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 대란] ③ 외도→판포, 삼화→월정 분산 급급...인프라확충-처리공정 최적화 시급

관광객 증가와 이주 열풍에 따른 인구 급증으로 제주는 전에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곳곳에서 교통체증이 빚어지고 있고 생활쓰레기 증가로 매립장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하수유입량도 폭발적으로 늘면서 하수처리장은 사실상 제 기능을 잃고 있다. 하수처리시설 확장 전까지 건물 신축을 중단해야한다는 극단적인 목소리까지 나온다. <제주의소리>가 한계에 다다른 하수처리장의 실태와 문제점을 세 차례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①하수처리 핵심 ‘미생물 사멸’, 악취에 잇단 보상요구
②정화 기능 상실, 기준치 5배까지 초과...바다로 ‘콸콸’
③하수처리능력 한계, 증설도 난항...앞으로가 더 문제

2.jpg
▲ 제주도내 하수의 60%를 처리하는 제주하수처리장이 포화 사태에 직면했다. 증설과 신설 계획이 연이어 마련됐지만 기한내 준공될지는 미지수다. ⓒ제주의소리 <김정호 기자>
지난 5월 제주 인구가 65만명을 넘어섰다. 연일 쏟아지는 관광객과 외부 유입 근로자까지 합치면 제주에 머무는 체류인구만 8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인구증가에 소비까지 늘면서 지역경제 규모는 커졌다. 반면 체류객 증가로 교통체증이 빚어지고 쓰레기는 넘쳐나고 있다. 여기에 생활하수까지 급증, 처리장이 포화에 직면했다.

도내 하수처리장은 제주하수처리장(도두)과 동부(월정), 서부(판포), 보목, 색달, 대정, 남원, 성산처리장 등 8곳이다. 이중 3곳은 제주시, 나머지 5곳은 서귀포시에 위치하고 있다.

8개 하수처리장의 1일 기준 시설용량은 23만1500㎥다. 제주처리장은 13만㎥로 도내 전체 하수 처리 능력의 56.1%를 차지한다. 제주시 19개동 36만6700여명의 하수가 이곳으로 향한다.

최근 인구와 건축물 증가로 하수량도 급증하고 있다. 밀려드는 하수에 최근 제주처리장의 1일 평균 처리량은 12만㎥까지 증가했다. 적정한계치인 80%를 넘어 92%까지 치솟았다.

안정적인 하수처리를 위해 당장 제주처리장에 대한 증설이 필요하지만 지금껏 수질공정 개량공사도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다.

1994년 조성된 제주처리장은 가동후 22년이 지나 각종 시설이 노후화 돼 있다. 이에 제주도는 2014년 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226억원을 들여 시설개선 사업을 진행중이다.

더 시급한 것은 증설이다. 제주도 상하수도본부는 2020년까지 현재 13만㎥인 제주처리장의 처리능력을 17만㎥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관련 용역도 추진중이다.

▲ 제주도내 하수의 60%를 처리하는 제주하수처리장이 포화 사태에 직면했다. 증설과 신설 계획이 연이어 마련됐지만 기한내 준공될지는 미지수다. ⓒ제주의소리 <김정호 기자>
6.jpg
▲ 제주도는 제주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 능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제주시 외도지역의 하수를 한경면 판포하수처리장으로 분산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삼화지구 하수를 구좌읍 월정하수처리장으로 분산하는 방안을 추진하지만 구좌읍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김정호 기자>
문제는 인구증가와 대규모 개발사업이 이어지면서 4만㎥ 증설도 부족하다는 점이다. 제주도는 이에 5만㎥ 규모의 처리장 추가 건설을 검토중이지만, 부지선정 조차 못하고 있다.

제주하수처리장이 포화에 이르자 상하수도본부는 제주시 외도동에서 발생하는 1일 약 1만㎥의 하수를 한경면 판포리에 위치한 서부하수처리장으로 분산 처리하고 있다.

서부처리장은 2010년부터 294억원을 투입해 1일 6000㎥인 처리용량을 2만4000㎥로 증설했지만 영어교육도시에 이어 신화역사공원까지 조성되면서 추가 증설을 해야 할 처지다.

동부처리장도 마찬가지다. 제주도는 제주시 화북·삼양동 일대에 삼화지구가 들어서면서 이 지역의 하수를 구좌읍 월정리에 위치한 동부처리장으로 분산 처리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이를 위해 243억원을 투입해 동부처리장의 1일 처리규모를 1만2000㎥에서 2만4000㎥로 갑절 늘리기로 했다. 반면 동지역 하수처리에 구좌읍 주민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구좌읍을 지역구로 둔 김경학 제주도의회 의원(환경도시위원회)은 쓰레기에 이어 하수까지 동부지역으로 밀어 넣어 주민들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하수처리 분산에 반대했다.

김 의원은 “삼화지구 조성 당시 하수처리 계획을 세운 것인지 의문이다. 100만 도민을 얘기하면서 하수처리 인프라에 대한 대책도 마련하지 않는 것이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제주시 동지역만 확장시키면서 쓰레기에 이어 하수까지 동부지역에서 처리하라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며 “동부(월정)처리장은 조천, 구좌 주민을 위한 시설이니 당초 목적대로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외도와 삼화지구 하수를 동, 서부 외곽지역으로 분산시키더라도 동지역 하수처리 대란이 해결될지도 미지수다.

제주시 연동에 초대형 숙박·상업시설인 드림타워가 들어서고 아라동에 제2첨단과학기술단지, 오라동에 오라관광단지 등 대규모 사업이 예정되면서 하수량도 늘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안정적인 하수처리를 위해 오는 2021년까지 2102억원을 투입해 제주와 서부, 보목, 대정, 성산처리장 등 5곳의 1일 처리량을 17만6500㎥에서 25만700㎥로 증설하기로 했다.

▲ 제주도는 올해 328억원을 투입해 도내 8개 하수처리장 중 5곳에 대한 증설 사업을 추진한다. ⓒ제주의소리 <김정호 기자>
▲ 제주도는 포화사태를 맞은 제주하수처리장의 1일 처리량을 13만t에서 17만t으로 증설하는 작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사진은 증설되는 제주하수처리장 조감도. ⓒ제주의소리 <김정호 기자>
증설과 별도로 제주시에 추진되는 5만㎥급 하수처리장 신설은 부지선정부터 반발에 부딪힐 가능성이 크다. 기존 처리장 주변 주민들의 악취와 방류 민원이 이를 방증한다.

인프라 확충이 늦어지면 그만큼 하수처리 품질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제주처리장의 경우 지난해 125일, 올들어선 8월 현재까지 무려 197일간이나 수질기준을 초과한 하수를 바다로 흘려보냈다.

이같은 이유로 지난 한해에만 제주와 대정, 색달처리장 등 3곳이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과태료 처분 통지를 받았다.

처리장 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확보도 과제다. 도내 하수처리장은 환경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순환근무가 이뤄질 뿐 수처리계통에 대한 전문 인력이 전무한 실정이다.

상하수도를 전공한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의 김진근 교수는 하수처리시설 공무원에 대한 전문성교육 강화와 하수처리장의 민간위탁 운영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김 교수는 “순환보직으로 전문성이 떨어지고 업무 선호도도 높지않아 하수업무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며 “장기간 근무와 인센티브 지원을 통해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른 지역의 경우 절반이상의 기관이 하수처리 업무를 민간에 위탁한다”며 “민간위탁과 외부 인력 채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신규 일자리 창출 등 효과도 있다”고 덧붙였다.

인프라 확충에 대해서는 “인구 증가로 하수량이 늘면서 시설 확대가 절실하다”며 “신규 시설에 적극 나서고 기존 하수처리 공정을 최적화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