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제주문화상징 ‘99대 문화원형’ 발굴 선정

제주하면 맨 먼저 떠오르는 상징물을 과연 무엇일까? 제주도가 이런 궁금증을 푸는데 도움이 될 제주문화를 대표해온 ‘문화원형 99가지’를 선정, 발표했다.

이번 문화원형 선정은 제주문화예술재단에서 올해 초부터 최근까지 각계 전문가의 조사·연구와 도민 525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자연, 역사, 신앙·언어예술, 사회·생활 4개 분야에 걸쳐 이뤄졌다.

자연분야에서는 한라산, 오름, 용암동굴, 돌담, 곶자왈, 성산일출봉, 용두암 등 23개, 역사분야는 삼성혈, 제주목관아, 제주4.3, 환해장성, 유배의 땅 등 24개가 선정됐다.

신앙·언어·예술분야에서는 신구간, 제주굿, 제주어, 설문대할망, 돌하르방 등 24개, 사회·생활분야는 갈옷, 자리회, 제주초가, 해녀, 테우리 등 28개가 선정됐다.

제주문화상징은 제주문화의 원형으로서 상징성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적 콘텐츠로 활용이 가능하며 유네스코 등록 등 세계화에 기여도가 높은 것을 기준으로 선정됐다.

제주도는 이번에 선정된 문화상징물에 대해 문화예술산업의 창작 소재와 관광코스로 개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교육용 도서로 제작, 제주도민들에게 제주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는 길잡이가 되도록 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문화원형을 토대로 10대 상징물을 압축하고 이를 자세히 소개하는 편찬사업도 전개할 계획이다.<제주의소리>

□ 제주문화상징 : 자연분야 23항목

번호

상징

선 정 이 유

1

한라산

제주를 대표하는 자연경관의 상징체

2

오름

제주를 대표하는 경관적 요소이자 관광자원

3

용암동굴

제주만이 지니는 독특한 화산동굴이자 관광자원

4

돌담

돌의 고장임을 알리며 제주 전역을 수놓는 중요한 미학적 요소

5

곶자왈

제주 생명수의 함양지이자 상록활엽수의 주요 서식지

6

제주마

조선시대 대표적인 국마(國馬)로서 제주 토종말

7

제주한란

제주의 대표적인 난초

8

마라도

대한민국 영토의 최남단에 위치하는 유인도

9

바람

삼다삼무의 요소로 제주의 자연환경을 단적으로 상징하는 자연요소

10

성산일출봉

특이한 수성 화산체이자 대표적인 관광지, 또한 시와 수필 등에 많이 등장하는 대표적인 오름

11

왕벚꽃나무

제주 토종의 대표적인 나무

12

내창

육지부의 하천이나 강과는 전혀 다른 독특한 하천 특성을 보이는 자연요소

13

용두암

제주를 대표하는 용암기석으로 전국적인 관광명소

14

용천수와 봉천수

과거 제주도민들의 소중한 생명수

15

아흔아홉골

한라산 중턱에 위치하며 기암절벽을 보이는 계곡

16

영주 10경

제주도의 가장 아름다운 산수경관 10곳

17

해안일주도로

해안 지역 주민들의 교류를 활발하게 한 대표적인 도로

18

검은도새기

제주도민들의 생활과 함께 해온 토종 돼지

19

제주개

제주를 대표하는 토종 개(犬)

20

검은쉐[黑牛]

제주를 대표하는 토종 소

21

노루

제주도 한라산에서 서식하는 대표 동물

22

서귀포

한라산 남쪽 지역의 상징 명칭

23

폭낭(팽나무)

제주도민들의 쉼터 역할을 해온 상징적인 정자목

 

 

□ 제주문화상징 : 역사 분야 24항목

번호

상징

선 정 이 유

1

삼성혈

고을라·양을라·부을라 3신인이 탐라국을 건국했다는 탐라국 건국의 발원지

2

고산리 신석기 유적

교과서에 수록된 한반도 最古의 신석기 유적지

3

제주목관아

조선시대 제주목사의 근무지로 조선시대 제주행정의 중심지

4

관덕정

조선 세종 때 제주목관아의 중심에 세워진 정자로서, 제주역사의 상징 공간

5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고려시대 삼별초의 최후 항쟁을 보여주는 제주의 유적지

6

환해장성

고려시대 이래 조선시대까지 외침극복을 위해 제주사람들이 바닷가를 따라 제주섬을 돌아가며 쌓아 놓은 방어유적

7

원당사지 5층석탑

원나라 기황후의 전설이 있는 고려시대 제주의 불탑이며 전국 유일의 현무암 탑

8

제주4·3

해방공간에서 발생한 제주 현대사의 최대 비극. 21세기 평화와 인권을 상징하는 아이콘이 될 사건

9

유배의 땅

고려~조선시대 유배문화의 상징적 공간.

10

하멜의 표류

‘하멜표류기’의 하멜이 처음 표착한 곳이 제주도임을 알림

11

김만덕

조선후기 기민을 구제하고 임금까지 알현한 제주의 여성. 21세기 주체적 여성의 상징으로, 봉사인의 모범으로, 여성경제인 등의 다양한 문화 아이콘

12

봉수와 연대

조선시대 변란에 대비해 건설한 군사 통신시설

13

오현단

조선시대 제주 유림문화를 대표하는 서원

14

제주도식 고인돌

한반도 여타 지역의 고인돌과는 달리 제주특유의 양식을 간직하고 있음

15

호적중초

조선후기 제주도민의 호구동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

16

삼양동 선사유적

기원 전후 탐라국 초기의 집단 거주를 보여주는 대규모 마을 유적

17

잣성

제주중산간 목마장에 쌓았던 돌담으로 제주목장사의 귀한 유적

18

진지동굴

현재까지도 잘 보존된 일제의 전쟁 준비 시설로, 평화 교육의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

19

출륙금지령

1629년부터 약 200년간 한반도로 향하는 제주사람들의 자유로운 왕래를 금했던 조치로 제주의 해양문화를 단절케 한 결과를 가져옴

20

법화사지

제주를 장악했던 원제국과 관련 있는 대규모 사찰. 제주와 원과의 관계, 제주불교의 특징 등을 잘 보여주는 유적지

21

고득종

조선 세종 때 현재 서울시장 격인 한성부 판임까지 역임한 제주인

22

 

읍성과 진성

조선시대 제주의 읍치 행정을 보여주던 성곽과 군사적 요충지에 두었던 방어 성곽

23

탐라

고려시대 고려 중앙정부의 한 지방으로 편입되기 전까지 제주섬에 존재했던 국가의 명칭으로 제주를 뜻하는 또 하나의 상징적 호칭

24

사람발자국화석

하모리-사계리 일대 해안에서 발견된 사람 발자국 화석으로서 신석기 시대 제주지역의 화산활동과 인류의 삶을 보여주는 중요 유적

 

□ 제주문화상징 : 신앙.언어.예술 분야 24항목

번호

상징

선 정 이 유

1

신구간

인간세상의 일년사를 옥화에 고하기 위해 모든 신들이 승천한다는 시기. 오늘날도 강하게 전승되며 대부분 이때 이사를 함

2

제주굿

당굿, 큰굿 무혼굿 등에 이르기까지 생명력 강하게 전승되고 있음. 무형문화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매우 큼

3

방사탑

마을의 액을 막기 위해 허한 방위에 공동으로 쌓은 탑

4

칠머리당 영등굿

제주시 산지항 칠머리당에서 해녀와 어부들이 항해의 안전과 풍어를 위해 치르는 영등맞이굿과 영등송별굿

5

제주어

국어학적 가치가 높고, 지역문화가 잘 드러남

6

걸궁

농악의 일종으로 마을과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식이 담겨 있음. 지금도 마을마다 걸궁패가 있고 행사 때 많이 공연됨.

7

탐라순력도

18세기초 지방 순력의 실상을 보여주는 유일한 화첩

8

내왓당무신도

제주무속의 특징이 잘 드러난, 국내 最古의 무속화.

9

추사와 세한도

조선후기 대표 유배인 김정희와 그가 남긴 추사체가 완성된 본 고장

10

제주민요

화산섬 제주에 사는 사람들의 애환이 잘 드러남

11

설문대할망

제주도의 창조 여신

12

돌하르방

제주를 대표하는 석상

13

동자석

제주도 무덤의 수호 석상

14

동.서자복

사람의 수명과 행복을 관장하는 신으로,복신미륵(福神彌勒)이라고도 함

15

신들을 모시는 당, 학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큼.

16

포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유교식 포제와 무교식 당굿

17

심방

제주기층문화의 상징인 무속의 으뜸 상징

18

입춘굿

입춘맞이 관민합동 풍농굿

19

영감놀이

도깨비탈을 쓰고 영감으로 분장한 도깨비 놀이굿

20

자청비

사랑과 곡물의 여신

21

본풀이

제주도 서사무가의 전반적인 특징이 드러남

22

한라산신

한라산을 하나의 신으로 관념하는 것, 또는 한라산에서 솟아난 남성신들의 영웅담으로 구멍에서 솟아났다는 삼성신화와 연결성이 있음

23

삼승할망

출산과 육아를 도와준다는 신.육지와 달리 신화가 있음

24

넋들임

사람이 놀랬을 때 넋이 나갔다고 믿어서 넋을 들여넣는 무속의례

 

 

□ 제주문화상징 : 사회 및 생활 분야 28항목

번호

상 징

선정이유

1

갈옷

무명에 풋감즙을 들여만든 전통적인 노동복

2

정당벌립

야생초인 정당(댕댕이덩굴)으로 짠 모자이자 다목적 테우리 장비

3

빙떡

메밀가루에 무우채를 소로 넣어 만든 떡. 공동체 부조음식이며 간편한 실용식

4

자리회

자리돔으로 만든 강회와 물회. 전통적인 여름식품. 서민의 우수한 단백질원

5

국

돼지삶은 국물에 해초인 을 넣어 끓인 국. 경조사때 공동체적인단백질보충음식

6

오메기술. 고소리술

차좁쌀로 빚은 제주도 특유의 막걸리와 소주

7

감귤

조선시대부터 제주를 상징하는 과일

8

제주초가

띠를 덮어 바람에 불리지 않게 바둑판처럼 엮은 지붕이며 굴묵 등 풍다의 섬에 알맞는 건축의 지혜가 담긴 독특한 미감.

9

정낭(정주목)

외부와의 경계, 대문의 역할을 하던 것으로 이웃과의 신뢰 및 정보소통의 상징

10

돗통시

돼지를 길러서 음식물 쓰레기처리, 퇴비생산은 물론 가정곙제에 도움도 주었던 전통적인 돼지우리. 환경 및 생태사이클을 보여주는 돼지우리.

11

말총공예

제주마의 꼬리털을 이용한 우수한 수공예(망건, 탕건, 총모자)

12

애기구덕

대나무로 짠 육아용 요람으로 해녀들은 바닷가, 농부는 밭에까지 가지고 감

13

허벅

물을 담는 옹기물동이로 주둥이가 좁고 배는 부른 특이한 미학적 형태. 구덕에 담아 등짐으로 져 나르는 물허벅은 여성의 상징, 생명의 상징

14

방에

현무암으로 만든 연자마로서 제주에서는 조랑말을 이용하여 잡곡을 도정함. 10가호 이상이 계를 조직하여 설치,운영,괸리하였던 민속자료

15

번쉐 멤쉐

밭안에 소떼를 모아들여 똥오줌으로 밭을 걸게 하는 것은 번쉐, 멤쉐는 집에서 메어두고 일하는 소. 가축을 농사에 적절하게 이용.

16

수눌음

밭갈기, 김매기, 추수 같은 노동을 노인, 또는 혼자 사는 사람 등이 서로의 일손을 모아서 도우며 해결해나가는 공동체정신

17

테우리

마소를 봄에서 가을까지 한라산 기슭에 내몰아서 야생에서 자유롭게 키우는 목동

18

입도조

제주에 처음 들어온 선조를 일컫는 총칭. 제주에선 입도조에 대한 숭조의식이 강함.

19

궨당과 삼춘

혈연으로 맺어진 친족집단의 총칭. 사돈에 팔촌이 모두 궨당이라 할만큼 혈연의식이 강함

20

고팡물림

며느리에게 열쇠를 물려두는 일. 집안의 경제권을 물려준다는 의미로, 며느리에게 고팡의 열쇠를 건네주는 행위.

21

종지윷

간장종지 속에 작은 윷을 놓고 흔들어 멍석에 던져 승부를 가리며 즐기는 제주도 윷놀이.

22

모둠벌초

문중벌초. 음력 8월초하루 자손들이 모여들어 함께 선산의 벌초를 하며 혈연인식을 다짐하고 결속시키는 풍속. 벌초방학이 있는 곳은 제주도뿐.

23

해녀

전세계적으로 제주도를 비롯한 한반도 연안부와 일본에만 존재하는 여성나잠업자.

24

원(垣)

돌을 쌓아서 고기를 잡는 어법으로 ‘원담’, ‘갯담’이라고도 함.

25

테우

제주의 전통배로 미역이나, 감태 등 해초작업을 할 때 사용, 한라산의 구상나무를 해다가 12개의 통나무를 이용한 원시배.

26

이어도

제주민들의 이상향이며, 현실적 고난을 극복한 낙원이며, 유토피아

27

소금빌레

돌암반을 이용하여 소금을 만들던 곳으로, 애월읍 구엄리 돌소금밭이 전국적으로 유일함.

28

포구

배를 매어 두는 장소이며, 외부문화를 수용하고 다시 자신들의 희망을 실어 나르는 곳.

<좌용철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