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 입점과 함께 사라졌던 차부점빵, 집앞에 다시 문 열다

▲ 우리 동네 차부 차부라 부르는 정류소입니다. 저는 여기에서 버스를 타고 서귀포시내로 나갔고 고등학교를 다녔습니다. 참 북적였던 곳입니다. 공중전화가 예전의 영화를 말해줍니다. ⓒ 강충민 동네 정류소
 
가끔 주말에 서귀포 집에 간다. 서귀포 집에는 아버지가 계신다. 찬거리 준비하고 만들어 아버지와 밥상에 같이 앉아 점심을 먹고 돌아오는 것이 주된 일이다(물론 음식은 내가 만든다). 정말 아주 가끔이다. 애들이 조금씩 커 갈수록 이 핑계 저 핑계가 잦다. 그것도 각시가 운전하는 옆자리에 앉아 말동무나 하는 것인데도 서귀포 집 가는 게 무슨 거사 치르는 것같다는 생각부터 든다(자식 키워 놔 봐야 소용없다는 말이 바로 내 말이다).

지난 주말 그런 죄책감이 불현듯 들어서일까, 각시하고 아들, 딸 다 같이 서귀포 집에 갔다. 일요일 아침 불쑥 전화해서 "지금 간다"고 했다. 아버지는 아마 그때부터 설렜을 것이다. 대문 앞을 서성이다 차를 확인하곤 애써 태연한 척 집안에 들어와 계셨을 게 분명하다. 아버지표 파자마 차림이 아닌 것이 그것을 증명한다.

간장 떨어졌는데, 차 타고 가서 사야 한다고?

점심으로 쇠고기 미역국을 끓이는데 에구 간장이 떨어졌다. 달군 참기름에 쇠고기, 미역을 넣고 달달 볶는 것까진 좋았는데 싱크대니, 찬장을 다 뒤져도 간장이 없다. 순간 짜증이 '확' 밀려온다. 오랜만에 온 시댁의 이방, 저방, 마당, 화장실을 종횡무진 활약하며 청소의 진수를 보여주는 각시에게 간장 사오라고 했다가는 빽 소리가 날 것은 분명할 터였다.

그도 그럴 것이 간장을 살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곳은 차를 타고 가야 하는 곳이다. 마을 중심가의 농협에서 운영하는 마트 혹은 서귀포 시내에 있는 마트 이 둘 중의 하나를 가야 한다. 걸어서 후딱 갔다 오기에는 무리가 있는 곳이다. 걸어서 갔다 오다가는 쇠고기미역국 기다리다 배고픔이 극에 달할 것이다. 가뜩이나 배고픈 것 못 참는 우리 가족 아니던가.

우리 마을에도 '점빵'이 꽤 있었다. 알동네, 웃동네, 섣동네, 동동네…. 저마다 동네마다 하나씩 점빵이 있었다. 그리고 차부라 불리던 정류소 앞에는 어김없이 담뱃집을 겸한 '차부점빵'이 있었다. 샘플로 진열한 빈 담배곽이 빛이 바래 본래의 색을 알아차릴 수 없던 그런. 더군다나 우리 집에선 삼분도 채 걸리지 않는 거리에 있어 이용하는데 무척 편했다.

그런데 우리 마을엔 이제 점빵이 하나도 없다. 서귀포에 있는 대형마트에 밀려, 마을 중심가에 있는 농협 하나로마트에 손님을 다 뺏겨 하나 둘 문을 닫더니, 마지막까지 남았던, 우리 동네 차부점빵도 문을 닫았다. 그후 아직까지 주인을 찾지 못했다는 말을 아버지에게서 들었었다.

그러면서 아버지는 이제 사이다 한 병 사 먹을래도 차 몰고 나가야 된다며 무척이나 아쉬워 했었다. 마을 중심가에 농협 하나로마트가 생기던 날, 아버지는 "하나로마트는 아무 마을이나 안 생긴다"며 무척이나 자랑스러워 했었다. 아버진 이 결과를 전혀 예상 못했을까. 그 시절에 고등교육 받았다고 자부심 대단하신 분이 말이다.

엎어지면 코닿을, 차부점빵이 돌아왔다

▲ 돌아온 차부점빵 주인을 찾지 못하다 이제 새로 영업합니다. 편의점이라고 씌여 있지만 정겨운 동네점빵입니다. 부디부디 영업 오래오래 하시고 번창하시길 빕니다. ⓒ 강충민 동네 점빵
 
"아버지 간장 어수다(없어요)."

양팔에 손자, 손녀 사이좋게 팔베게 하고 행복하게 텔레비전을 보는 아버지를 넌지시 떠본다. 애들 과자도 사 줄겸 간장 사오시면 안 되겠냐는 뜻으로 말이다. 물론 아버지 당신차를 손수 운전해서 말이다.

슬쩍 아버지의 눈치를 살피는데 재깍 대답이 돌아온다.

슬쩍 아버지의 눈치를 살피는데 재깍 대답이 돌아온다.
"차부점빵 가보라. 이젠 다른 사름 오랑 점빵 새로 햄쪄."

▲ ▲ 없는게 빼고 다 있는 우리동네 점빵 인테리어도 그전 그대로입니다. 소박하게 진열된 모습이 오히려 더 정겹습니다. ⓒ 강충민 동네점빵
 
서둘러 나가봤다. 간장을 파는 점빵주인은 의외로 젊은 부부다. 참 고맙고 반갑다. 아마 귤농사도 병행하는 듯싶었다. 남편처럼 보이는 남자의 옷차림은 흙 묻은 작업복이다. 방안엔 건강한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텔레비전 소리와 함께 높다. 가게를 기준으로 옆집의, 옆집의 아들이라고 반가운 인사를 건넸다. 가게가 다시 생겨서 너무 좋다고도 덧붙였다. 되돌아오는 웃음과 인사가 밝고 건강하다.

다시 생긴 차부점빵에서 산 간장을 넣고 다시 끓인 미역국과 옥돔을 구워 점심상을 차렸다. 밥상에 앉아 은근슬쩍 아버지에게 얘기했다.

"새로 점빵 허는 사름들, 얼마나 고마우꽈. 경허곡 전이 하나로마트 생기멍 점빵허당 치와분 사름들 미깡도 같이 허난 큰 타격이 아니었주, 그거만 헌 사람들이라시민 바로 질에 나 앉아실거우다."(새로 가게 하는 사람들 고마워요. 그리고 전에 하나로마트 생기면서 가게 그만둔 사람들 귤농사 같이 해서 큰 타격이 없었지. 그게 전업이었다면 바로 길에 나 앉았을 거에요.)
"맞주. 서귀포시내 가도 마트 생기멍 매일시장 점빵덜도 몬 문 덛껌서…."
(맞다. 서귀포 시내에도 마트 때문에 매일시장의 가게들도 전부 문 닫는다.)

하나로마트 생겼다며 자랑스러워하던 아버지는 이제 그것이 결국엔 이렇게 불편하고, 여러 점빵 폐업시키는 것임을 이제 확실히 아셨을까. 그리고 이렇게 무너지는 것이 어디 차부점빵 뿐인가, 조금은 깨닫지 않으셨을까.

▲ 따끈한 어묵국물이 그리울 때입니다. 그래도 차부를 낀 우리 동네 최고 번화가라 따끈한 어묵도 준비했습니다. 동네 갈땐 단골이 되려고 합니다. 소주 한잔도 하고요. ⓒ 강충민 동네점빵
 
제주시 집으로 돌아오는 길 일부러 차부점빵에 들러 간장을 하나 샀고 고무장갑, 과자도 샀다. 애들에게 안길 과자도 한아름 사고 점빵을 나오며 나는 젊은 주인장에게 큰소리로 인사했다. 그래도 못내 헛헛한 마음은 감출 수가 없었다.

"오래오래 장사 허십서예."

<제주의소리>

<강충민 시민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제주참여환경연대 11월호 소식지에도 실릴예정입니다.

※ 이 기사는 오마이뉴스(http://www.ohmynews.com) 제휴기사 입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