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들고 조정철의 제주 유배생활 엿보기2

정헌 조정철은 1777년 정조시해 건과 연류되었다는 죄를 뒤집어쓰고 제주로 유배되었던 인물이다. 그는 제주에서 죄인으로 지내는 동안 '홍윤애'라는 여인과 사랑의 관계를 맺었다. 이 두 사람의 사랑 이야기는 26년간의 제주 유배 생활 못지않게 처절하여 듣는 이를 안타깝게 한다. 

그는 정조의 시대가 지나고 순조대인 1803년에 내륙인 광양으로 양이(멀리 유배된 사람의 죄를 감등하여 가까운 곳으로 옮기던 일) 되고, 1805년 3월에 구례로, 1807년 5월에 황해도 토산으로 이배(귀양살이하는 곳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되었다. 그러다 그해 석방되면서 정언으로 복관되었고, 1811년에 제주목사겸전라방어사로 명을 받아 1년 동안 부임하였다. 27세에 유배되었던 섬에 환갑이 넘어 다시 목사가 되어 찾아왔던 것이다. 

조정철은 제주 유배기간 자신의 심정을 시와 수필로 기록하였는데, 이것들을 모아놓은 시문집이 <정헌영해처감록(靜軒瀛海處坎錄)>이다. 올해에 마침 '제주문화원'에서 이 책의 한글 번역판을 출간했기에 읽고 기사를 작성할 수 있었다. '제주문화원'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  <기자주>

 불구대천의 원수가 제주목사로 부임하다

정헌이 제주로 유배된 지 5년만인 정조 5년(1781) 3월에 김시구가 제주목사로 부임하였다. 김시구는 신임사화 때 노론 4대신을 탄핵하여 무고하게 처형했던 소론파 김일경의 계파였다. 김일경이 탄핵한 노론 4대신 중에 조정철의 증조부인 조태채가 포함되어 있었으니, 김시구와 조정철은 불구대천의 원수지간이었던 셈이다.
   

▲ 홍윤애는 원래 관기였는데 면천되었다. 유배인 조정철을 사모하여 그의 적거에 출입하였다가 제주목사 김시구에게 고초를 당해 죽었다. ⓒ 장태욱

 

김시구는 제주목사로 부임하자마자 판관 황인채와 공모하여 조정철을 제거하려고 혈안이되어 있었다. 그러던 중 향리의 딸 홍윤애가 조정철을 사모하여 그의 적거에 출입하는 것이 김시구에게 발각되고 말았다.

목사는 조정철이 유형수의 규범에 어긋나는 행동을 했는지, 임금이나 조정대신들에 대한 비방을 했는지 여부를 캐물었지만 홍윤애는 시종일관 "청소하고, 빨래하며 잔일을 거들어주었을 뿐"이라고만 답했다.  
   

▲ 제주목사 김시구는 홍윤애를 모질게 심문했다. ⓒ 장태욱

작가 오성찬은 그의 소설 <추사 김정희>에서 홍윤애가 죽어가는 장면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목사는 스스로 벙거지를 쓰고 염탐에 나섰다. 그리고 한 이틀도 지나지 않아 그 비바리 홍랑(홍윤애)은 목사에게 잡힌 바 되었다. 얼씨구, 이제야 네 놈도 죽을 길로 들어섰구나. 다시는 변명을 못하리라.

그러나 동헌 마당에 결박지워다 놓은 비바리는 독한 계집. 묻는 말마다 묵묵부답이었다. 어쩌다가 한마디하는 대답이라곤 똑같은 내용이었다.

"세답하고, 청소하고, 잔일이나 거들었을 따름입니다."
"그게 말이나 돼, 이년아? 죽으려면 무슨 짓을 못해? 되지게 쳐라!"
벗은 여자의 부끄러운 볼기에 초달 치는 소리는 더욱 실감났다. 곤장 부러지는 소리가 가끔 튀고 살갗이 착착 묻어났다. 뼈부러지는 소리도 이따금 뼈에 맞혔다.

"말을 해라! 했냐 안 했냐? 조정을 비방하고 성상을 욕했지?"
그러나 홍랑은 터지게 입술을 깨물 뿐 아무 소리도 하지 않았다.

"이놈들, 죄 없는 사람에게 죄를 씌우려는 나쁜 놈들! 네놈들이야말로 역적이 아니고 무엇이냐?"
"에이, 저저저 지독한 년! 저 년을 도리에 거꾸로 매달아라!"

목사의 호령에 따라 여자는 동한 처마에 거꾸로 매달렸다. 꼭 사냥해 온 꿩을 매단 형국이 되었다. 입과 코에서 피거품이 솟는데도 매질은 계속 되었다. 그 여린 몸에 무려 장 70대, 그녀는 마침내 축 늘어져버렸다. 그리고는 영 깨어나지 못했다.

- 소설 <추사 김정희>(도서출판 큰산) 중 101-102쪽  
  

▲ 홍윤애의 무덤이다. 제주 남문 근처에 있었는데 애월읍 유수암리로 이장되었다. ⓒ 장태욱

조정철은 홍윤애의 죽음에 대해 "혹형 밑에 기절하면서도 입으로는 오히려 억울하다면서 재난을 당할 빛이 더욱 다급해지자 목을 매어 죽었다"며 그녀의 죽음을 슬퍼하는 시를 남겼다.

같끝 같은 혹형, 사건에 근거도 없이
너의 말 대쪼개듯 하여 어지러움 잠재웠네
오히려 나의 죄 만들어 곧 밀계를 한다니
지금과 같은 생사 성군 시대에도 있는가

김시구는 죄상을 밝힐 증거도 드러나지 않은 상태에서 사람을 죽인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조정에 제주도 유배인들이 역모를 꾸민다는 허위보고를 올렸다. '오히려 나의 죄 만들어 곧 밀계를 한다니'라는 시구는 김시구의 음모를 나타낸 것이다.

홍윤애의 장례식이 열리는 날 조정철의 비통한 심정을 기록한 시의 서문에는 "6월 2일 새벽 해로소리가 들려, 물어보니 홍랑의 발인인데, 가련하고 참담하여 일어나 절구 하나를 적었다"고 했다.

귤나무 우거진 남쪽 석자 분묘
젊은 혼 천년토록 원한 남으리
초장 계조를 누가 드릴까
한 곡조 슬픈 노래에 절로 눈물이 고이네  
   

▲ 홍윤애의 무덤은 전농로 옛 제주농고터에 있었다. 1932년 이 곳에 학교가 들어서면서 홍윤애의 무덤은 유수암리로 이장되었다. ⓒ 장태욱
 

제주목사의 거짓 보고에 조정은 어사를 파견하고

김시구의 거짓 보고를 받은 조정에서는 제주목사와 대정현감·정의현감을 새로 임명하였다. 그리고 후에 어사를 파견하여 김시구가 올린 보고의 사실여부에 대한 조사를 벌였다.

7월 12일 밤 제주목사 이양정, 판관 이형묵, 대정현감 이양재, 정의현감 이우진 등이 관선으로 한꺼번에 도착하였다. 아마 김시구의 밀계 때문에 조사를 하여 거짓과 참을 밝히려는 것 같다. … 동이 트자 판관이 먼저 도임하여 도류를 점고하고 즉시 나와 다른 유배죄인을 잡아다가 모두 칼을 씌워 하옥한 후에, 판관이 친히 옥 속에까지 와서 엄히 지킬 것을 타이르고 경계하니 혹독하게 마음대로 다룸이 의금부에 배하여 몇 갑절이 되었다.

- <정헌영해처감록> 중 일부

그해 가뭄 끝에 8월에 폭풍우가 일고 큰 비가 내리자 감옥을 지키는 수직장교들은 그 원인을 홍윤애의 원기가 섬에 불러온 것이라고 했다. 옥중에서 암행어사가 도착하기 전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조정철이 죽은 홍윤애를 추모하며 남긴 시는 그녀를 향한 사랑의 깊이가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하늘로 감아올리는 원인모를 재앙
죽음은 실로 나 때문이지 어찌 그대의 원혼일까
가뭄에 열흘 거듭된 세찬 비바람
섬사람들, 오히려 여랑(女娘, 홍윤애를 말함) 원한이라 말들하네  
  

▲ 조정철은 옥에 갇혀 100일간 어사의 심문을 받았다. ⓒ 장태욱

한편 그해 8월 12일에 제주에 도착한 암행어사 박찬형은 12일부터 죄인들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어사에게 조사를 받는 동안 조정철은 자신이 받은 처우를 "삼목(三木)에 갇혀 한가닥 목숨 살아 꽁꽁 묶인 새끼 돼지 꼴"이라며 비통해 했다.

지옥 같은 심문이 계속되었다. 역모 계획이 있었는지 묻는 어사의 추궁과 이를 부정하는 대답이 수차례 반복되었다. 그 와중에 옥중에서 부인 홍씨의 기일(9월 27일)을 맞았다. 부인 홍씨는 조정철이 역모사건에 누명을 쓰고 유배행을 언도받자 자책감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절부였다.

세상의 변고를 만난 계절 두 줄기 흐르는 눈물
지나간 일 마음 상해 슬픔을 시로 적네
인생의 다하지 못하는 감회 몇 번 돌아오는가
옥문에서도 또 가련한 날 만나네.

그러다가 옥에 갇힌 지 100일이 되는 날 조정철에 대해 '사형을 면하고 배소를 옮기라'는 임금의 명령이 도착했다. 그에 따라 그는 옛 집주인 신호의 집에서 관리 김윤재의 집으로 적거를 옮겼다.  
  

▲ 조정철은 이 일대에서 생활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글에는 남수각과 과원, 귤림서원 등이 자주 등장한다. ⓒ 장태욱

그러다가 어사 박천형은 '제주성은 배대는 곳(화북포구)과 10리 미만이라 육지상인들과 인연이 있는 자는 편지가 통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철을 정의현으로 이배하는 게 좋겠다'는 장계를 올렸다. 조정은 박천형의 장계를 받아들여 그를 정의현으로 이배하라는 결정을 내렸다.  
   

▲ 표선면 성읍리에 있는 옛 정의현성이다. 조정철은 이곳으로 이배되었다. ⓒ 장태욱

당시 정의현으로 배소지를 옮기라는 명을 받은 조정철은 이배 원인을 "고문을 해도 사실을 알리기 어렵고, 죽이지 않아도 풍토병으로 죽게 될 것이기 때문"으로 여기고 있었다.

-계속-

덧붙이는 글 | 이야기를 따라 여행지를 결정했습니다. 계속됩니다.
 
※ 이 기사는 오마이뉴스에도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