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근민 제주지사, 3일 스마트그리드 추진위서 ‘기회론’ 역설
“조례제정 시급” “로컬기업 중심정책 필요” 등 의견 ‘봇물’

▲ 우근민 지사가 11일 열린 스마트그리드 추진위원회에서 '거점도시' 제주유치 의지를 또한번 피력했다.  우 지사는 "기회가 왔을때 놓쳐선 안된다"는 말로 적극적인 유치 노력에 범도민적 역량결집 필요성을 역설했다. ⓒ제주의소리

우근민 제주도지사가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거점도시 제주유치 당위성을 또 한 번 역설했다. 최근 도 간부회의 등 여러 차례 공식석상에서 제주유치 필요성과 제주도의 소극적 유치노력 등을 질타했던 우 지사가 이번엔 아예 “제주도가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를 유치하지 못하면 정말 창피스런 일”이라고 배수진(?)을 쳤다.

우근민 지사는 11일 오후3시 제주도청 4층 대강당에서 민.산.학.관 추진위원 20여명이 참석해 열린 스마트그리드 관련 추진위원회 회의에서 이같이 주문하고,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 제주유치에 온 힘을 모아줄 것을 적극 당부했다.

이날 우 지사는 추진위원회의에 참석, 인사말에서 “살아가면서 기회를 잡으려고 아무리 발버둥 쳐도 기회가 오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전제, “그러나 기회가 왔는데도 그 기회를 놓쳐버린다면 그건 참으로 억울한 일”이라며,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제주유치 성과가 거점도시 유치 성과로 반드시 이어져야 함을 역설했다.

이어 우 지사는 “예전에는 제주도가 참 작고 왜소해서 일 하는데 매우 힘이 들었던 적이 많았다”며 “그러나 세상은 돌고 돌아, 지금은 소위 ‘웰빙시대’를 맞아 제주도의 시대가 된 것 같다. 제주도는 녹색성장, 친환경 등의 모든 좋은 조건을 잘 갖추고 있어 최근 세계지질공원 인증으로 유네스코 자연과학부문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기도 했다. 기회는 바로 지금”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끝으로 우 지사는 “6년만에 다시 도지사로 돌아와 보니 그전과 대부분 대동소이한데, ‘녹색성장’이나 ‘스마트그리드’ 같은 것들이 예정과 다른 신선한 정책들이었다”면서 “스마트그리드가 광역경제권산업으로서 제주도를 먹여 살리는 시대가 올 수 있도록 추진위원회가 열린 생각으로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 유치에 중지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 11일 열린 스마트그리드 추진위원회에서 위원들은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 유치를 위해 공동노력할 것에 한 목소리를 냈다.  ⓒ제주의소리

# 우 지사, "스마트 그리드가 제주도 먹여살릴 시대 와야"

이날 스마트그리드 관련 추진위원회의 역할이란 발표를 맡은 박경린 제주대교수(스마트그리드 연구센터)는 현재 스마트그리드 관련 △범도민지원위원회 △거점지구유치추진위원회 △전문가 간담회 등으로 3원화된 기구를 ▲제주스마트그리드추진위원회(가칭)와 ▲소수의 실무자 회의를 병행 운영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동안 관련 기구가 분산됨으로써 각계의 다양한 의견수렴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심도있는 논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서 2개의 위원회를 통합운영하고, 소수의 실무자 회의를 병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운영하자는 제안이다.

그러나 제주도는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 제주유치를 위해선 범도민적 유치인식이 확산돼야 하고, 실질적인 유치활동을 위한 다양한 기구가 필요한 점 등을 들어 기존 범도민지원위, 거점지구 유치추진위, 전문가 간담회 등을 존속하면서 도외 인사를 포함하는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유치 자문위원단을 추가 구성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기구 분산에 따른 의견 결정은 각 기구가 참여하는 실무위원회를 구성해 보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민간기업 추진위원으로 참여한 김대환 대경엔지니어링 대표는 “현재의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가 로컬기업들이 아닌 대기업 위주의 실증단지가 되고 있는데 제주의 미래산업 육성 취지에서라도 로컬기업들도 중심에 설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또한 도시형 스마트그리드 비즈니스 모델을 완성하기 위해선 현재의 구좌지역 실증단지에서 도시지역으로 실증단지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특히 “세계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2012년 세계자연보전총회 제주개최를 앞두고, 제주도를 스마트그리드 산업과 연계한 ‘카본 프리 아일랜드(Carbon Free Island, 탄소배출 없는 섬)’로 선언하는 상징적 행위가 필요하다”고 적극 주장하기도 했다.

▲ 우근민 지사가 이날 스마트그리드 범도민지원위원회 및 거점지구 유치추진위원 등 민관산학 위원들에게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 범도민 공감대 확산 노력을 당부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  "제주를 '카본 프리 아일랜드'로 선언하는 상징 행위 필요" 제안 '눈길'

강승수 서귀포시 부시장도 “현재 서귀포 대정읍 가파도에선 마이크로그리드 시범단지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관심이 부족한 것 같다”며 “2012년 세계자연보전총회를 앞두고 국내외 사람들에게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부탁했다.

이어 김인환 제주지식산업진흥원장은 “거점도시 유치 등 스마트그리드 산업육성을 위해선 우선 도의회와 협의를 통한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고 중요하다”며 “조례 제정 등 스마트그리드 사업과 관련한 분명한 타임 스케줄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공영민 제주도 지식경제국장은 “현재의 제주도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가 구좌읍이라는 농어촌 지역에 있어 도시형 스마트그리드사업의 비즈니스 모델이 되기에 한계가 있어 실증단지 대상을 확대해달라는 의견에 충분히 공감한다”며 “지식경제부와 충분히 협의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공 국장은 또 “스마트그리드 관련 조례제정도 매우 중요한 문제로서 의회와 협의해나가겠다”고 답했고, “무엇보다 거점도시 유치가 매우 중요한 만큼 저의 모든 에너지를 스마트그리드에 쏟아 붓고 있다. 다만 ‘실증단지도 됐으니 거점도시도 되겠거니’ 했다간 재주는 누가 부리고 떡은 다른 데서 먹을 수 있으므로 거점도시 유치와 도민 공감대 확산에 모두 노력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한편, 제주도는 11월1일 ‘스마트그리드 데이’ 행사를 추진키로 하고 제주도청에서 구좌읍 실증단지 구간에서 전기자동차, 전기스쿠터, 전기자전거 행렬이 참여하는 퍼레이드를 개최할 예정이다. 특히 G20정상회의 기간인 11월8~14일까지는 제주 성산읍 신양리 보광휘닉스 아일랜드에서 ‘Korea Smart Grid Week’ 행사 등도 열기로 했다. <제주의소리>

<김봉현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