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예종 윤민용씨 석사논문 '탐라순력도 연구'

"탐라순력도는 중앙화단과는 차별화돼 있고, 양식적으로도 개성적 표현이 두드러진다"

경향신문 윤민용 기자가 탐라순력도를 미술사적으로 조명해 논문을 썼다. 역사적 자료로써의 가치는 높이 평가 받지만 ‘그림’으로 접근한 경우는 드물어 눈길을 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석사학위 논문인 ‘탐라순력도 연구’에서 윤 기자는 “제작 300년이 지났지만 지방 기록화라는 이유로 학계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겨져 상세한 분석.해석은 물론 성격.제작배경 등에 관한 규명은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라고 했다.

탐라순력도는 조선 숙종 때 제주 목사로 내려온 이형상이 1702년부터 1703년 사이에 제주 곳곳을 시찰한 과정을 그린 화첩이다. 모두 41개면과 서문 2개면 등 모두 43개면으로 돼 있다. 조선시대 후기 관아와 군사, 건물 외형, 지형 등의 내용이 풍부하게 담겼다. 보물 652-6호이다.

논문은 탐라순력도 각 장면을 미술사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당시 지방관의 회화제작과 기록 관행, 의의 등을 전반적으로 살폈다.

윤 기자는 “이렇다 할 준법이 사용되지 않고 채색과 선묘로 경물.경관을 표현했으며, 평면적이고 과장된 측면이 강하다”며 “이는 서양화법까지 받아들일 정도의 중앙화단과는 차별화되고, 양식적으로도 개성적 표현이 두드러진다”고 했다.

사대부 관료인 이형상의 주문에 의해 제작된 화첩은 서민에 대한 묘사가 철저히 배제됐고 자신의 치적을 강조하는 공적행사가 위주라고도 분석했다.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한 기록화이자 지역의 개성적 조형의식이 반영된 시각기록물”이라고 했다.

윤 기자는 <제주의소리>와 통화에서 "제주도에 관심이 많던 차, 2005년 여름 국립제주박물관을 관람하던 중 탐라순력도의 존재를 알게 됐다. 조형성이라든가 현재 실재하는 제주의 경승지를 배경으로 제작한 화첩이라는 점이 눈길을 끌었다. 그때 사들고 온 영인본을 들여다볼수록 회화사 관점 뿐 아니라 문화사적으로도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어서 호기심을 자극했다. 회화사의 관점에서는 화격이 떨어지기는 하나 다양한 내용과 복합적인 형식에 끌려  이를 연구주제로 삼게 되었다"고 논문의 계기를 설명했다.

윤 기자는 “이형상이란 사람이 초기 실학자여서 다방면에 관심사가 퍼져있다. 기자로 일하다 보니 관심사가 그의 잡학다식과 겹쳐있었다. 호기심으로 작업했다”고 했다.

아쉬운 점도 있다. 제작자 이형상에 대한 정보는 넘치는 반면 탐라순력도를 그린 화공 김남길과 관련한자료는 거의 전무했다. “김남길의 정체, 신원을 어떻게 설정하고 쓸 지 고민이 많았다. 제주도 출신의 화가라고 전제를 하고 논의를 풀어갔다. 관련사료가 없어 그의 신원을 토착화사로 가정한 채 논의를 진행한 점 등이 논문의 한계”라고 밝혔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