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말 풍력 38차례-태양광 13차례 출력제한...태양광 LVRT 기능 역부족 ‘역송 일시 중단’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과잉공급으로 인한 출력제한 조치가 잇따르고 있다. 대규모 정전 우려 속에 지난해 처음 성공한 전력 역송도 전면 중단됐다.

9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 말까지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등의 영향으로 풍력발전은 38차례, 태양광발전은 13차례에 걸쳐 출력제한이 이뤄졌다.

재생에너지에 대한 출력 제어는 2015년 3회(152MWh)에서 2020년에는 77회(1만9449MWh)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전력 역송 조치에 따라 64차례(1만2000MWh)로 다소 줄었다.

2020년 출력제한으로 발생한 손실은 34억원 가량이다. 2030년 재생에너지 100% 전환까지 출력제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1500억원(출력제어 878GWh)의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국전력공사와 전력거래소는 잉여 전력을 처리하기 위해 지난해 4월 제주변환소와 전남 해남변환소를 잇는 제1연계선 해저케이블(HVDC)에 70MWh의 전력을 처음 역송하는데 성공했다.

반면 태양광발전 증가에 따른 전력계통의 안정성 문제가 불거지면 올해 3월부터 전력 역송 조치를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도내 태양광발전의 경우 상당수가 LVRT(Low Voltage Ride Through) 기능을 탑재하지 않아 전력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LVRT는 크레인 접촉 사고 등으로 전압이 떨어지는 단락이 발생할 경우, 순간적으로 낮아진 전압을 끌어 올려 전력망의 회복력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풍력발전과 달리 대다수 태양광발전은 LVRT 기능을 탑재하지 않아 단락사고 발생시 대규모 정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 지난해 1월 도내 송전선에 낙뢰가 떨어져 저전압으로 일대 풍력터빈 90MW 가량이 멈췄다. 8월에는 크레인이 송전선을 건드려 도내 태양광 시설 절반의 발전이 중단되기도 했다.

제주에서 역송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이 같은 재생에너지 전력 집단이탈 사고가 발생하면 전력계통 부하로 대규모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주도는 국비지원 사업을 통해 태양광발전 시설에 LVRT 기능 탑재를 독려하고 있다. 전력거래소는 도내 태양광 시설의 2/3 이상이 LVRT를 탑재하면 역송을 재개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