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포럼, “반란이란 표현은 기존 교과서에도 기술”

제주4.3을 ‘좌파세력의 반란’이라고 표현해 물의를 빚고 있는 ‘대안교과서 한국근현대사’가 제주4.3 기술 내용 중 <제주의소리>가 지적한 ‘국토완정론’의 오류를 인정하고 사과했다. 또 4.3 전체를 ‘좌파들의 반란’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자신들이 다른 교과서들보다 균형 잡힌 시각에서 썼다며 ‘국토완정론’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수정할 뜻이 없음을 밝혔다.

‘교과서포럼’ 일원으로 ‘대안교과서 한국근현대사’ 중 문제의 제주4.3 관련 부분을 집필한 김일영 성균관대(정치외교학 전공) 교수는 7일 <제주의소리>에 보낸 이메일과 전화통화에서 제주4.3과 북한 김일성의 국토완정론을 연결시킨 것은 ‘명백한 오류였다’고 시인했다.

▲ 뉴라이트 계열에서 새로운 근현대사 교과서를 펴내면서 제주4.3을 '남로당이 줌심이 된 좌파세력의 반란'이라고 기술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제주의소리
김 교수는 “제주4.3을 국토완정론의 일환으로 해석한 것은 명백한 오류였기에 책의 3월28일 경부터 배포된 2쇄부터는 국토완정론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제주4.3사건’을 삭제했다”며 “어쨌든 1쇄의 오류에 대해서는 사과한다”고 말했다.

‘국토완정론(國土完整論’)은 북한의 김일성이 북한정부를 수립 한 후 남한의 이승만 정부를 무너뜨리기 위해 ‘북한에 먼저 민주적인 정권을 수립하고, 그것을 민주기지로 삼아 남한을 미국의 지배에서 해방시켜 국토를 완정 하겠다’는 것으로, 김일성이 국토완정론을 주창한 것은 북한정권이 수립된 1948년 9월 9일 이후 였다. 하지만 ‘교과서포럼’은 “제주4.3사건, 여수순천의 국군 제14연대 반란, 빨치산 활동 등은 이 노선에 따라 일어난 것 이었다”고 명시해 제주4.3이 북한 김일성의 ‘국토완정론’의 사주를 받은 것으로 묘사했다.

<제주의소리>는 이에 대해 제주4,3이 발발한 시점은 김일성이 국토완정론을 주창하기 6개월 이전인 1948년 4월 3일로, ‘제주4.3=국토완정론’은 시간상으로도 도저히 성립할 수 없는 명백한 오류임을 지적했다.

김일영 교수는 그러나 ‘한국근현대사’에 표기된 나머지 제주4.3과 관련된 부분은 수정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제주의소리>에 보내온 ‘대안교과서 한국근현사사의 제주4.3사건 기술을 둘러싼 논란에 대한 교과서포럼의 입장’이란 자료를 통해 “‘제주 4·3사건’은 제주도의 남로당 조직이 일으킨 무장반란이었으며, 그것의 발발 배경과 진압과정에 서북청년단과 경찰, 그리고 군대가 무리를 범했음을 명백히 그리고 균형 있게 기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과서포럼’은 또 “시중에 나와 있는 검인정 교과서 6종이 ‘제주4.3사건’을 기술한 것보다도 더 균형 잡힌 시각에서 썼으며, 기존 교과서가 더 부정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내용도 있다”며 말했다.

‘교과서포럼’측은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까지 지속된 제주4.3사건이 우리 현대사에서 되풀이 되어서는 안 될 매우 비극적인 사건이었으며, 이 와중에 무고하게 희생당한 많은 분(의 후손)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김일영 교수는 7일 <제주의소리>와 통화에서 “4.3의 전 기간을 반란으로 보는 것은 아니다”라고 추가로 해명했다.

  다음은 김일영 교수와 통화내용.

- 국토완정론은 명백한 오류임을 인정했는데.

“전혀 의도치 않은 실수이자 명백한 오류다. 2쇄에서는 국토완정론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제주4.3사건’은 제외시켰다.”

  - ‘국토완정론’은 삭제했다고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여전히 ‘좌파들의 반란’이란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48년 4월 3일 무장봉기에 대해서는 그런 시각이 있을 수 있지만 1947년 3.1발포사건부터 1954년까지 7년7개월을 전 기간을 ‘반란’이라고 표현하는 게 과연 적절한 해석인가?

“소제목에서 ‘좌파들의 반란’이라고 표현했다. 여기에는 제주4.3사건뿐만 아니라, 여수사건과 이후 빨치산사건까지 포함해서 그런 표현을 쓴 것이다. 우리도 7년여에 걸친 4.3 전 기간을 ‘반란’으로 보지 않는다. 다만 교과서란 게 한정된 지면에서 압축적으로 표현하다보니 그렇게 됐다. 우리는 가급적 최대한 균형을 잡으려 했다.”

- 4.3이 워낙 민감한 문제이고, 또 제목을 ‘좌파들의 반란’이라고 뽑다보니 일부 언론들이 ‘제주4.3은 좌파들의 반란’이라고 쓰고 있다. 또 일부 극우단체들의 준동까지 보면서 제주도민들은 불만이 많다.

“그럴 수 있을 것이다. 일부 보수단체에서도 최근에 신문에 광고도 내고 하는데, 우리와 광고 낸 것 것과 똑같은 연장선상에서 보지 말아 달라. 우리는 그들이 누구인 줄도 모른다.”

- 교과서는 말 그대로 자라나는 청소년들을 가르치는 자료다. 특히 4.3처럼 매우 민감한 사안은 더욱 더 조심해야 한다고 본다. 교과서 지면의 한계도 있다고 하지만 이에 대한 민감성을 충분히 감안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4.3에 대한 도민들의 민감한 반응을 이해한다. 교과서란 게 양이 한정돼 있다 보니 4.3사건이라는 것을 어느 정도 비중으로 다룰 것이냐를 봤다. 6종 교과서를 보면 할애할 수 있는 양이 뻔하다. 이 때문에 따로 박스처리해서 균형 잡히 게 처리하려고 했다.” <제주의소리>

<이재홍 기자/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