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집 녹색성장위원 "대규모 상업시설 부재 탓...실증확대 필요"
"컨소시엄별 호환 불가도 문제" 상시 수요관리시장 개설 등 주문

▲ 스마트그리드 산-학-관 협의회 발족식 및 워크숍 주요 참석자들.
▲ 김희집 위원.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제주실증단지가 대규모 '수요 반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오후 제주도청에서 열린 스마트그리드 산업 육성을 위한 산-학-관 협의회 발족식에서 '제주 스마트그리드 산업 발전 방향'에 관해 주제 발표를 한 액센츄어 코리아 김희집 대표(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 위원)는 제주 실증단지가 세계 최대 규모의 실증단지 조기구축을 통해 관련 기술의 검증, 수출산업화 촉진을 목표로 삼고 있지만 상업시설 부재로 대규모 수요 반응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 액센츄어 코리아 김희집 대표가 스마트그리드 추진 상황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실증 대상 지역이 농어촌(제주시 구좌읍 일대 6000가구)이어서 실증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그간 업계의 지적을 뒷받침했다.

김 대표는 해결 방안으로 상업시설, 공장, 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도내 다른 지역에서도 실증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실증단지를 제주 전역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는 제주도가 여러차례 정부에 건의한 사안이기도 하다.

▲ 김부일 환경부지사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김 대표는 스마트그리드 컨소시엄별로 독자적으로 사업이 추진돼 다른 컨소시엄과 호환이 불가능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공통의 기술요소를 도출해 상호연동, 확장을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처방을 내놓았다.

또 K-MEG(Korea Micro Enegy Grid), DC-Home, 대용량배터리 실증 등 관련 신규사업이 별도로 추진되고 있다며 이들을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과 연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으로 민간 투자에 대한 효과적인 회수를 위해 상시 수요관리시장을 개설하고, 요금제 차별화, 구역전기사업의 스마트그리드 적용을 강화해야 한다고도 했다.

김 대표가 회수 방안이 없다고 지적한 대목은 수익모델의 부재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대안으로 ▲스마트미터를 활용해 전력 수요 감축 및 실적별 보상 시장을 개설하고 ▲주택용을 우선 대상으로 계절별, 시간대별 차별화 요금제를 마련해 시범운영하는 한편 ▲상대적으로 스마트그리드 적용이 자유로운 '구역전기사업'에 대한 시범적용을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실행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대표는 스마트계량 인프라(AMI) 보급 확대와 전기차 충전인프라 조기 구축을 스마트그리드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했다. <제주의소리>

<김성진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