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72주년 기획] 4.3피해 회복탄력성 인터뷰 (10) 오맹은

김종민 전 국무총리소속 4.3위원회 전문위원의 최근 '4.3피해 회복탄력성' 연구는 길게는 27년전 인터뷰했던 4.3피해자를 다시 만났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강산이 세 번 가까이 바뀌는 동안 4.3피해자들의 몸과 마음은 얼마나 회복됐을까. [제주의소리]는 4.3피해 회복탄력성 연구 보고서에 이어 연구 과정에서 진행한 인터뷰 11건도 소개한다. 월요일과 목요일 매주 두 차례 씩 총 11회 게재를 통해 4.3피해자들의 피해회복 과정 전반을 생생한 목소리로 전한다. [편집자 주]

연구방법은 많은 사람을 도식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계량화·도표화하기보다는 심층 인터뷰라는 질적 조사방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책임연구원은 과거 4.3피해를 경험한 대상자를 조사한 적이 있다. 즉 책임연구원이 제민일보 기자 시절 '4.3은 말한다'를 연재하기 위해 1990년대에 이미 만나 인터뷰를 했으며(11명의 인터뷰이 중 8명), 인터뷰 내용이 신문에 게재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학에서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 인명과 지명을 알아볼 수 없도록 익명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연구의 본문은 익명이지만, 부록으로 실린 구술내용에서는 모두 실명을 사용했다. 구술자들도 이에 적극 동의했으며 사진 촬영은 물론 동영상 촬영도 허락했다. 실명을 쓴 까닭은 구술 내용이 검증될 수 있어야 하고, 그래서 구술 내용이 훗날 역사의 사료로써 기능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물론 구술자들이 구술을 마친 후 ‘어떠어떠한 내용은 빼 달라’고 한 부분은 삭제했다. [필자 주]

10. 오맹은(吳孟銀. 구좌 상도리 출신)

1차 구술채록: 1997년 4월 14일 자택 방문
2차 구술채록: 2019년 7월 17일

* 증언자 개인 정보
생년월: 1940년 12월
당시주소: 구좌면 상도리
현주소: 구좌읍 하도리
4.3 당시 가족관계: 8명(조부, 부모, 나, 동생 3명). 이 중 증언자와 막내 여동생(당시 1살)만 살아남았으나 1살짜리 여동생은 며칠 후 굶어 숨짐
현재 가족관계: 부인, 아들 1명, 딸 6명, 손자 및 손녀 다수
학력: 세화국민학교, 세화중학교, 제주농업고등학교 졸업 


▲ 1차 구술채록
- 1997. 4. 14. 자택 방문 취재

* 1948. 12. 5. 가족 희생 상황

“당시엔 일주도로가 우리마을 상도리를 지났기 때문에 상도리는 중산간마을에 속하지 않았다. 따라서 소개령도 없었다. 당시 우리집은 상도리에서 알아주는 부자였다. 소와 말이 많았다. 그런데 어느 날 밭갈쇠가 없어지니까 아버지가 지서에 도난 신고를 했다. 그런데 지서에서는 폭도로 올라간 친척에게 제공하고선 허위신고를 했다면서 아버지를 감금했다. 곧 풀려나긴 했지만 고문 후유증으로 인해 집에서 누워있을 때이다.

집안이 피해를 당하던 날, 경찰은 토벌작전에 방해가 된다며 큰 나무를 자르도록 했다. 벌목작업은 날이 저물어갈 때까지 했다. 그런데 오후 4시께부터 비가 오기 시작했다. 그래서 몸이 아파 방에 누워있는 아버지를 제외하고 할아버지, 어머니, 나, 동생 둘 등 온가족이 모두 나서서 ‘우영팟’에 쌓아놓은 땔감이 젖지 않게 손보았다. 그리고 우영팟과 마당을 잇는 좁은 문을 통해 할아버지, 어머니가 먼저 들어서고 그 다음에 동생들이 마당에 들어섰다. 나도 막 들어서려는데 경찰들 여러 명이 우리집 올레를 통해 들어오고 있었다. 그중 경찰 세 명이 똑똑히 기억난다. 

곧이어 총소리가 나고 집에 불이 붙었다. 난 겁에 질려 거의 혼이 나갔다. 경찰들이 돌아가고 난 뒤 집으로 들어가 보니 온통 불바다여서 어쩌지 못했다. 조부 오지현(吳志炫, 54세), 부친 오문형(吳文形, 28세), 모친 김정숙(金貞淑, 29세), 남동생 오차은(吳次銀, 7세)과 오계은(吳季銀, 5세)이 모두 총에 맞아 숨졌다.

그런데 불타는 집 마루에 한 살 난 여동생이 구덕 안에서 울고 있었다. 경찰은 ‘불에 타 죽겠지’ 라는 생각에 그 여동생에게는 총을 쏘지 않은 것 같다. 난 급히 여동생을 안고 나왔다.”

소개령 장면을 그린 강요배 화백의 4.3연작 중 일부.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소개령 장면을 그린 강요배 화백의 4.3연작 중 일부.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 “열다섯 살 정도만 됐었더라면…”

“지금도 한으로 남는 것은 당시 여덟 살이던 내가 열다섯 살만 됐어도, 열다섯 나이의 힘이 있었더라면 시신이 불에 타지 않도록 밖으로 끌어낼 수 있었을 텐데···. 하지만 여덟 살에 불과한 나는 너무 힘이 없었다. 그래서 결국 시신이 불에 타 화장한 셈이 됐다.

그 후 난 졸지에 고아가 돼 큰어머니 손에서 컸다. 난 지금도 알 수 없다. 그들이 눈을 뜨고 우리 가족을 쐈는지, 눈을 감고 쐈는지. 말 못하는 짐승에게도 그럴 순 없다.”

* 가족 희생의 원인

“난 우리가족이 희생된 원인을 알 수 없다. 일부에서는 입산자의 친척이라서 죽었을 거라는 말도 하지만, 우리보다 더 가까운 그의 친척들도 희생되지 않았다.”


▲ 2차 구술채록: 
- 2019년 7월 17일 자택 방문 취재

* 1948. 12. 5. 가족 희생 상황

“사건 발생일은 내 나이 여덟 살로 11월 5일(양력 1948년 12월 5일)이다. 당시 우리집은 상도리의 2백여 호 가구 중 2, 3번째 정도로 잘 살았다.

그런데 사건이 나던 날 오후부터 비가 오기 시작했다. 그래서 온가족이 모두 나서서 쌓아놓은 땔감이 젖지 않게 손보았다. 그런데 갑자기 경찰이 들이닥쳐 집에 불을 지르고 가족들을 총살했다.

경찰들이 돌아가고 난 뒤 집안에 들어가 보니 온통 불바다였지만 어쩌지 못했다. 불타는 집 마루에 한 살 난 여동생이 구덕 안에서 울고 있었다. 내가 15살만 되었어도 어머니, 아버지 시체를 마당으로 끌어냈을 텐데 그러지 못해서 다 불타버렸다. 어머니는 축담 밑, 할아버지는 대문 앞, 아버지는 방안에 시신이 놓여 있었다. 남동생 시신은 옆집 사는 삼촌이 바깥으로 빼내서 불타지는 않았다. 당시 큰아버지도 떡(음식)을 무장대한테 제공했다는 죄명으로 총살당해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8일 후인 음력 11월 13일에 돌아가셨다.”

* 희생원인

“나중에 외할머니한테 들어보니 사적 감정으로 저지른 것이라고 하더라. 개인감정으로 입산자의 친척이라는 명분을 씌어서 우리 가족을 몰살시켰다.”

* 여동생의 죽음

“총에 맞지 않은 채 구덕 안에서 울고 있던 한 살 난 여동생을 업고 큰길로 나오니 외삼촌이 넋이 나간 채 서 있다가 나를 보고는 ‘어서 외할머니 집으로 가라’고 했다. 당시 외삼촌은 외할머니와 함께 살고 계셨다. 막내 여동생은 제대로 먹지 못해 굶어 죽었다. 

텔레비전에서 아프리카 기아 아동을 보면 그 때 죽은 여동생 생각에 눈물이 난다. 부모님은 묘를 만들어 모셨지만 동생들은 정상적인 무덤 없이 그냥 묻혀 있다. 아이들이라 무덤을 안 만들고 방치해 둔거다.”

오맹은 씨. 사진=김종민. ⓒ제주의소리
오맹은 씨. 사진=김종민. ⓒ제주의소리

* 4.3 이후~2000년 이전의 삶

“사건 직후에는 친척 집을 전전하며 살았다. 그런데 내 앞으로 재산이 많다보니, 내 재산 때문에 나에 대한 주요 사항은 친척들 간의 회의로 결정되었는데 친척 집에 살면서는 눈칫밥을 많이 먹었다. 차라리 고아원이 더 낫지 않았을까 생각했었다. 

세화초등학교, 세화중학교를 모두 졸업하고 세화고등학교까지 진학했는데, 고등학교 2학년 때가 되자 내가 결정해 농업학교로 전학해 살았다. 선친께 물려받은 재산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반도 안 남았다. 삼년상 치르면서 팔고, 학비도 마련하느라 팔고….

고등학교 졸업 이후에는 식품 가공업체에 취업해 살았다. 5~6년 정도 일하고 나와서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공기업에 일한 것은 아니어서 연좌제에 대한 피해의식은 없었다. 40살부터는 양봉도 시작해서 지금은 밭도 어느 정도를 갖고 있다. 29살에 지금 이 자리에 초가집을 처음 짓고 이후에 슬레이트 지붕으로 집을 지었다가 53살에 벽돌로 된 지금 집을 지었다.”

* 길에서 만난 가해자

“내가 30대 때 우리 가족을 쏘아죽인 자 중 한 명인 김아무개가 중학교 교장으로 있었다. 마침 외가집 초상이 있어 매장하러 가던 날인데, 하얀 눈이 내릴 때 그를 우연히 만났다. 용눈이오름 위에서 그와 마주쳤는데 그는 내게 봉변을 당할까봐 도망갔고 내가 뒤쫓았다. 중학교 후문 쪽에 있는 관사에 사는 것을 알고 그곳으로 찾아갔지만 없었다.

나는 상가에서 술도 마신 상태이고 너무 화가 나서 그 관사 문을 다 부수면서 ‘나를 고발하라’고 소리쳤다. ‘김아무개 당장 나오라’고 소리쳤다. 김아무개 교장의 부인이 처음엔 ‘잘못했다’며 나를 붙잡고 사정하더니만 도저히 말릴 수가 없으니 친척집에 내가 행패를 부렸다고 전화했던 모양이더라. 

한번은 그가 다른 중학교로 전근 갔을 때인데, 그때 내가 양봉일 하던 중 다방에 들렀다가 다시 그와 마주쳤다. 그는 나를 보자마자 또다시 도망갔다. 나는 쉽사리 잊을 수가 없다. 김아무개 교장은 4.3때 경감이었다. 그래서 순경들 다 모아서 데려올 수 있었던 거다. 

아직도 나는 당최 용납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다. 가슴 속에 응어리는 여전하다. 사람이라면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가!”

* 2000년 이후의 삶, 특별법 제정 전후의 차이

“이젠 연좌제 없어지고 4.3특별법이 제정된 후부터는 4.3을 알려는 학생도 많아지고 요즘은 많이 풀렸다. 옛날 같으면 무슨 말이라도 하면 바로 ‘폭도 새끼’라고 했는데, 이제는 그렇게 하는 사람은 없고 그런 눈짓도 안 한다. 그렇게 말하던 사람들이 오히려 많이 눈치 보는 것 같다. 과거엔 말로 밀리거나 힘으로 밀리면 바로 ‘폭도 새끼’라고 했는데 말이다.

22살에 큰어머니 소개로 결혼해서 아들 1명, 딸 6명을 두었다. 아들은 제주시에서 자영업을 한다. 손주들도 다 커서 11월에 외손주가 결혼한다. 자식들에게는 4.3에 대한 구체적인 얘기는 하지 않았다. 큰 줄거리만 이야기했다. 

유족회 활동은 하지 않지만 위령제는 간다. 4.3공원 만들고 추모식하는 걸 보면 우리로서는 많은 위안을 받는다. 유족이 아니라도 제주도민이면 다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 다음 세대에게 전하고 싶은 말

“4.3은 엄청나게 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절대 잊으면 안 된다. 지금의 정부 시책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잘 기억되고 기록되어야 한다. 다음에 그러한 세상이 오면 절대 안 된다. 미국 책임도 크다고 본다. 지금도 자기들의 이익을 위해서 군대를 주둔 시키는 거 아닌가. 강대국의 텃세라고 해야 하나. 일본놈들도 트럼프 쫓아가는 것 같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