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는 고려시대 삼별초에 의한 마지막 항몽(抗蒙) 유적지다. 몽골은 고려 삼별초의 활동거점이었던 항파두리를 고려 원종 14년(1273년)에 점령한 후, 1374년(공민왕 23년) 최영(崔瑩)장군의 정예군이 원나라 목호(牧胡)군을 서귀포 앞바다의 범섬 전투에서 전멸시키면서 제주는 100년간의 긴 수렁에서 벗어난 역사적 아픔이 남아있다. 최근 항몽유적의 문화콘텐츠화라는 주제로 한국몽골학회에 논문을 발표한 김일우 박사의 논문을 매주 2회(수·토), 총 6차례 연재한다. #표시된 각주 내용은 원고 하단에 별도의 설명을 달았다. [편집자]

▶글 싣는 순서 
①머리말
②제주 항몽유적의 국제적, 국가적 관점
③제주의 지역적 관점, 고고학·미술사적 관점
④제주 항몽유적의 분포상과 문화콘텐츠화: 항파두성과 성내 항몽유적
⑤제주 항몽유적의 분포상과 문화콘텐츠화: 항파두성 밖 및 문화콘텐츠화 지향성
⑥맺음말

[제주 항몽유적의 문화자원화] 
⑥맺음말 /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


4. 맺음말
고려의 대몽항쟁은 우리나라의 외세항쟁에서 가장 주목되는 역사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제주는 고려의 대몽항쟁 전개와 관련해 주목되는 곳으로 손꼽힌다. 이는 항파두성을 비롯해 제주의 여러 곳에 산재한 항몽 관련 유적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곧, 제주는 항파두성 외에도, 물 관련 식·생활용수, 망대와 진지, 포구, 기타 등으로 대별해 볼 수 있는 항몽유적이 제주도 북반부의 동·서 양측으로 약 43㎞ 거리에 걸쳐 있듯이, 매우 길고, 또한 광범위한 곳에 다양·다종의 항몽 관련 유적이 26여 곳에 산재해 있는 것이다.
56.jpg
▲ 제주도내 항몽유적의 분포도. 제공=정광중. ⓒ제주의소리

이들 유적 가운데 제주 삼별초가 최후의 항몽거점으로 삼았던 항파두성과 그 주변의 경우는 ‘제주항파두리항몽유적지’라는 이름으로 1997년에 국가사적 제396호로 지정되고, 계속적으로 정비돼 왔었다. 근래에 들어와서도 항파두성의 보존·활용계획에 대해 수차례 용역이 실시됐다.

항파두성의 활용과도 연계된 제주 항몽유적의 문화콘텐츠화와 관련해서는 후세들에게 국가의 주체성과 자주성을 밀도 있고,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는 역사교육장화와 직접 이어져야 한다고 하겠다. 이와 함께, 제주역사와 경관 및 생태 등의 남다름을 체험적으로 엿볼 수 있는 문화기행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문화자원화의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로도 나아가야 한다. 게다가 제주의 항몽유적은 탐라문화권 정비대상의 역사·문화자원으로 제주 도내의 어느 역사유적보다도 우선시 돼야 한다. 이는 제주의 항몽유적이 지닌 역사성과 관련해 살펴볼 때 자명하다고 하겠다.

제주 항몽유적의 역사성은 다각적 관점에서 접근이 유효한데, 우선은 오늘날 우리 국가와 그 문화가 존립하고, 자주적으로 이어 나아가는데 기여함과 아울러, 동아시아권의 역사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통로로서 의미가 크다는 것이다. 또한 제주 도내의 그 어느 역사유적보다도 우리나라 역사와의 유기적 결합도가 높은 한편, 제주 역사문화의 정체성과 그 독특함을 대면할 수 있는 통로서의 역사성도 지니고 있다. 이밖에도 제주의 항몽유적·유물은 13세기 당시의 보존도가 높아 고고학·미술사적 관점에서 의미가 자못 큰 만큼, 13세기 고려의 역사문화를 생생히 해명하는 역사적 자료서의 가치도 높다.

곧, 제주 항몽유적은 이들 4가지 관점의 역사성을 지닌 만큼, 제주의 가장 대표적 역사유적이라 아니 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 ‘제주항파두리항몽유적지’ 일대는 항파두성의 존재와 아울러, 상당한 부분이 공유지에 해당하며, 민가와 상가도 드문 만큼, 제주의 항몽유적 관련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공간 확보가 그 어느 곳보다도 적절한 여건을 갖추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57.jpg
▲ 항파두성 주변 전경. 제공=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의소리

요컨대, 제주 지역 대몽항전 관련 유적의 문화콘텐츠화는 우리나라의 외세항쟁사 및 동아시아사의 문화적 동질성과 아울러, 제주역사와 경관 및 생태가 맞물려 이루어진 문화자원화의 창출과 함께, 산교육장의 공간적 범위를 보다 더 확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길이 적절함을 재차 말해두고자 한다. (끝)


▲참고문헌

• 강진철(1974),  「몽고(蒙古)의 침입에 대한 항쟁」, 『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 김일우(2000),『고려시대 탐라사 연구』, 신서원.
• 김일우(2003), 「고려후기 제주ㆍ몽골의 만남과 제주사회의 변화」, 『한국사학보』 15.
• 김일우(2004), 「고려시대 탐라 주민들의 거주지역과 해상활동」, 『한국사학보』 18.
• 김일우(2008), 「고려ㆍ조선시대 외부세력의 제주진입과 제주여성」, 『한국사학보』 32.
• 김일우(2008),「고려시대 제주 지역의 대몽항전 관련 유적과 그 활용 방향」『한국사진지리학회지』18-2.
• 김일우(2013), 「탐라와 몽골문화의 교류와 탐라사회의 변화」『탐라사의 재해석』, 제주발전연구원.
• 김일우(2015), 「제주 강정동 ‘대궐터’ 유적의 역사적 성격- 고려시대 몽골의 제주지배기와 관련하여-」, 『한국사학보』60.
• 김일우ㆍ이정란(2002), 「삼별초 대몽항쟁의 주도층과 그 의미」,『제주도사연구』11.
• 문선희(1978), 『삼별초의 넋』, 제은경출판사.
• 민현구(1991),「몽고군(蒙古軍)ㆍ김방경(金方慶)ㆍ삼별초(三別抄)」, 『한국사시민강좌』 8.
• 북제주군ㆍ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2002), 『제주항파두리 항몽유적지 학술조사 및 종합 기본정비 계획』, 제주문화예술재단.
• 오창명(2013), 「지명유래」, 『애월읍역사문화지』, 제주문화원. 
• 윤용혁(1994), 「삼별초의 봉기와 남천(南遷)에 관하여」,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학논총』 상, 일조각.
• 윤용혁(2000),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 윤용혁(2004), 「13세기 동아시아 역사와 “삼별초” 문화」, ‘강화ㆍ진도ㆍ북제주군 제4차 “삼별초” 학술세미나’ (기조발표문), 북제주군.
• 윤용혁(2014), 『무인정권ㆍ몽골, 그리고 바다로의 역사 삼별초』, 혜안.
• 이익주(1994), 「고려후기 몽고침입과 민중항쟁의 성격」, 『역사비평』 24.
• 제주고고학연구소(2011), 「사적 396호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문화재 시굴조사(2차) 간략보고서」, 제주고고학연구소.
• 제주도(1998),『국가문화재 지정조사보고서 제주항파두리 항몽유적지』, 제주도.
• 제주문화예술재단(2010, 책임연구원 김일우),『제주, 몽골을 만나다』, 제주문화예술재단.
• 제주문화유산연구원(2010), 「제주항파두리 항몽유적지 매장문화재시굴조사 1차 지도위원회 및 현장설명회」자료집, 제주문화유산연구원.
• 제주시ㆍ제주역사문화진흥원(2012), 『사적 제396호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 종합정비계획』, 제주역사문화진흥원.
• 제주특별자치도ㆍ제주문화예술재단(2006),『탐라문화권 정비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제주문화예술재단.
• 제주특별자치도ㆍ제주문화예술재단(2009),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 제주문화예술재단.
• 제주특별자치도ㆍ제주역사문화진흥원(2008), 『탐라문화권발전기본계획』, 제주역사문화진흥원.
• 제주특별자치도ㆍ제주역사문화진흥원(2009), 『탐라문화권발전세부계획』, 제주역사문화진흥원.


158368_178902_0610.png
※ 필자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의 대표 논저.

2000,『고려시대 탐라사연구』, 신서원
2002,「고려후기 제주 법화사의 중창과 그 위상」, 『한국사연구』119 
2003,「고려후기 제주・몽골의 만남과 제주사회의 변화」,『한국사학보』15.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