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SG실증 종료 눈앞] (2) 정부, '상용화 무대' 거점지구 선정 차일피일

▲ 다음달 스마트그리드 사업 종료와 함께 철거가 검토되고 있는 KT/GS칼텍스 체험관.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이 부분 철수 움직임을 보이는 이유는 5월이면 사업이 종료된다는 점 말고도 비즈니스 모델(수익모델)이 빈약한 것과 무관치 않다. 한마디로 제주에서 실증을 거친 기술을 팔아먹을 시장이 딱히 없다는 얘기다.

22일 제주도에 따르면 실증사업 참여 기업들이 3년여간 일군 성과는 적지않다. 스마트소비자, 스마트운송, 스마트신재생(에너지), 스마트전력망, 스마트서비스 등 5대 분야에서 다양한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스마트소비자 분야만 하더라도 전력 소비자와 공급자를 양 방향으로 연결해주는 기술인 첨단계량인프라(AMI)를 구축했을 뿐 아니라, 에너지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을 개발했다.

스마트운송 분야에선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맞는 배터리관리시스템, 전력망과 전기차 배터리를 연동하는 차세대 기술 전력망연동기술(V2G)을 꼽을 수 있다.

▲ 다음달 스마트그리드 사업 종료와 함께 철거가 검토되고 있는 SK 체험관.
스마트서비스 분야에서도 전력시장의 잉여전력 등을 거래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됐다.

이런 기술을 구현, 혹은 상용화 할 수 있는 최고의 무대는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이다. 하지만 정부 스스로 '무대 설치'를 미루면서 불신을 사고 있다. 더욱이 녹색성장과 스마트그리드를 환경분야 최고의 정책으로 삼은 이명박 정부가 지고 새 정부가 들어서자 업계에선 정책 기조가 그대로 유지될지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거점도시) 구축 계획을 담은 국가 로드맵이 발표된 것은 2010년 1월25일. 이 때 정부는 2012년에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간 과열경쟁 조짐도 있었지만, 이 로드맵은 말그대로 로드맵으로 그쳤다.

2011년 2월22일 정부는 스마트그리드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거점지구 지정.구축을 2012년 이후에 검토하는 것으로 미루더니, 2012년 7월18일에는 '제1차 지능형전력망(스마트그리드) 기본계획'을 통해 2013년말 거점지구를 선정하겠다고 발표했다.

기술만 개발하면 전폭적으로 지원해줄 것 같던 정부 스스로 업체들에게 믿음을 주지 못한 것이다. 

▲ 정부와 KEPCO가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에 함께 조성한 스마트그리드 종합홍보관/KEPCO체험관 만큼은 그대로 남게 됐다.
거점지구 선정과 관련해 가장 최근에 알려진 정부의 계획은 5월쯤 로드맵을 발표한뒤 빠르면 10월, 늦어도 연말까지 선정한 다음 2014년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2015년부터 본격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정부는 거점지구를 다시 '종합형'과 '생활형'으로 구분해 선정한다는 복안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합형은 사업규모가 500억원(국비 300억원 이상+지방비+민자) 이상, 생활형은 500억원(국비 300억원 이하) 이하로 나뉜다. 예비타당성조사는 전자에 해당한다.   

제주도는 이같은 계획이 또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기업들이 하루라도 빨리 거점지구가 선정되기를 염원하고 있지만 정부가 뜻대로 움직이지 않는 것 같다"며 "제주 실증사업 참여기업들의 '철수 도미노'가 일어나지 않을까 내심 불안하다"고 걱정했다.  

제주도가 한가닥 희망을 걸고 있는 것은 박근혜 정부가 '전국적 스마트그리드 기반 조기구축'을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산업통상자원부도 업무보고를 통해 올해부터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조기구축과 함께 2014년부터 거점지구 구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점이다. 

세계 최초의 스마트그리드 종합실증단지를 유치한 제주도가 거점지구 선정에 대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거점지구 전 단계로 자체 시범지역화(실증단지 제주 전역 확대)를 추진하기 위해 올해 추경에 10억원을 확보하기로 하고, 대상 지역을 물색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김성진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