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현장] 제주도 보훈청, 4.3단체 설치한 박진경 역사 감옥 철거 20일 행정대집행

제주도 보훈청이 제주4.3 주범 박진경 추도비에 설치된 역사의 감옥을 철거하는 행정대집행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제주도 보훈청이 제주4.3 주범 박진경 추도비에 설치된 역사의 감옥을 철거하는 행정대집행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제주4.3 당시 양민에 대해서까지 무차별적 진압을 지휘했던 박진경(1918~1948) 대령 추모비에 4.3단체 등 시민사회가 설치한 역사의 감옥이 ‘제주도 보훈청’에 의해 철거됐다. 

보훈청은 20일 오후 2시 행정대집행을 통해 제주시 한울누리공원 인근에 설치된 박진경 추도비에 제주4.3기념사업회 등이 올해 3월10일 설치한 일명 ‘역사의 감옥’을 철거했다. 

행정대집행에 앞서 4.3기념사업위는 박진경 추도비 바로 앞에서 집회를 갖고 피켓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4.3 학살의 주범인 박진경을 추도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장에는 4.3의 역사를 부정하는 극우 성향의 피켓 시위도 진행됐다. 이들은 제주4.3을 폭동이자 반란이라고 주장했다. 

오후 2시부터 보훈청의 본격적인 행정대집행이 시작되자 4.3기념사업위는 “보훈청이 제주4.3 학살범 박진경을 추도하는 것이 맞느냐”며 항의하기도 했다. 

제주4.3의 역사를 부정하는 극우성향의 피켓 시위. ⓒ제주의소리
제주4.3의 역사를 부정하는 극우성향의 피켓 시위. ⓒ제주의소리
한 노인이 역사의 감옥 행정대집행 도중 박진경은 학살범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한 노인이 역사의 감옥 행정대집행 도중 박진경은 학살범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이에 4.3을 폭동이라 주장한 어떤 참가자는 “박진경은 학살범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4.3기념사업위는 “4.3 당시 박진경 주도 아래 수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됐다. 학살범이 맞다”며 반박했다. 

행정대집행에 따른 몸싸움 등은 벌어지지 않으면서 행정대집행은 15여분만에 끝났다. 

4.3시민단체가 설치한 역사의 감옥에 가둬졌던 박진경 추도비는 투옥(?) 두달여만에 제주도 보훈청의 도움으로 감옥을 벗어난 셈이다. 

행정대집행이 끝나자 4.3기념사업위는 박진경 추도비 앞에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내용의 현수막을 내걸었다. 

4.3기념사업위 측은 앞으로도 4.3 학살의 주범 박진경을 단죄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역사의 진실을 알려 나가겠다고 밝혔다. 

역사의 감옥이 철거된 박진경 추도비. ⓒ제주의소리
역사의 감옥이 철거된 박진경 추도비. ⓒ제주의소리

일본군 소위 출신인 박진경은 4.3당시 초토화 작전을 거부했다가 미 군정에 의해 해임된 김익렬 중령의 후임으로 제주에 왔다. 

연대장으로 부임할 당시 박진경은 “우리나라 독립을 방해하는 제주도 폭동 사건을 진압하기 위해서는 제주도민 30만 명을 희생시키더라도 무방하다”고 발언하는 등 제주4.3 학살 주범으로 평가받는다.

박진경은 제주로 부임한 지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대령으로 진급했다. 6주간에 걸쳐 4000여 명에 달하는 도민을 체포하는 무자비한 진압 작전을 펼친 점이 그의 공로가 됐다. 

무고한 도민들을 탄압하던 그는 1948년 6월 18일 대령 진급 축하연을 마치고 숙소에서 잠을 자던 중 부하들에게 암살됐다.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는 박진경에 대해 “중산간 마을을 누비고 다니면서 불과 한 달 사이에 수천 명의 ‘포로’를 양산해낸 박진경 연대장의 작전은 주민들을 더욱 산으로 도망치게 했고, 자신은 암살당함으로써 사태 해결에 도움을 주기는커녕 더욱 악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1952년 11월 ‘제주도민 및 군경원호회 일동’ 명의로 제주시 관덕정 경찰국 청사에 세워진 박진경 추도비는 이후 제주시 노형동 충혼묘지로 이설됐다. 충혼묘지 일대에 국립제주호국원이 설치되면서 보훈청은 박진경 추도비를 한울누리공원 인근 도로변으로 옮겼다.

행정대집행이 종료된 이후 4.3기념사업위가 박진경 추도비 앞에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현수막을 설치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행정대집행이 종료된 이후 4.3기념사업위가 박진경 추도비 앞에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현수막을 설치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