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들고 조정철의 제주 유배생활 엿보기

정헌 조정철은 1777년 정조시해 건과 연류되었다는 죄를 뒤집어쓰고 제주로 유배되었던 인물이다. 그는 제주에서 죄인으로 지내는 동안 ‘홍윤애’라는 여인과 사랑의 관계를 맺었다. 이 두 사람의 사랑이야기는 26년간의 제주 유배 생활 못지않게 처절하여 듣는 이를 안타깝게 한다. 

정조의 시대가 지나고 순조대인 1803년에 내륙인 광양으로 양이되고, 1805년 3월에 구례로, 1807년 5월에 황해도 토산으로 이배되었다가 그해 석방되면서 정언으로 복관되어 1811년에 제주목사겸전라방어사로 명을 받아 1년 동안 부임하였다. 27세에 유배되었던 섬에 환갑이 넘어 다시 목사가 되어 찾아왔던 것이다.  

조정철은 제주 유배기간 자신의 심정을 시와 수필로 기록하였는데, 이것들을 모아놓은 시문집이 <정헌영해처감록(靜軒瀛海處坎錄)>이다. 올해에 마침 '제주문화원'에서 이 책의 한글 번역판을 출간했기에 읽고 기사를 작성할 수 있었다. '제주문화원'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  <기자주>

정조가 즉위한 이듬해(1777) 7월 28일, 경희궁 현존각에 마련된 그의 침소에 자객이 침입했다. 왕을 중심으로 위민국가를 건설하려 했던 정조의 이상에 불만을 품은 전흥문, 강용휘 등 노론 세력들이 왕을 제거하고 정조의 이복동생을 새 왕으로 옹립하려던 것이다.

정헌(靜軒) 조정철(趙貞喆 ; 1751~1831)은 이 사건과 연류되어 제주로 유배되었다. 조정철은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였지만 그를 경계하던 홍국영 세력에 의해 죄를 뒤집어쓰고 죄인의 신분으로 제주로 떠나게 되었다. 그의 형 조원철도 사건과 연류되어 기장으로 유배되었다. 당시 이 사건과 연류된 무리들은 모두 죽음을 면치 못했지만, 이들 형제는 정조의 배려로 인해 목숨만은 건질 수 있었다.

천신을 마주 대하던 날 상감께서 이르시기를 “너는 나쁜 반역을 안 했을 것이다. 또한 충신의 자손이므로 심문하는 형벌을 주지 않겠다 ”고 하셨다. … 또한 특별히 형벌을 가하지 말 것을 이르신 것은 바로 증조 충익공(忠翼公, 조정철의 증조부 조태채)을 고려하신 때문이며, 전후의 은혜로운 교시에서도 “다만 신중하지 못한 까닭이다”라고 운운하셨다. - <정헌영해처감록> 중

조정철이 임금을 시해하려는 음모에 가담했다는 누명을 쓰게 된 계기는 사건과 연류된 홍상길을 심문하는 과정에 있었다. 홍상길의 형 홍상범의 여종이 조정철의 집에 드나들며 조정철의 부인 홍씨와 만났다는 단서가 나왔기 때문이었다. 부인 남양홍씨는 자신이 멸문지화를 자초했다는 자책감을 이기지 못하고 8개월 된 아들을 두고 그해 9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는 억울하게 죄를 뒤집어써 바다 건너 제주로 유배 생활하는 심정을 ‘죽고 싶다’고 표현했다.

내가 성세를 만나 살다가 불행히도 무고를 입어 망극하게도 갑자기 형틀에 헐떡이다가 영해 밖으로 멀리 유배되어 죄수로 복역을 하며 두려웠던 점은 매번 한 번 죽고 싶은 것이 한이었지만 오히려 늦어지는 것이었다. - <정헌영해처감록 서문> 중 일부  
  

▲ 복원된 제주목관아. 조정철 가문은 3대에 4명이 제주에 유배되는 비운을 겪었다. ⓒ 장태욱

조정철의 유배를 더욱 안타깝게 만드는 것은 3대에 걸쳐 무려 네 차례나 제주도 유배를 경험했던 집안의 내력 때문이다. 그의 할아버지가 되는 조승빈은 1723년 신임옥사로 정의현에 유배되었고, 조승빈의 동생이자 조정철의 작은 할아버지인 조관빈은 1731년에 대정현에, 그리고 조정철의 부친인 조영순도 1754년에 제주에 유배되었다. 조정철마저 제주에 유배되었으니 한 집 안에 네 사람이 제주도에 유배되는 진기록을 세우게 된 것이다.

조정철은 제주목 유배 기간에는 제주사람인 신호의 집에서 적거했는데, 유배 시작부터 시련을 맞았다. 당시 제주판관으로 부임했던 정래운은 사사로운 감정으로 인해 그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며 조정철로 하여금 고통의 나날을 보내게 했다.

경래운은 천한 예속 출신자로 그전(조정철이 관직에 있을 때)부터 부정한 건으로 비록 우리집 문 밑으로 출입을 해도 일찍이 얼굴을 대해주지 않았다. 이제 와서 개인적인 원한을 드러내며 … 데리고 온 단 하나의 종놈을 도착한 날 즉각 잡아가두고 다시 보내고 들어온 쌀포대도 육지로 보내버리는 둥 너무한다. … 양식 얻는 길을 혹독하게 금하니 굶주려 견디지 못할까 걱정이다.  - <정헌영해처감록> 중 
  

▲ 유배인 조정철은 제주에서 비참한 유배생활을 했다. ⓒ 장태욱

조정철은 심지어 독서조차 금지된 채로 지내야했다. 그는 "새로온 목사 김영수가 책 읽는 것을 금지하였다. 아침에 도를 듣고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뜻은 볼 수 없게 되었다"며 한탄했다. 게다가 정조 3년(1779) 정월에는 관에서 집주인을 바꾸어 정해는 바람에 "큰 비 내리는 가운데 급박하게 쫒겨났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는 제주 유배도중 밀려오는 서러움과 슬픔을 시로 달래며 살았다.

비온 후 날씨 맑아
바닷빛 짙푸르러 아득히 만리가 평탄해
우뚝 솟은 누각 붉은 난간에 신기루 맺어
가파른 성가퀴에 고래가 흰 눈을 뿜은 듯한 파도
조잘대는 남녘 사투리 처음 들을 때 괴이해
보일 듯 말 듯 밀려있는 고깃배 보기에 놀라워
북쪽 바라보면 외로운 구름, 어느 곳에 있을까
두 줄기 맑은 눈물 절로 마구 흐르네.

아내의 죽음을 애통하게 생각하며 지은 시도 있다.

은하수는 역력히 일 년을 느릿느릿
하늘 위 두 별 비로소 만날 때
괴로워하는 인간의 무한한 생각
무덤에서 서로 만날 때로 혹 이러할까.  
   

▲ 김시구 목사는 조정철을 음해할 목적으로 홍윤애를 문초했다. ⓒ 장태욱

오랜 유배생활 중 깊은 상실과 고독에 빠져 있던 그는 누군가를 애타게 기다리며 밤을 보냈다. 그러다가 조정철은 홍윤애라는 여인과 사랑에 빠졌다.

사람을 기다리는데 오지 않고
외로운 달 삼경이 되려는데
손짐 지고 텅 빈 마당에 서니
솔바람은 맑기만 하네.

홍윤애는 향리 홍처훈의 딸이었다. 어릴 적에 기적에 올랐다가 면천되었는데, 조정철이 제주에 유배되었을 때 그의 적거에 들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죄인의 누명을 쓰고 제주에 유배되는 와중에 상처(喪妻)의 고통까지 짊어져야 했던 조정철은 홍윤애와의 사랑으로 수렁에 빠진 자신의 삶을 지탱했던 것 같다.

무수히 피었던 복숭아 꽃나무
비온 후 잎이 무성하네.
속세의 소식 끊기고
무릉에 봄이 돌아온 듯…  
   

▲ 홍윤애는 장 70대를 맞고 뼈가 부셔지고 살이 찢어지는 고통을 안고 죽었다. ⓒ 장태욱

홍윤애와의 사랑은 조정철로 하여금 서울을 속세로, 유배지인 제주는 무릉으로 인식하게 변화시켰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시다. 하지만 정조 5년(1781)에 조정철의 가문과 불구대천의 원수였던 김시구가 제주목사로 부임하면서 이들의 사랑은 위기를 맞았다. 

김시구 목사는 판관 황인채와 함께 홍윤애가 조정철의 적거에 출입하는 것을 빌미로 홍윤애를 문초하였다. 그녀로 하여금 조정철에게 불리한 진술을 받아내려 했던 것이다. 혹독한 문초에도 불구하고 홍윤애는 끝까지 입을 다물었고 당황한 김시구는 그녀에게 장 70대를 쳐서 죽게 만들었다.

당시 상황을 조정철은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목사 김시구는 출신이 흉악한 남인의 한 사람이다. 배에서 내린 날부터 이미 나를 죽이려는 뜻을 가지고 … 그 무리인 판관 황인채와 더불어 둘이 한 패가 되어 나쁜 일을 같이 하며 서로 도왔는데 … (홍윤애를) 강제로 불러다가 나의 적거에 출입한 죄로 특별히 만든 서까래와 같은 매로 70을 헤아리게 때리기에 이르니 뼈가 부서지고 근육이 찢어져 죽었다. 사건이 너무 놀랍고 참혹하여 생각나는 대로 절구 한 수를 적었다. 신축(정조5년, 1781) 윤 5월 15일이다.

외로운 신하 임금의 은혜에 피눈물 흘리는데
모든 일 남녘 변방에서 한결같이 경계하네.
어제 광풍 큰 나무 흔들게 불어내니
시든 꽃 새로 돋아난 잎 어지럽게 떨어지네.  
   

▲ 홍윤애의 무덤이 있던 곳이다. 후에 제주농고가 들어서면서 무덤은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 ⓒ 장태욱

<계속>

덧붙이는 글 | 이야기를 따라서 여행지를 정했습니다. 계속 이어집니다.

※ 이 기사는 오마이뉴스에도 실린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