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코로나19와 공공외교' 국제세미나 온라인 개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불러온 새로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기존 국가중심의 방역체계가 아닌 글로벌 보건 안보 차원에서의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는 전문가의 조언이 나왔다.

특히 전세계적인 보건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이 지닌 방역 소프트파워 자산을 적극 활용, 공공외교에 녹여내는 시도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3일 열린 'COVID-19와 공공외교' 국제세미나의 발제·토론자로 참석한 김태환 국립외교원 교수, Kadir Ayhan 한국외대 교수, Werner Sasse 한양대학교 교수, Felicia Istad 고려대 박사과정생(사진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제주의소리

제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는 3일 오후 2시 사회과학대학 행정대학원 세미나실에서 'COVID-19와 공공외교'를 주제로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분위기와 맞물려 세미나의 모든 과정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좌장과 발제자, 각 토론자가 각각 온라인화상시스템을 통해 의견을 주고받는 등 새로운 개념의 형식이 적용됐다.

1세션에는 'COVID-19와 관련한 다양한 공공외교 사례'라는 주제로 마영삼 전 외교부 공공외교 대사가 좌장을 맡고, 김태환 국립외교원 교수가 발제자로 나섰다. Kadir Ayhan 한국외대 교수, Felicia Istad 고려대 박사과정생, Werner Sasse 한양대학교 교수가 각각 터키, 노르웨이, 독일의 공공외교 사례를 발표했다.

제주대 사회과학대학과 한국국제교류재단이 3일 오후 2시 'COVID-19와 공공외교'를 주제로 한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모든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진행됐다. ⓒ제주의소리
제주대 사회과학대학과 한국국제교류재단이 3일 오후 2시 'COVID-19와 공공외교'를 주제로 한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모든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진행됐다. ⓒ제주의소리

발제자인 김태환 교수는 세계적인 코로나19의 쟁점을 크게 △국가 이익과 국제 협력 간 긴장감 △전염병 대응에 따른 사회경제적인 부정적 파급효과 △보건 불평등 문제 등 세가지로 짚었다.

김 교수는 "지난 20여년간 에볼라, 사스, 조류독감, 돼지독감, 코로나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인류에 위협이되는 전염병을 겪으면서 비판적인 쟁점이 반복적으로 거듭돼 왔다"고 전제했다.

첫번째 쟁점인 '국가 이익과 국제 협력'과 관련 김 교수는 "모든 국가들이 평소에는 '국제협력을 해야 한다'고 이구동성 얘기하지만 정작 위기에 닥치면 국가 중심주의로 돌변한다"며 "2003년 사스(SARS) 당시 중국에서 전염 사실을 몇 달동안 숨기고 정보 공개를 안했던 사안이 대표적인 예"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코로나19도 '진원이 중국 우한이다, 아니다, 중국이 최소한 12월초에 이 문제를 알고 있었을 것인데 너무 늦게 보고하는 바람에 문제가 커졌다'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다. 문제는 국제 협력보다 국가이익을 우선시 하는 문제가 반복돼 왔다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두번째 쟁점인 전염병 대응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와 관련 "전염병 대응을 극대화하면서 국제여행이나 국제무역을 제한했을 때, 사회적 거리두기나 사회적 봉쇄를 했을 때 국가경제는 물론이고 국제경제가 상당 부분 부정적 타격을 입는다"며 "이 균형을 어떻게 유지할까 하는 것이 핵심적인 문제"라고 짚었다.

또 보건 불평등 문제에 대해서도 각 국가의 경제적 환경에 따라 방역체계가 크게 차이가 나고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김 교수는 이와 같은 세계 지형 속에서 대한민국이 지닌 소프트 파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경우 아주 초기부터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투명하게 제공하고 있다. 국내에만 공개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며 "국제적 협력이 긴장관계에 놓인 상황에서 적극적이고 투명한 정보공개는 현재까지 양호한 결론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했다.

김 교수는 "수 많은 국가들이 국가출입 통제하고, 국경을 봉쇄하고,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일정 부분 규제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국경을 닫는 문제에서 완전히 셧다운 한 것이 아니라 상당히 점진적인 방안을 선택했다는 특징이 있다. 수출규제도 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3일 오후 2시 제주대 사회과학대학과 한국국제교류재단이 공동 주관한 'COVID-19와 공공외교' 국제세미나 중계화면 갈무리.ⓒ제주의소리
3일 오후 2시 제주대 사회과학대학과 한국국제교류재단이 공동 주관한 'COVID-19와 공공외교' 국제세미나 중계화면 갈무리.ⓒ제주의소리

그러면서 "한국은 공공외교를 접근함에 있어 소프트파워 자산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방역 대응이나 드라이브·워크 스루 검진, 테스트 키트 등이 지식의 분야에 속하는데, 이런 측면에서 우리가 상당히 앞서갈 수 있었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한국의 대응이 'K방역'을 넘어서서 외교활동으로 확산돼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 국제사회에서 향후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은 현재 글로벌 보건안보 체제를 강화하는 한편 보건 개발협력, ODA와 연계시키는 공공외교가 이뤄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보건안보체제 지배적 개념이 국가안보나 국제안보 개념이었다면 이제부터는 인간에 중심을 맞추는 인간안보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의 2세션은 'COVID-19와 공공외교 정책 방향'을 주제로 이서현 제주대 교수가 좌장 역할을 수행하고, Eriks Varpahovskis 한국외대 박사가 'COVID-19와 러시아의  공공외교 정책', Emanuel Pastreich 전 미국 대통령 후보가 '코로나19시대의 공공외교에 있어 인터넷의 새로운 활용'에 대해 발표했다.

1세션에서 좌장을 맡았던 마영삼 전 대사는 'COVID-19 시대의 효과적인 공공외교 방안'을 발표에 나섰다.

마지막 3세션은 대학생 세션으로 'COVID-19 관련한 주요국가의 공공외교 캠페인 공모전' 수상자 4인이 각각의 수상작을 발표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는 KF한국국제교류재단이 시행하는 '2019-2020 학사년도 공공외교 역량강화대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과 함께 공동 개최됐다. 

공공외교 역량강화대학 지원사업은 KF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공공외교법 및 기본 계획 시행의 일환으로 전국 주요 대학 내 공공외교 정규강좌 개설과 프로그램을 운영을 지원해 공공외교 전문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세미나의 모든 과정은 제주의소리(http://www.jejusori.net) 홈페이지 소리TV를 통해 다시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