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문화 우수성 홍보 무형문화재 시연

▲ 국가지정 중요 무형문화재 제4호 갓일 기능보유자 장순자(71) 씨가 대나무에서 뽑아낸 가는 줄기로 양태 만들기 시범을 보이고 있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제주도 지정무형문화재 제14호 제주도 옹기장인 고원수(81) 씨가 옹기를 만들고 있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세계7대자연경관에 빛나는 제주가 그에 버금가는 독특한 문화도 자랑하고 나섰다.

제주도는 세계7대자연경관 선정을 기념하는 ‘제주 문화 축제(Jeju Culture Festival)’를 25일 오후 5시 제주시청 앞마당에서 화려하게 펼쳤다.

제주가 자랑하는 무형문화재와 장인들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였다.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4호 갓일 기능보유자 장순자(71) 씨는 대나무에서 뽑아낸 가는 줄기를 차곡차곡 엮어내 햇빛을 가려주는 부분인 ‘양태’를 만들고 있었다.

두 달이 꼬박 걸려야 한 사람 머리에 쓸 갓이 완성된다고 했다.

연신 콧등에서 미끄러지는 안경을 쓸어 올리는 장 씨는 “배우진 못했어도 나라의 역사(문화)를 살려야 한다는 것은 안다”며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이기에 지금까지 해 오고 있다”고 말했다.

바로 옆에선 ‘턱턱’ 찰흙을 두드리는 소리와 흙내음이 범벅됐다.

제주도지정무형문화재 제14호 제주도 옹기장들인 강신원(81), 고원수(81), 이윤옥(76) 씨였다. 각각 불에 구워내는 ‘불대장’, 옹기 모양을 만드는 ‘도공장’, 옹기 흙을 준비하는 ‘질대장’이다.

호기심 많은 학생들이 찰흙을 손에 쥐고 장인들을 흉내내고 있었다.

이 자리에서 만난 (사)제주전통옹기전승보존회 관계자는 “지난 주 가마를 만드는 굴대장 기능보유자가 돌아가셨다”며 “전수조교가 없는 상태여서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고 안타까운 소식을 전했다. 제주의 무형문화재 보존 과제를 확인시키는 현장이기도 했다.

▲ 제주도지정무형문화재 제1호 해녀노래 공연.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제주도지정무형문화재 제16호 제주농요 공연 모습.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이어 공연 분야의 무형문화재들이 무대에 올랐다. 해녀노래(도지정무형문화재 제1호)와 제주농요(도지정무형문화재 제16호) 공연자들은 실제 해녀일과 밭일을 재현하며 구성진 소리를 뽐냈다.

김 맬 때 부르는 ‘사대소리’ 중 길게 늘여서 부르는 진사대소리(도지정무형문화재 제17호)와 주로 관청에 소속돼 종사하던 기녀들에 의해 전승됐던 제주창민요(도지정무형문화재 제20호)도 흥을 돋았다.

이날 축제는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한 마당으로 꾸며졌다. 밸리댄스와 힙합댄스, 록 밴드, 브라스 앙상블 공연 등이 세대를 넘나들며 화합의 장을 만들었다.

▲ 앳된 얼굴의 여자아이들이 제주농요 공연에 함께 했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옛 제주 사람들이 평소 즐겨 입었던 갈옷을 입은 출연자들이 제주도지정무형문화재 제17호 진사대소리를 펼치고 있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화려한 한복을 차려입은 소리꾼들이 제주도지정무형문화재 제20호 제주창민요를 부르고 있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