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인문학 기자단 '와랑'] 인문학 청소년기자단 와랑 발대식 참여 하고 / 원준혁 중문중학교 3학년

7월 마지막 일요일, 예정대로였다면 집에서 편하게 뒹굴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제주문화포럼 청소년 사업 팀장님의 권유로 ‘제주 청소년 인문학 기자단, 와랑’의 발대식에 참여했다. 기자라는 직업에 별로 흥미가 없었고, 주말에는 쉬고 싶었기에 짜증을 내며 제주시청 옆 벤처마루로 향했다.
 
벤처마루는 시청 주변에서 가장 큰 건물이다. 하지만 발대식을 진행할 곳은 그렇게 크지 않은 곳이었다. 이 건물 2층에 인터넷 신문 [제주의소리]가 위치하고 있다. 우리는 무려 3시간 동안 강의를 들어야 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발대식을 진행하는 장소가 생각했던 것보단 작았지만 아늑한 분위기가 조금은 괜찮았던 것 같다. 원래 이 행사에 참여하는 학생은 모두 20명이 좀 넘는데 몇 명은 오지 않아 대략 학생 15명 정도가 이번에 참여했다. 발대식은 생각보다 간단히 진행됐다. 제주문화포럼 원장님이 학생들 한 명 한 명에게 임명장을 나누어 줬다. 기념 촬영까지 끝나고 ‘와랑’의 첫 수업이 시작됐다.

첫 수업은 제주대학교 철학과 하순애 교수님이 ‘인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강의했다. 그런데 인문학을 가르쳐준다며 처음부터 착시 현상을 가리키는 그림들을 보여줬다. 또 이상한 가수 이름을 대며 세대 차이에 대해도 말했다, 주제랑은 다른 말씀을 하시는 것 같았다. 그러나 교수님은 그런 예들을 통해서 인문학은 세상을 한 가지의 편견으로 바라봐서는 안 되고, 우리가 기자단 생활을 하면서 ‘나는 세상의 주인, 세상을 보는 눈을 키우자’ 라는 말했다. 내 생각에도 이 세상은 한 가지로만 보는 편견에 휩싸여있다.

좋은 집은 넓어야 하고, 모범생은 성적이 좋아야 하는 등 대다수의 사람들의 편견은 다른 사람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하 교수님의 강연을 들으며 내가 ‘와랑’을 신청한 것이 왠지 잘한 것 같다는 생각이 처음으로 들었다. 기자단 활동을 하면 ‘나도 편견을 조금이나마 깰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좋은 강의였고, 앞으로는 우리 세상의 편견들을 깨기 위해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첫 번째 강의를 끝난 뒤 [제주의소리]의 문준영 기자님께서 기사 작성에 대한 강의를 해주셨다. 목소리가 크지 않았고, 아무리 쉽게 설명해줘도 졸렸다. 내용 자체가 나에게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강의를 열심히 들으려고 안간힘을 쓴 것 같다. 하지만 문 기자님의 얘기를 들을수록 기자 생활에 흥미가 생겼다.

전위무용가를 인터뷰던 인연으로 먼 아메리카 대륙으로 초청받아 세계적 행사에도 참여하고 그 곳에서 친구도 사귀었다고 한다. 나는 외국이라고는 일본밖에 안 가봤는데 기자 생활에는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즐거움이 있는 것 같다. 그런 점에서는 기자라는 것에 약간 흥미를 가지며 이런 상상을 해봤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야구 선수를 만나서 인터뷰한 후, 그 선수와 연락을 주고받는다면, 얼마나 기쁠까?’

어쨌든 기자라는 직업도 괜찮다고 생각을 했다. 기자 생활을 들은 뒤 여러 기사들을 보여주며, 기사에 필요한 것을 말해줬다. 문 기자님이 보여준 기사들 중에 컴퓨터 게임하는 할머니에 대한 에세이 형식의 기사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그 할머니는 손자가 하던 게임에 흥미를 느껴 게임을 시작했다. 안타까운 것은, 할머니가 게임을 한다고 뭐라 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 앞선 강의의 ‘눈’을 생각하며 할머니의 마음을 이해해보려고 노력했다. 삶에 지친 할머니가 컴퓨터 게임으로 스트레스를 조금이나마 해소한다고 생각하니 할머니를 이해할 수 있었다. 역시 세상은 ‘눈’을 바꿔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문 기자님은 기사문장은 짧을수록 좋다고 했다. 긴 문장은 독자들을 지치게 만든다고 했다.

‘언제 어디에서 살인 사건이 벌어졌는데, 용의자는 피해자의 남편이고 경찰에게 조사받을 때 혐의를 부인하는데 경찰은 현장의 지문을 토대로 피해자의 남편이 피의자라고 생각한다’

왠지 깔끔하지 못하고 추하게 느껴진다. 이런 문장은 ‘언제 어디에서 살인 사건이 일어났다. 용의자는 피해자의 남편으로 혐의를 부인중이다. 그러나 경찰은 현장의 지문을 토대로 그를 범인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하면 문장이 간결하고 독자에게 전달도 잘 되니까 나도 앞으로는 문장을 짧게 쓰자고 다짐했다.
 
다음은 쉽게 쓰기다. 전문가와 일반인, 세대 별로 지식 차이는 모두 다르다. 다양한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글이 필요하다고 했다. 내 생각에도 어린이 신문에 ‘사필귀정’이라 쓰면 아무리 좋은 의미라도 이해하는 어린이는 많이 없을 것 같다. 글을 쓸 때는 모두를 위해서 글을 써야겠다.
 
세 번째는 같은 단어와 접속사를 피하라고 했다. 기사문에서 ‘그리고, 그리고, 그리고’ 이렇게 같은 접속사가 반복되면 독자가 지루하고 짜증날 수 있단다.
마지막으로 감정적 표현을 삼가라고 했다. 기사는 설명하는 글이고, 객관적인 글이다. 때문에 자기 마음이 드러나는 글을 쓰면 기사 목적에서 벗어난다고 했다. 글쓰기 수업 때면 설명문을 쓰고 싶어도 내 주관이 들어간 논설문을 돼 글이 산으로 갈 때가 많았다. 글의 특징을 알고, 기사나 설명문에 감정은 넣지 말아야겠다고 느꼈다.

90분의 강의로 많은 것을 느꼈다. 가장 재밌었던 수업은 사진 찍는 법이 었던 것 같다. 문 기자님은 ‘그냥 찍으면 돼’라고 했다. 자신감을 가지면 된다고. 그 때 내가 이제까지 사진을 못 찍은 이유를 깨달았다. 찍을 때마다 ‘못 찍으면 어떡하지’라는 불안감이 있었다. 다음부터 사진 찍을 때는 과감하고 자신감 있게 찍어야겠다.
 
문 기자님의 강의가 끝나고 [제주의소리] 사무실에 잠깐 들렸다. 작지만 많은 정보가 오가기에 멋있는 장소라 느꼈다. 집에 돌아오는 버스를 타면서 이번 일을 잊지 못할 것 같다고 생각했다. 짧은 시간 안에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고, 소중한 추억도 얻었다. 앞으로 와랑 기자단을 하면서 어떤 일이 발생할지 모르겠지만 기자단 생활이 재밌을 것이라는 예감이 든다. 앞으로 1년동안 내 삶에 또 다른 즐거움을 얻고 싶다. / 원준혁 청소년 기자. 중문중학교 3학년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