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창립 사회갈등포럼 ‘강정마을 갈등사례’ 주목…‘해법 찾기’
‘강정마을공동체 회복포럼’구성 제안…“해군·道 역할 가장중요”

▲ ⓒ제주의소리/사회갈등연구소 제공
제주해군기지 건설 찬·반을 떠나 강정마을 공동체가 붕괴 위기로 치닫고 있지만 정부와 제주도정은 뚜렷한 갈등해결 프로그램 없이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객관성·공정성·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외부인사로 ‘강정마을 갈등 해결과 공동체 회복을 위한 포럼’을 구성, 공동체 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해군기지 건설에 따른 강정마을 공동체 붕괴 우려에 대해 제주사회가 아닌 전국의 갈등전문가들이 주목하기 시작했다.

▲ ⓒ제주의소리/사회갈등연구소 제공
한국사회에 만연한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시대의 양심’인 함세웅 신부를 비롯해 황상익 서울대 교수, 신철영 前국민고충처리위원장, 박태순 사회갈등연구소장 등 시민사회 인사, 전문연구자, 공공기관 담당자 등 300여명이 참여하는 사회갈등포럼이 5일 창립했다. 이날 오후 2시부터 창립대회를 기념해 열린 첫 번째 토론회 주제가 바로 ‘제주해군기지 건설 사업으로 발생한 서귀포 강정마을 갈등 현황과 공동체 회복방안’이다.

이날 토론회에는 강정마을주민을 비롯해 시민사회진영, 서귀포시 관계자, 부안방폐장 관련 인사, 갈등전문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해군기지 건설로 인한 강정마을의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평화적으로 마을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 박태순 소장.ⓒ제주의소리/사회갈등연구소 제공
이날 토론회에서 박태순 사회갈등연구소장은 “해군기지 추진으로 제주사회는 찬반으로 인한 심각한 갈등을 갖고 있고, 특히 강정마을은 내부 갈등으로 지역이 분열된 상태”라며 “이번 갈등이 강정마을의 장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마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소장은 이어 “중앙정부를 비롯한 제주도는 ‘해군기지는 이미 결정된 문제이어서 보상 문제나 지역개발사업에 진행되면 나아질 것’이라는 너무 낙관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고, ‘도민의 대의기관’인 제주도의회도 마땅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특히 정부와 제주도정은 갈등의 한 이해당사자로 인식되면서 주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있다”고 꼬집었다.

박 소장은 또 “제주와 유사한 부안 방폐장 및 한탄강 댐 건설 갈등의 경우, 갈등에 대한 방치는 공동체 붕괴로 연결된 바 있어 이 같은 갈등사례가 재연되지 않기 위해서는 마을공동체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면서 “하지만 제주지역 상당수 집단은 해군기지 찬반에 연관돼있어 내부적으로 갈등을 조정하고 공동체 회복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집단을 찾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소장은 “신뢰할 수 있는 외부 인사 9~11명 정도로 ‘강정마을 갈등 해결과 공동체 회복을 위한 포럼’을 구성하고 객관성·신뢰성이 담보된 내부인사를 추가로 포함시키는 방안을 적극 고려해야 해야 할 것”며 “포럼이 중심이 돼 찬·반 주민간 신뢰회복 공간을 위한 공간을 창출하는 등 조정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 소장은 포럼의 역할로 크게 △주민과의 직접 면담을 통한 갈등실태 파악 △단기적으로는 갈등 심화를 막기 위한 갈등저감대안 제시 △장기적으로는 갈등으로 인한 상처치유와 마을공동체 회복을 위한 대안 제시 등 3가지를 꼽았다.

특히 박 소장은 지금까지 ‘시간이 약’이라는 생각으로 갈등해결 노력에 사실상 ‘뒷짐’을 진 제주도와 해군의 적극적인 노력을 주문했다. <제주의소리>

<좌용철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