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관광공사, 관광 수용력 관리 연구 결과 발표

제주가 과잉관광이라는 지적과 관련, 관광객을 수용할 준비가 부족했다는 의견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제주 과잉관광 논란이 발생한 이유로 지역민과 관광객이 공존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이 부족했고, 지역주민 정주환경을 고려한 제주관광정책으로의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제주관광공사는 ‘제주관광 수용력 관리방안 연구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조사는 관광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도민 상당수가 관광객 증가로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지만, 수용 수준을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고 대답했다.
 
쓰레기와 상하수, 교통 등 다양한 문제가 드러나는 상황에도 제주도민들은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인식 결과가 나타나 의외라는 반응도 나온다.
 

이번 연구는 제주관광 수용력을 가늠하기 위해 지난 2017년부터 시작된 연구 용역의 2차 조사 성격으로, 설문조사와 전문가 심층 면접조사 등 두가지가 병행됐다.

설문조사는 20세 이상 제주도민 812명과 관광업체 관계자 241명, 제주 방문 관광객 814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24일부터 2019년 1월 24일까지 실시됐고, 심층 면접조사는 주민5명, 업계관계자 6명, 관광객 4명, 전문가 5명, 시민사회 1명 등 21명을 상대로 실시됐다.

교통 체증이 심한지를 묻는 질문에 지역주민은 1.78점, 업계 관계자 1.83점, 관광객은 2.83점이 나왔다. 기준점인 3점보다 낮으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교통체증으로 불편함을 느낀다는 의미다.  
 
또 물가가 비싸냐는 물음에 지역주민 1.84점, 업계 관계자 1.89점, 관광객 2.35점 등으로 나왔다. 
 
관광공사는 “주민이나 업계 관계자, 관광객 등 의견을 종합하면 ‘관광객이 다소 많아 불편을 느끼지만, 과잉관광까지는 아니’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교수와 도시공학박사, 교통기술사, 관광학박사 등 전문가 5명 면접조사 결과는 제주 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안긴다. 
 
전문가들은 “제주는 1차산업과 3차산업 비중이 크다. 관광객 1500만명이 오는데, 파급효과가 제주 전체에 골고루 퍼지지 않는 것이 큰 문제”라며 “(수익의) 효율적 배분도 중요하다. 특정 업체만 수입을 얻고, 일반사람들이 교통체증, 주차문제 등을 겪으니 수용력 한계 얘기가 나온 것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어 “제주 교통 혼잡에 따른 사회적 혼잡 비용이 크다. 현재 502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며 “2010년대 들어 갑자기 인구가 늘어났다. 사회 인프라가 그대로인 상황에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해외사례를 비교했을 때 급증해온 관광객 숫자보다 지역주민과 관광객을 수용할 수 있는 제주의 사회 인프라 부족 문제에 주목했다. 
 
결국 관광공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주관광 경쟁력 강화 및 체질개선 전략 ▲제주관광 공정성 체계 정착 전략 등 2개 아젠다를 중심으로 '제주 지역사회 기반형 관광제체'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관광공사 관계자는 "연구조사 결과만으로 제주 관광 수용수준을 단정할 수는 없지만, 지역민과 광객이 공존하고 상생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