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 1400억 유치방안 검토 발표…한라산 훼손·1100도로 전면통제 진통 예고

제주도가 한라산 1100도로 모노레일카 추진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이미 한라산 환경·생태전문가들이 모노레일카 설치에 부정적 견해를 표하고, 경제적 타당성 논란이 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모노레일카 설치를 제주도의 도정과제로 삼겠다고 밝혀 한라산 케이블카 논쟁이 이제는 모노레일카 논쟁으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는 한라산 1100도로 일대 자연환경은 아름다운 독특한 경관을 보여주고 있고 겨울철 설경은 매우 뛰어난 관광상품 가치를 지니고 있어 민자를 유치해 기존 도로를 활용한 모노레일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17일 밝혔다.

제주도가 구상하는 사업계획은 지난해 11월 한국모노레일(주)가 제안한 사업계획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한국모노레일(주)가 제안한 사업계획은 1100도로 어승생악~1100고지~거린사슴까지 16km의 본선을 중심으로 영실입구~영실휴게소를 연결하는 5.1km의 영실지선, 어리목입구~어리목매표소까지 1.2km를 잇는 어리목지선에 복선(왕복) 레일을 설치하고 40인승(지선)과 90인승(본선) 모노레일카를 투입하며, 사업비는 142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모노레일(주)은 탑승료는 어른 3만원, 어린이 2만원으로 책정하면 9년 3개월이면 투자비 회수가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제주도는 올 상반기에 모노레일카가 설치된 국내외 사례를 조사 검토하고, 모노레일카 설치 검토와 추진을 전담할 추진전담반 및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서는 모노레일카의 환경성과 경제성, 안전성 등을 검토한 후 설치 필요성이 인정될 경우 올 하반기에 환경부 등 중앙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타당성 용역을 실시하겠다고 설명했다.

제주도가 지금까지 내부적으로 검토단계에 머물러 왔던 모노레일카 설치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이날 공식적으로 밝힘에 따라 환경단체들과 또 한 번의 마찰이 예상된다.

제주도는 모노레일카 설치에 따른 환경성과 경제성, 안정성 검토 등을 위해 환경과 교통, 생태분야 전문가들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미 한라산 생태·식물가들은 모노레일카 설치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부설 한라산연구소가 지난해 12월 연구소 자문위원회에서 1100도로 모노레일카 설치계획을 상정한 결과 대부분의 자문위원들은 반대의 뜻을 밝혔다.

이날 참석했던 자문위원들은 겨울철 한 때를 겨냥한 모노레일카 사업에 수익성이 문제가 되며,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될 예정인 한라산에 인공적 시설은 가급적 배제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또 일부 위원은 “모노레일카는 실패하면 돈 몇 푼 버린다고 생각해 뜯어버릴 수 있는 게 아니라 잘못하면 애물단지가 될 수 있으며 자칫 장사가 안 될 경우 손해를 줄이기 위해 한라산에 스키장을 만들겠다는 후속조치가 뒤따를 위험성도 있다”며 부정적 견해를 내 놓은 바 있어 또 한 차례의 진통이 예상된다.

이날 환경전문가들의 지적과 함께 민자로 추진되는 모노레일카 사업 수익성을 위해 1100도로를 통제하는 게 바람직하냐는 논란도 일 전망이다.

한국모노레일(주)은 모노레일카 사업 수익성을 맞추기 위해 1100도로의 차량이용을 완전 통제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모노레일카를 이용하지 않고서는 앞으로 어리목과 영실접근이 불가능하게 된다.

제주도는 1100도로가 5.16도로와는 달리 일반인들의 교통이용이 없이, 대부분 관광도로라고 밝히고 있으나 실제로 모노레일카 사업을 위해 1100도로를 전면 통제할 경우 상당한 반발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것은 쉽게 예상된다.

또 한라산 등반을 위해 모노레일카를 이용하고, 성인 1인당 3만원, 어린이는 2만원의 이용료를 내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사업인지도 극히 회의적이다.

제주도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노레일카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한라산을 등반할 수 있는 또 다른 대체 등반로를 만들 수 있도록 밝히고 있으나 그렇지 않아도 한라산에 연간 70만명의 등산객이 몰리면서 등산로 훼손이 극심한 상황에서 또 다른 대체 등산로를 만들 경우 한라산 훼손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논란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