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열 "재단이 제주문화정책 중추 역할해야"
기금 지자체 의존 벗어나야 '메세나 운동'...지자체 문화 인식 개선 촉구

“재단 자체의 발전 전략을 수립하지 못한 채 창립 10주년을 맞았다는 것은 서글프고 안타까운 일이다”

김수열 시인(전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사)이 26일 제주KAL호텔에서 열린 ‘제주문화예술재단 설립 10주년 기념 문화정책 포럼’에서 재단이 제주도 문화정책 개발의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 김수열 시인(전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사).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제주문화예술재단 10주년에 부쳐‘ 발제를 맡은 김 시인은 “2003년도 수립한 ’제주향토문화예술 진흥 중장기 계획이 2011년이면 종료돼 2012년부터는 제주도 문화예술진흥계획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며 “새로운 문화예술진흥 중장기 아젠다가 재단에서 생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도내외 정책 관련 인력풀을 활용한 상설적인 ‘문화예술정책팀’을 둘 것을 제언했다.

재단 기금 조성이 지지부진한 것에 대해서 김 시인은 “기금이 예정대로 조성되지 않고 있음을 탓할 게 아니라 기금이 왜 필요한지 자기 논리가 부재했음을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예재단 기금조성 계획은 2010년까지 300억원을 목표로 제주도와 관내 시군 및 그 외 출연금으로 조성한다고 돼 있지만 실제론 목표 금액의 6분의 1 규모인 42억원을 제주도로부터 이관 받아 운영되고 있다.

자치단체가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도 촉구했다. 김 시인은 “무엇보다 문제는 문화와 예술을 바라보는 자치단체의 인식에 있다”며 “재단 창립의 근거에 해당하는 육성기금 만큼은 계획대로 추진돼야 한다는 지자체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26일 제주문화예술재단 10주년 포럼이 제주KAL호텔에서 열렸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문예단체와 예술인들의 원성을 사왔던 ‘자부담 원칙’에 대해서도 제안했다. 문예진흥기금 지원사업을 신청하려면 신청금액의 일부를 부담해야 한다. 김 시인은 “고전적인 잣대로 구분을 짓기에는 모호한 예술 형태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 수익성이 담보되진 않지만 실험적이고 예술성이 뛰어난 예술형태도 얼마든지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며 “천편일률적으로 자부담 비율을 정할 게 아니라 신청인(단체)에서 자부담률을 스스로 정하게 하고 이를 심사 과정에 반영하는 형태의 전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외에도 문예재단 소속 문화재연구소가 매장문화재 중심이 아니라 유무형 문화재 중심의 연구소를 운영할 것과 재단의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서 역할도 주문했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