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노조·언론노조, '관언유착‘ 차단키 위해 ’떡값·선물‘과의 결별 선언

공무원노조와 언론노조가 다가오는 추석 명절을 앞둬 다시 손을 잡았다.

지난 1월 중순 ‘설’ 명절을 맞아 행정기관과 언론기관에서 당연시 돼 왔던 이른바 ‘떡값’과 '선물 안주고 안 받기‘ 운동을 펼쳤던 공무원노조 제주지역본부(본부장 김영철)와 제주지역언론노동조합협의회(의장 김효철)가 다시 한 번 떡값과 선물을 안주고 안 받겠다는 의지를 도민들 앞에 천명할 방침이다.

공무원노조와 언론노조가 이 처럼 ‘떡값·선물’과의 결별을 선언하려는 것은 그 동안 ‘관행’과 ‘미풍양속’이라는 미명 아래 진행돼 왔던 행정기관과 언론기관 간의 떡값과 선물 주고 받기행위가 ‘온정의 차원을 넘어서고 있다’는 인식에 따른 것으로, 잔존하고 있는 ‘관언 유착’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공무원과 언론인 스스로가 나설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서 출발하고 있다.

공무원노조와 언노협은 지난 1월에도 이 같은 운동을 펼친바 있다.

그렇다면 지난 1월 설 명절을 즈음해 이들 두 단체가 실천한 ‘안주고 안 받기 운동’은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뒀을까.

공무원노조와 언노협은 “노골적인 선물 전달행위는 어느 정도 사라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들은 제주도내 4개 시·군 공보실 직원 등을 통해 연휴 1∼2일 전에 공식적으로 전달되는 풍경은 조금씩은 사라진 것으로 보고 있다. 각 출입처 기자들로부터 차량키를 전달받아 공무원들이 기자들 차량마다 선물을 싣던 공보실 직원들의 업무가 경감된 것은 분명하다고 자평하고 있다. 또 시장·군수를 비롯해 과장, 계장 등 상급자들도 떡값과 선물을 주더라도 이제는 최소한 공무원노조와 언론노조의 눈치를 보며 몰래 전달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그래도 음성적인 선물전달은 여전히 관행처럼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예전처럼 시·군청에서 직접 선물을 전달하는 ‘과감함(?)’이 사라진 대신 상급자가 하위직원을 시켜 집까지 직접 방문·전달하는 ‘방문서비스(?)’사례가 있었으며, 이 방법도 여의치 않을 경우 ‘택배서비스’를 활용하는 경우도 일부 생겨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공무원노조와 언노협은 행정기관과 언론기관간의 ‘떡값·선물 돌리기’가 아직은 근절단계에까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다가오는 추석명절을 맞아 다시 한 번 ‘안주고 안 받기’운동을 전개해 이 운동이 단순한 ‘선언’을 넘어 ‘실천’으로 구체화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제주지역 공무원노조와 언론인노조가 이 처럼 ‘안주고 안 받기’ 실천운동에 전력을 기울이려는 것은 이 같은 운동이 깨끗한 공직사회와 당당한 언론을 좀 더 앞당겨 실현할 수 있는 ‘작지만 큰 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깨끗한 공무원, 당당한 언론인’이 당연한 명제가 되고 ‘관·언 유착’의 오명이 제주에서만큼은 완전히 사라지도록 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되고 있다.

공무원노조와 언노협은  ‘안주고 안 받기’운동을 실천하기 위해 우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 현수막을 제작해 자치단체 청사와 언론사 사옥에 부착할 방침이다.

또 제주도청을 비롯한 4개 시·군과 각 언론사에 공식 공문을 접수시키는 한편, 인터넷 등을 통한 공동 고발접수 창구도 운영키로 했다.

공무원노조와 언노협은 접수된 사례에 대해서는 확인작업을 거쳐 문제가 된다고 판단될 경우 떡값과 선물을 준 자, 그리고 받은 측 양측 모두 소속과 실명을 공개할 예정이다. 또 추석 연휴 이후에도 공동평가 작업을 거쳐 ‘안주고 안 받기 운동’의 결과를 도민 앞에 공개할 예정이다.

김영철 공무원노조 제주지역본부장은 “선물이라는 게 원래 자신의 따뜻한 마음을 전달하는 ‘정성’임에도 불구하고 갈수록 그 액수가 커져 주는 사람은 물론 받는 사람까지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어떤 면에서는 이 같은 떡값과 선물이 마치 관행화 되면서 우리사회를 좀먹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비단 행정과 언론사와의 문제뿐만 아니라 공직사회의 내부 스스로도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공무원이 외부인사로부터 어떠한 명목으로든 선물을 받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상급간부가 직원에게 선물을 줄 때도 예산이 업무추진비로 써서도 안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