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환도위-지속가능연구회, 제주생존전략 정책 토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변화될 산업 패러다임의 제주가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단기적으로는 지역경제의 기반이 되는 민생경제 활성화에 집중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제주경제·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촉진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박원철)와 의원연구모임 제주지속가능발전연구회가 주최하고 더불어민주당 강성민·이승아 의원이 주관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주의 생존전략' 정책토론회가 29일 오후 3시 제주도의회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박성원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이 '코로나 이후 뉴노멀 시대 도래와 한국사회의 전환'을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선데 이어 고봉현 제주연구원 상생경제연구부 연구위원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주의 미래를 생각한다'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와 의원연구모임 제주지속가능발전연구회는 29일 오후 3시 제주도의회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주의 생존전략'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제주도의회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와 의원연구모임 제주지속가능발전연구회는 29일 오후 3시 제주도의회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주의 생존전략'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제주도의회

토론자로는 고선영 제주관광공사 조사연구센터장, 김창학 전 제주국제대 핀테크경영학과 교수, 서태종 한국은행제주본부 경제조사팀장, 신후식 제주도의회 정책연구실 연구원, 한영수 제주도 미래전략과장이 참석했다. 특히 토론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참석자를 최소화하고 온라인 중계를 통해 송출됐다.

박성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변화를 가늠하기 위해 △경제적 충격은 지역별로 다를 것인지 △정부는 지속적으로 신속하게 공공자원을 확보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도시생활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사이버공간의 상황이 우리의 안전을 이전보다 위협하는지 △심리적 공포를 겪은 이후 포스트 트라우마는 어떻게 치유되는지 등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박 위원은 "사스부터 코로나19까지 빠짐없이 등장한 키워드는 경제적 충격이었다. 세계적 감염병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사업장 폐쇄로 인력수급에 큰 변화가 있었다"며 "감염병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도시가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지만, 경제적 대응에 지역별, 도시별로 차별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앞으로의 도시생활은 모여 사는 방식에서 흩어져 사는 방식으로 변화될 것"이라고 내다보며 "비접촉 의사소통의 확산은 일하는 방식, 의사소통, 이동, 주거환경, 거래방식의 변화를 이끌 것"이라고 봤다. 이에 따라 포퓰리즘, 확증편향, 가짜뉴스 등 사이버 공간의 상황이 우리사회의 안전을 이전보다 위협할 것으로 우려했다.

박 위원은 "경기하강, 비접촉 의사소통 확산 등 변화가 확실해 미리 준비해야 하는 부분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하고 소규모 모임 중심으로 사업의 기본을 다지는 등 대응이 필요하다. 변화 가능성이 불확실해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할 펜데믹 지속 등의 우려는 지역사회 내에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와 의원연구모임 제주지속가능발전연구회는 29일 오후 3시 제주도의회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주의 생존전략'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제주도의회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와 의원연구모임 제주지속가능발전연구회는 29일 오후 3시 제주도의회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주의 생존전략'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제주도의회

고봉현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인해 지역경제가 악화될 것을 가정해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 위원은 "단기적으로 피해산업 지원, 고용유지 지원 등을 통해 지역경제의 기반이 되는 민생경제 활성화에 집중해야 한다. 관광·농업·건설 등 제주의 주력산업의 활력과 투자를 촉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장기적인 과제로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프로젝트를 만들고, 제주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정보 및 인식 등의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에너지 소비 효율성 향상과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을 골자로 하는 '제주형 그린뉴딜 프로젝트' 추진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고 위원은 "제주의 기존 주력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산업생태계의 혁신과 제주의 신성장동력원을 확증해야 한다. 이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제주의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저성장 기조의 제주경제의 잠재성장률을 제고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