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 국어문화원 공공언어 개선 조사 발표 “샷시→창틀, 바우처→이용권”

제주지역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일본어 투 용어와 불필요한 외래어 등이 많아 소통이 힘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은 제주지역 공공언어 개선을 위한 조사 및 홍보 사업 결과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제주대 국어문화원은 제주도청과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등 공공기관 누리집에 게시된 공고문과 보도자료 등을 중심으로 지난해 8월 11일부터 9월 17일까지 공공언어 사용 실태 조사를 진행했다.

공공언어는 국가 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의 업무 활동에 사용되는 언어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기관이 생산하는 모든 종류의 언어를 말한다.

조사 결과 제주도청 총 81건, 제주시청 74건, 서귀포시청 109건 등 공공기관 개선 대상 용어가 선정됐다. 개선 대상 용어 항목은 △일본어 투 용어 △불필요한 외래어 한글 △불필요한 외래어 로마자 △어려운 한자어 등 4개다.

제주도청의 경우 일본어 투 용어 14건, 불필요한 외래어 한글 40건, 불필요한 외래어 로마자 20건, 어려운 한자어 7건 등으로 나타났다. 

제주시청은 각각 15건, 30건, 5건, 24건으로 집계됐으며 서귀포시청의 경우 일본어 투 용어는 없었으나 불필요한 외래어 한글 38건, 로마자 11건, 어려운 한자어 60건 등으로 총 건수가 가장 많았다.

일본어 투 용어의 대표적인 사례와 순화어로는 △개소→군데, 곳 △금회→이번 △나대지→빈집터 △도합→합계 △마대→포대 △샷시→창틀 △어획고→어획량 △음용수→먹는 물 △지리→맑은 탕 △익일→다음 날 △전향적→적극적, 진취적 등이다.

기관에서 많이 사용하는 ‘개소’의 경우 ‘곳’이나 ‘군데’로 표기해 불필요한 일본어 투를 사용하지 않고 모두가 알기 쉽게 표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개소당 100만 원 지원’ 문장을 ‘1곳당 100만 원 지원’ 등으로 바꾸면 더 알기 쉽다는 것.

불필요한 외래어 한글의 경우 △거버넌스→정책 △그리드→격자 △그린→친환경 △글로벌→국제 △네트워크→연결망 △뉴딜→경제 부흥 정책 △다운로드→내려받기 △마스터플랜→종합 계획 △메카→중심 △모니터링→점검 △바우처→이용권 등이 있었다. 

불필요한 외래어 로마자는 △ARS→자동 응답 시스템 △BI→상표 이미지 △CI→기업 상징 △color→색 △EV→전기차 △GRDP→지역 내 총생산 △IOT→사물 인터넷 △LNG→액화 천연가스 △LED→발광 다이오드 △MOU→업무협약 △SNS→누리 소통망 등 사례다. 

한자어의 경우 △게첩→내붙임 △관할→담당 △교부하다→내주다 △금번→이번 △기부채납→기부받기 △기재하다→쓰다 △내구연한→사용 가능 햇수 △단차→높이 차이 △대묘→큰 모 △도모하다→꾀하다 △동절기→겨울철 △발주→주문 △부락→마을 등이 있었다.

제주대 국어문화원은 “공공언어 개선의 핵심은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다. 이를 위해 국가와 국어 관련 기관, 공공기관, 국민 모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한다”며 “제주지역 공공기관 누리집에서는 상당수의 일본어 투, 어려운 외래어, 어려운 한자어 등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공공언어는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문서인 만큼 쉽고 정확하게 작성해야 한다”며 “언어 취약층의 공공언어 문해력 문제는 복지의 사각이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업을 통해 공공언어 개선이라는 목표에 한 걸음 나아갈 수 있는 거름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