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1375억원 투입 저수조 설치 계획...KEI, 4곳 지역원형보존 의견 내놓아

제주도가 추진하는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 사업' 계획도. 제주를 11개 권역으로 나눠 총 54개 저수조를 설치, 가뭄 때 농업용수 공급을 목표로 한다.

제주도가 1375억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 사업’ 계획 일부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일부 사업 구간이 생태자연도 1·2등급지에 포함되는 등 원형을 보존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2017년부터 2024년까지 8개년 ‘제주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사업’을 추진중이다. 제주를 11개 권역으로 나눠 대용량저수조 54개를 설치하는 것이 사업의 골자다.
 
비교적 지대가 높은 지역 54곳에 각각 최대 6000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조를 설치해 저수조에 가둔 물을 가뭄때 농업용수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저수조의 물을 농경지 등에 공급하기 위해 제주 전역에 설치되는 관로만 470km에 달한다.
 
저수조 물은 지하수나 용천수로 채워질 예정이다. 기존 개발된 관정 등을 활용해 지하수위가 높아지면 미리 물을 저장하는 방안이다. 용천수의 경우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물을 끌어와 저수조에 가둬 활용하는 방식이다.
 
사진 왼쪽 숲이 우거진 부지는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저수조 설치 예정 구역이지만, KEI가 생태자연도 2등급지에 포함돼 부지를 바꿔야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지하수위가 높아졌을 때 저수조에 물을 확보해두고, 가물어 지하수위가 고갈 우려가 제기될 만큼 낮아지면 저수조의 물을 공급해 농업용수용 지하수 취수를 억제한다는 계획이다. 

제주의 생명수 지하수를 보존할 수 있고, 가뭄 등 비상상황에 농업용수를 보급할 수 있어 제주 입장에서는 ‘일석이조’ 사업인 셈이다.
 
2000톤이면 하루에 가물은 땅 60~70ha에 물을 보급할 수 있는데, 제주도는 저수조 54개를 설치하면 약 13만9000톤의 농업용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는 중산간에서 해안가 방향으로 잇는 농업용수 광역화사업을 우선 추진하고, 이후에는 제주 각 권역에 설치된 저수조끼리 연결해 권역별로 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까지 검토하고 있다.
 
농업용수 광역화 사업에는 총 1375억원(국비 1100억원 포함)이 투입되며, 지난해 기획재정부에서 예산이 반영됐다.
 
사업은 한국농어촌공사가 대행해 각종 행정 절차를 추진중이며, 농어촌공사는 제주농업용수통합광역화 추진단도 꾸렸다.
 
기재부 총사업비협의를 앞둬 실시설계용역을 진행중인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에서 일부 제동이 걸렸다. 시설 공사는 기재부 총사업비 협의를 마쳐야만 가능하다.
 
[제주의소리]가 확보한 KEI의 '제주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사업' 소규모 환경영형평가 내용 발췌.

KEI가 서귀포시 도순동, 강정동, 표선면 토산리, 안덕면 서광리 등 총 4곳 부지가 생태자연도 2등급지에 포함되거나 곰솔, 후박나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어 원형을 보존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기 때문이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농업생산기반시설은 생태자연도 1·2등급지에서도 개발행위가 가능하다.
 
제주도는 농업용수 보급에 가장 효율적인 입지를 선정해 농업생산기반시설인 저수조 설치를 추진했지만, 소규모환경영향평가에서 원형 보존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부지를 변경하겠다는 입장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농업용수 광역 급수체계 구축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가능성을 대비하고, 전천후 농업용수원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KEI가 저수조 설치가 계획된 54곳 중 4곳의 원형을 보존해야 한다는 의견을 줘 부지를 변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도 “농업생산기반시설은 생태자연도 등급과 관계없이 개발행위가 가능해 국·공유지를 중심으로 농업용수 공급에 가장 효율적인 입지를 선정했다.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결과에 따라 농업용수 광역화사업 계획 일부를 변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