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규의 film·筆·feel] (13) 고사리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양동규. 그의 예술은 ‘학살로서의 4.3’을 살피는 일에서 출발했다. 카메라를 든 그의 시선은 늘 제주 땅과 사람에 고정돼있다. 그러나 섬의 항쟁과 학살이라는 특수성의 조명은 결국 한반도와 동아시아, 더 나아가 세계평화라는 보편성으로 확장하기 위한 평화예술의 길임을 누구보다 잘 아는 실천적 작가다. 매주 한차례 [양동규의 필·필·필 film·筆·feel]을 통해 행동주의 예술가로서의 그만의 시각언어와 서사를 만날 수 있다. / 편집자 글

태 ᄉᆞᆫ 땅 (부분), 2017 / ⓒ2022. 양동규.
태 ᄉᆞᆫ 땅 (부분), 2017 / ⓒ2022. 양동규.

태 ᄉᆞᆫ 땅으로 가는 포털

곶자왈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고사리다. 이른 아침 작정하고 나선 산책길에서 만났다.
이 시기의 아침은 부드럽다. 막 떠오른 해가 뿌려낸 빛은 옅은 안개 사이로 은은하게 떨어진다. 이 시기는 새로 돋아나 펼쳐진 연둣빛 순이 점점 짙어지는 시점이다. 검은 돌과 검은 흙 위에 펼쳐져 있어 그런지 더 도드라져 보이는 연둣빛 고사리였다.

카메라에 담아온 고사리를 사진 편집 프로그램으로 불러와 찬찬히 들여다보며 현상을 진행한다. 이른 아침의 빛이어서 그런지 차분하다. 노출을 좀 더 줄여 배경을 어둡게 만들었다. 밝은 부분은 더 밝게 올렸다. 연두색 잎이 더 밝아진다. 초록을 제외한 나머지 색의 채도는 조금 낮췄다. 흔한 고사리가 조금은 특별한 무언가로 바뀌어가는 느낌이다. 다시 찬찬히 살피면서 어디론가 흘러 들어가는 분위기를 만들어간다. 그렇게 현상을 하다 마지막에 시선이 머문 곳이 태 ᄉᆞᆫ 땅으로 이끄는 포털이다.

“땅의 기억을 알았던 제주 사람들에게 ‘태 사른 땅’은 ‘나’라는 인간의 시작이자 총체”(김동현)였다. 저 포털을 통하면 땅이 기억하는 또 다른 제주로 갈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나라는 인간의 시작점 이전의 시간으로 갈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땅이 기억하고 있는 어느 시간대로 이어질지도 모르겠다. 아니면 미래의 땅이 가지고 있는 기억을 연결해 줄지도 모르겠다.

저 포털을 통하면 마치 어느 판타지 영화에서 이야기하는 멀티버스의 세계 속으로 안내해 줄지도 모르겠다.

#양동규

제주에서 나고 자랐다. 20대에 흑백카메라를 들고 제주를 떠돌며 사진을 배우다 시민단체 활동가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골프장 개발문제, 해군기지 건설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접하며 그로 인해 변화되어가는 제주의 본질을 직시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사진과 영상을 기반으로 진행하고 있다. 제주해군기지 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 「섬의 하루」, 「잼다큐 강정-범섬에 부는 바람」 등을 연출, 제작했다. 개인전 「터」(2021), 「양동규 기획 초대전 섬, 썸」을 개최했고 작품집 「제주시점」(도서출판 각)을 출판했다. 제주민예총 회원으로 「4.3예술제」를 기획·진행했고 탐라미술인협회 회원으로 2012년부터 「4.3미술제」에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