상 곁에 있는 것일수록 그 가치를 생각해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글이 그럴 것이다. 무엇보다 아름답고 고귀한 자산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우리 자신이 소중히 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주여고 진순효 국어교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