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 제주하수처리장 시설개량 조감도. ⓒ제주의소리

인구 급증, 대규모 개발사업 등 하수발생량 급증…道, 악취민원 급증에 대책마련 부심


제주가 유입인구 급증과 대규모 개발사업 등으로 하수도 인프라 확충이 ‘발등의 불’이 됐다.

올 들어서는 하루 걸러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방류수가 배출되는 등 갈수록 빈도가 잦아지면서 악취 민원도 급증하고 있다.

제주도 상하수도본부가 먼저 이 같은 상황을 자수(?)하는 일이 벌어졌다. 상하수도본부는 22일 오전 도청기자실에서 관련 브리핑을 갖고, “최근 3년간 유입인구 및 관광객 급증에 따른 건축행위 증가와 대단위 개발사업 등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에 유입되는 발생하수량이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하수처리장 운영이 23년이 경과하는 등 시설 노후화로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 악취 발생 등 정상적인 하수처리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도두동 소재 제주하수처리장은 하루 13만톤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도내에서 시설되어 있는 하수처리장 중 최대 규모로, 현재 제주시내에서 발생하는 하수량의 약 91%를 처리하고 있다.

상하수도본부에 따르면 도두처리장에 유입되는 하수량은 2014년 하루 11만6208톤에서 2015년 11만7137톤, 올 들어서는 11만9674톤으로 급증했다.

겉으로만 보면 시설용량(13만톤/일)에 밑도는 것 같지만, 시간대별 유입하수량이 들쭉날쭉하면서 시설용량을 초과해 과부하 걸리기 일쑤다.

발생하수량 증가로 수처리 공정별 체류시간이 부족한데다 분류식 관로정비가 완료된 지역의 정화조 폐쇄로 인한 생활오수 유입, 침출수 및 음식물 배출수 증가에 따른 유입농도 증가, 순간 정전 문제 등까지 복합적으로 발생하면서 안정적인 하수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일수만 봐도 하수도 처리 인프라 확충이 얼마나 시급한 지 알 수 있다.

지난 2014년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일수가 2일이던 것이 2015년에는 79일, 2016년에는 141일로 늘었다. 최근 들어서는 사실상 하루 걸러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방류수가 바다로 흘러가고 있다는 얘기다.

이로 인해 악취가 진동하면서 지역주민은 물론 해녀, 숙박업 종사자 등이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등 민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상하수도본부는 일단 도두하수처리장 시설 중 악취 발생 시설물에 대한 악취저감시설 개량을 오는 10월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현재 94%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하수처리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인프라 확충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도두하수처리장 처리용량을 오는 2020년까지 4만톤(13만톤→17만톤) 증설해 하수처리 등 처리장 운영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현재 주민들과의 협의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처리장 운영에 대한 업무의 지속성, 전문성 확보를 위해 수처리계통에 대한 전문인력 확보, 민간위탁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지역여건에 맞는 최적의 운영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양병우 상하수도본부 하수도부장은 “일부 월정, 판포처리장으로 보내고는 있지만 한계가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단기적으로는 악취저감시설 개량에 집중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하수도 인프라 확충을 추진할 계획이다. 안정적인 하수처리를 위해 전 행정력을 쏟아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오는 2025년까지 인구 100만명 수용을 전제로 1조5572억원을 투입해 하수처리장 9곳과 하수관로 1660㎞를 확충할 계획이다.

도두·월정·보목·대정·성산·판포·색달·남원 등 8곳의 시설을 확충하되, 특히 제주시 지역에는 입지 한곳을 전국 최초로 공모방식으로 선정해 5만톤 규모의 하수처리장을 신설키로 했다.

유치된 마을에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 주민이 요구하는 특색사업들을 지원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