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자 문화 예술 공약...제주목관아 규모 확대, 장기 거주 창작 스튜디오 등 추진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민선 8기 오영훈 제주도정에서는 제주문화예술재단 역할과 규모가 커질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제주목관아 부지도 넓어지면서 한결 달라진 면모를 갖출 것으로 보인다. [제주의소리]는 오영훈 당선자가 후보 시절 제시한 문화 예술 공약을 상세히 소개해본다. 

# 제주문화예술재단 강화 

오영훈 당선자의 문화 예술 공약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제주문화예술재단 역할이다. 예술인복지지원센터 설치, 문화정책연구소 설립이라는 다른 공약을 모두 재단이 담당한다고 제시했기 때문이다. 

재단 산하 예술인복지지원센터는 이미 문화예술재단이 진행하는 복지 사업을 포함해 관련 업무를 통합·관리할 방침이다.

앞으로 예술인복지지원센터는 예술인 특례 보증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지역 예술인들을 위한 창작준비금과 창작융자 지원을 담당한다. 뿐만 아니라, 연습실·작업실·사무실 같은 창작 공간에 대한 임대료를 지원하고, 예술인 생활·주거 안정 지원까지 확대한다.

문화정책연구소는 위탁 사업을 지양하고, 창의적인 사업 제안을 발굴한다는 취지다. 단계적으로 박사급·석사급 전문가를 채용하고, 손발을 맞출 임기제 전문 계약직도 갖춘다. 임기 1년 차에 예산·정원 등 추진 준비를 마무리한 뒤, 2년 차에 재단 부설 연구소로 출범한다는 로드맵까지 그렸다.

이 같은 공약 면면을 고려하면 제주문화예술재단의 역할, 규모, 예산 등은 현재보다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향후 오영훈 도지사가 임명할 신임 재단 이사장에도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 제주목관아, 현재보다 넓어지나

오영훈 당선자는 제주목관아 공약을 ‘2차 복원’이라고 제시했다. 현재는 미완의 복원 상태인 만큼, 완성도를 높여 전통 경관을 회복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공약의 방향은 현재 목관아 부지 안에 있는 우체국 건물과 노인대학 건물을 이전하고, 해당 부지에 발굴 작업을 진행한다. 그리고 탐라시대부터 존재했다는 성주청 건물을 재현하고, 소장유물전시관과 역사문화교육센터도 추가 조성한다.

임기 1년차에는 복원 사업 계획과 수립 예산을 세우고 이전 절차를 수립하는 동시에 이전 협의 과정에 착수한다. 2년차에서 3년차까지 철거·발굴 작업에 집중한다. 그리고 마지막 임기에 성주청을 복원하고 소장유물전시관·역사문화교육센터를 조성한다.

# 청년예술인 육성 지원

청년예술인을 위한 정책적 지원도 보다 강화될 전망이다. 특히 주거 문제에 있어 다양한 활로를 열어주겠다는 복안이다.

오영훈 당선자는 청년예술인들을 위한 ‘창작주거복합형 공공창작 스튜디오’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이 스튜디오는 청년예술인들이 거주하면서 창작에 몰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최소 5년에서 10년까지 장기 입주를 보장한다. 안정적인 거주 환경을 보장하며 자유로운 창작을 뒷받침하는 셈이다.

덧붙여 제주도가 추진하는 공공임대주택에 청년예술가 입주 쿼터 제도를 신설하는 방안도 제시한 상태다. 금융 대출 지원, 안전망 교육 등 다각적인 지원도 더해진다.

# 문화재 활용 폭 넓힌다

제주도 지정 문화재 보호구역 내 민간인 소유 토지를 매입해 주민 재산권을 보장한다. 임기 1년차에 매입 계획을 세우고 2년차부터 매입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제주성·대정성·정의성을 비롯해 고려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14개 현촌 등 오래된 마을의 옛길을 순차적으로 보존한다. 

살아있는 근현대 역사 박물관으로 평가받는 알뜨르비행장의 격납고 유적을 적극 활용하면서 ‘알뜨르평화예술제’를 개최한다. 제주 한옥·돌담 쌓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문화재 돌봄 사업을 비지정문화재까지 확대한다.

여기에 민선 7기 때도 진행된 제주학연구센터의 출자·출연기관 독립을 이어 받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나아가 제주학 관련 연구자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제주학 전공자를 관련 분야 채용에 특별히 배정하는 등 제주학 인재 양성 사업까지 확대한다. 다년 간의 연구비 지원 제도 역시 도입하며 연구 환경을 개선한다.

이 밖에 선거 과정에서 타 후보들이 제시한 ▲제주예술인회관 조성 ▲공공공연장 통합 관리 체계 ▲순수 문화·예술 예산 확대 ▲정산 서류 최소화 ▲아티스트 피 기준 제도화 ▲기획비 기준 마련 ▲문화 공공기관 내 비정규직, 정규직으로 전환 ▲구성원 폭 넓힌 문화예술협의체 운영 같은 공약들도 충분히 반영할 만 하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