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연구소, 401곳 유적지 조사…9곳 긴급대책 요구

제주전역에 걸쳐 흩어져 있는 4.3유적지에 대한 시급한 보존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4.3 당시 군과 경찰에 의해 불에 타 없어져 버린 마을과 군·경의 학살를 피해 숨어 지내던 은신처와 학살터, 수용소와 희생자 집단묘지 등 4.3유적이 도 전역에 걸쳐 수 백 군데가 있으나 아직도 이에 대한 체계적인 보전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제주4.3연구소(소장 이규배)는 제주도와 함께 도 전역에 산재해 있는 4.3유적지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여, 일차적으로 제주시와 북제주군에 있는 4.3유적지 401곳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보전방안을 담을 조사보고서 '제주 4.3유적Ⅰ'을 발간했다.

이번에 조사된 유적지는 △잃어버린 마을 82곳 △성터 44개소 △은신천 28개소 △희생터 101개소 △은신처 및 희생터 9개소 △수용소 7개소 △토벌대 주둔지 50개소 △희생자 집단묘지 2곳 △비석 25기 △역사현장 45개소 △기타 8곳 등 모두 401곳의 4.3유적지를 조사했다.

연구소는 이중 군경토벌대의 초토화작전으로 마을 자체를 잃어버린 제주시 화북1동 곤홀동과 해안마을소 피신해 있던 주민들이 마을로 돌아와 돌담을 쌓은 △조천읍 선흘리 녹선동성 △애월읍 수산리 예원동성 △애월읍 어음리 머흘왓성 △한림읍 명월상동(고림동)성 △한경면 저지리 수동성을 '중요 유적'으로 분류했다.

또 토벌대를 피해 숨어있던 마을주민들의 은신처인 구좌읍 세와리 다랑쉬굴과 조천읍 선흘리 목시물굴, 그리고 희생터인 조천읍 북촌리 너븐숭이 등 모두 9곳에 대해 심층조사와 함께 긴급한 보전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건의했다.

4.3 연구소는 "제주4.3유적지는 우리의 아픈 역사를 후손들에게 생생해 전달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자 현장 박물관이나, 반세기가 지나도록 유적지나 유물은 그 중요성을 발바로 인식 받지 못한 채 훼손,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이번 4.3유적지 조사 사업은 증언을 해 줄 경험자들이 고령이어서 내일을 기약할 수 없기 때문에 시급을 요하는 사업이었다"고 밝혔다.

4.3연구소의 이번 유족지 전수조사 사업은 2002년12월부터 1년2개월에 걸쳐 이뤄졌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